이완
banner
lisocwan.bsky.social
이완
@lisocwan.bsky.social
살고 싶은 나라에 대해
연구합니다.

더 많은 사람이
절망 앞에서 혼자되지 않도록
보다 연대하는 나라를 원합니다.

경제는 최후 승자를 가리는
생존 게임이 아닙니다.
중소기업에서 20년 넘게 일해도 대기업 10년 차 직원을 따라잡기 힘들다. 썩 좋은 일이 아니다.

#중소기업 #노동자 #임금 #격차 #통계 #개혁
March 17, 2025 at 12:00 AM
한국노총이 발표한 표준생계비를 보면, 한 달 300만 원을 버는 사람은 '혼자서' 그럭저럭 살 만하다. 300만 원이면 상위 50%보다 살짝 더 많이 버는 수준이다. 그래서 1인 가구가 급격히 늘어난 것이 아닐까.
February 22, 2025 at 1:01 PM
떳떳한 가장이자 자녀이자 친구로 살 수 있는 시간은 그리 길지 않다. 특히 중소기업 노동자의 상황이 좋지 않다. 남자의 경우, 고등학교를 졸업하자마자 4년제 대학에 들어가고 군대까지 다녀오면 만 25세 즈음이 된다. 재수를 하거나 휴학 설계에 실패하면 그 이상일 수도 있다. 25세에 곧바로 중소기업에 취업하면, 40대 초반에 월급의 정점을 찍는다. 그래봐야 대기업 종사자의 절반도 안 되는 수준이지만, 아무튼 이후로는 쭉 하락세다.

#월급 #소득 #노동자 #취업 #중소기업
February 22, 2025 at 1:01 PM
서울 아파트 가격이 극적으로 오른 것은 노무현 시대였다. 김대중 대통령 집권 중반기와 비교했을 때, 노무현 대통령 집권 말기에는 서울 아파트 가격이 2배 가까이 올랐다. 그리고 이명박, 박근혜 시대에 잠시 정체되었다가, 다시 문재인 시대에 2배 가까이 올랐다. 그렇게 서울 아파트 가격은 2022년에 정점을 찍고 최근에 살짝 내려앉았다. 아무래도 아파트 가격을 확실히 억제한 것은 민주당 정부의 부동산 대책이 아니라 경제위기와 고금리인 듯하다.

#주택 #집값 #서울 #아파트 #Apt #금리
February 17, 2025 at 9:19 AM
중산층이 흔들린다.

1분위 = 가장 빈곤함
5분위 = 가장 부유함

#통계청 #소득이동통계 #중산층 #계층 #하락 #위기
January 29, 2025 at 2:07 AM
조국 장관의 첫 인상은 훌륭했다. 서울대 법학교수이면서 경제 민주화에 관한 책을 엮은, 자칭 사회주의자였으니까. 하지만 첫 인상은 첫 인상일 뿐이었다. 얼마 안 가서, 조국 장관은 진보의 배신자가 되었다. 아이러니한 점은 조국 장관을 배출한 민주당보다 조국 장관을 어중간하게 옹호한 군소 진보정당이 가장 큰 피해를 봤다는 것이었다. 조국의 강은 매우 깊어서, 많은 진보주의자가 금방 헤어나오지 못했다. 하지만 당분간 조국 장관은 선거에 출마할 수 없게 되었다. 그 빈자리를 정말 공정한 사회주의자가 대신하기를 기대한다.

#조국 #징역
December 13, 2024 at 12:09 AM
정치철학의 시간이 돌아왔다. 어떤 나라가 좋은 나라인지, 어떤 정부를 만들어야 하는지 다시 한 번 고민해야 한다. 그런 큰 그림에 대한 논의 없이 좌파척결과 작은 정부만 맹목적으로 추종한 결과가 무엇인지 12월 3일에 드러났다. 모든 시민은 공화정을 지킬 의무가 있다. 공화정을 지키기 위해, 시민이 정치철학 공론회를 열어야 한다.

#정치 #철학 #계엄 #탄핵 #공화정 #새시대 #시민 #공론
December 6, 2024 at 3:45 AM
독서가 취미인 청년 자살시도자가 청년 자살예방에 동참하기 위해 죽고 싶은 마음과 싸우며 자살의 원인을 탐구했다. 이 책은 그 결과물이다.

요즘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청년 3천 명이 자살한다. 그 많은 청년이 단순히 의지가 없어서 삶을 포기한 걸까.

어쩌면, 그런 인식이 청년을 자살로 몰아가는 첫번째 범인일지도 모른다.

막을 수 있는 죽음을 막기 위해 필요한 '청년 자살 리터러시'의 기초, [스무살에 혼자 죽는 나라]

brunch.co.kr/brunchbook/w...

#청년 #자살예방 #리터러시 #원인 #절망
December 5, 2024 at 8:47 PM
우리나라 노인 빈곤율은 자산을 감안하더라도 매우 높은 편이다. 그 자산도 대부분 부동산이라 전망이 좋지 않다. 빈곤하지 않은 노인도 안심할 수 없다. 빈곤하지 않다고 해서 모든 비용을 안심하고 감당할 만큼 부유하다는 의미는 아니기 떄문이다. 누구보다 열심히 일해서 경제 기적을 이룬 결과가 이 모양이다. 이 사태를 바로잡지 않으면 더 이상 '노력의 가치'에 대해 이야기할 수 없게 된다.

사진 출처 : 이승희, 노인 빈곤에 관한 연구: 소득과 소비를 중심으로, 한국개발연구원, 정책연구시리즈 2023-12, 23p.
December 2, 2024 at 12:32 AM
그들이 23,000명의 공무원에 대한 조사에서 얻은 네 번째 교훈은 "특히 의욕적인 직원이 이직하지 않도록 충분한 급여를 지급하라"다.
- James L. Perry, 공공봉사동기
November 29, 2024 at 10:33 AM

"왜 이렇게 많은 청년이 최선을 다해 살지 않을까. 노력만능론자는 이 질문을 깊게 파고들지 않는다. 그저 먹고 살 만해서, 부모가 힘든 줄 몰라서, 복지병에 걸려서 그렇다며 각자의 인성을 탓하는 데 그친다. 수십만 명이 인간의 기본 욕구를 거스르고 있다면 무언가 큰 문제가 있지 않을까 의심할 법하지만, 노력만능론자에게는 그런 넓은 시야가 없다. 노력이 전부여야 하니까."

- 본문 중

brunch.co.kr/@skepticwan/...
November 26, 2024 at 8:17 PM
청년 자살시도자가 쓰는 청년 자살 문제 보고서
[스무살에 혼자 죽는 나라]
를 브런치에 공유하고 있습니다.

저출산에 대해 논의하기 전에
이미 출산된 사람부터 살려야 합니다.

brunch.co.kr/brunchbook/w...
November 24, 2024 at 1:15 P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