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대응1단계
의성 산불 나흘째 확산...영향구역 1만2천㏊ 넘어, 진화율 55%로 하락 #의성산불 #경북산불 #산불진화 #국가소방동원령 #산불대응3단계 #의성안동산불 #헬기투입 #산불대피
의성 산불 나흘째 확산...영향구역 1만2천㏊ 넘어, 진화율 55%로 하락 #의성산불 #경북산불 #산불진화 #국가소방동원령 #산불대응3단계 #의성안동산불 #헬기투입 #산불대피
뉴시스에 따르면 경북 의성군에서 시작된 산불이 나흘째 이어지며 산불영향구역이 1만2천565헥타르로 확산됐다. 당국은 헬기 62대와 인력 3천154명, 장비 453대를 동원해 진화 작업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산림청과 경북도에 따르면 25일 오전 6시 30분부터 본격적인 진화 작업이 시작됐으며, 산불 진화율은 한때 71%까지 올랐으나 강풍으로 인해 오후 8시 기준 60%로 떨어졌고, 밤새 확산되면서 25일 오전 7시 기준 55%까지 하락했다. 현재 전체 화선 길이 214㎞ 중 118.2㎞는 진화됐고, 96.3㎞는 잔여 화선으로 남아 있다. 이번 산불은 ‘산불 대응 3단계’가 발령된 상태로, 전국 소방 인력과 장비가 총동원되는 국가소방동원령 3호도 함께 발령됐다. 이에 따라 소방차 200대 이상이 추가로 투입돼 진화 작업을 지원하고 있다. 전날 오후 불길은 산불현장지휘본부가 위치한 안평면사무소 인근까지 번졌고, 이에 따라 지휘본부는 긴급히 의성읍 철파리에 위치한 제2청사로 옮겨졌다. 특히 오후 5시 2분께 산불이 안동지역까지 확산되면서 피해 범위가 넓어졌고, 이에 따라 소방청은 전국 단위로 소방력을 투입하는 결정을 내렸다. 뉴시스 24일 밤에는 산불특수진화대 등 2천728명의 인력과 425대의 차량이 투입돼 주요 방어선을 형성하고 주불 진화에 집중했다. 하지만 강풍과 높은 기온 등 악조건이 겹치며 산불 확산을 막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번 산불로 인해 의성군 주민 1천222명이 의성실내체육관과 안동도립요양병원 등지로 대피한 상태이며, 인근 안동시 길안면에서도 주민과 요양원 입소자 등 1천여 명이 대피했다. 경북도 관계자는 "강풍과 높은 기온 등 악조건으로 산불 지역이 확산되고 있다"며 "민·관·군 등 모든 가용 자원을 총동원해 주불 진화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현재까지도 의성산불의 완전 진화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대규모 인력과 장비가 동원된 가운데 악천후 속 진화 작업이 계속되고 있다.
www.topstarnews.net
March 24, 2025 at 11:52 PM
대구 달성 함박산 산불, 12시간30분 만에 완진…헬기·인력 총동원 밤샘 진화 #달성산불 #함박산산불 #대구산불 #산불완진 #산불진화 #송해마을화재 #산림청 #산불대응1단계 #헬기투입
대구 달성 함박산 산불, 12시간30분 만에 완진…헬기·인력 총동원 밤샘 진화 #달성산불 #함박산산불 #대구산불 #산불완진 #산불진화 #송해마을화재 #산림청 #산불대응1단계 #헬기투입
뉴시스에 따르면 대구 달성군 함박산에서 발생한 산불이 12시간 30분 만에 완전히 진화됐다. 산불은 지난 3월 26일 오후 7시 29분경 달성군 화원읍 명곡리 송해마을 뒷산인 함박산 8부 능선에서 시작됐다. 산불 발생 직후 산림당국은 1시간 만에 산불대응 1단계를 발령하고 즉시 진화 작업에 착수했다. 밤새 이어진 진화작업에는 장비 58대와 인력 640명이 투입됐다. 27일 해가 뜨자마자 산림당국은 헬기 4대를 추가로 투입해 오전 8시께 모든 불길을 잡고 완전 진화를 완료했다. 산림청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정확한 화재 원인과 피해 규모에 대해 조사에 착수했다.
www.topstarnews.net
March 27, 2025 at 12:30 AM
대구 달성군 함박산 산불…진화율 90%, 헬기 5대 투입해 진화 재개 #대구산불 #달성군 #함박산산불 #산불진화 #산불대응1단계 #헬기진화 #대구소방본부 #산림당국 #화원읍 #옥포읍
대구 달성군 함박산 산불…진화율 90%, 헬기 5대 투입해 진화 재개 #대구산불 #달성군 #함박산산불 #산불진화 #산불대응1단계 #헬기진화 #대구소방본부 #산림당국 #화원읍 #옥포읍
연합뉴스에 따르면 3월 26일 오후 대구 달성군 화원읍과 옥포읍 경계에 위치한 함박산 정상 부근에서 발생한 산불이 다음날인 27일 새벽부터 본격적인 진화 작업에 들어갔다. 산림당국과 대구소방본부는 27일 날이 밝자마자 헬기 5대와 진화 인력 500여 명을 현장에 투입해 화재 진압을 재개했다. 오전 6시 기준으로 산불 진화율은 90%에 도달했다. 당국은 산불 발생 직후인 26일 오후 7시 29분부터 불과 1시간여 만에 산불대응 1단계를 발령하고, 밤새 현장에서 불길 확산을 막기 위한 작업을 벌였다. 밤사이 현장에는 초속 1∼3m 수준의 바람이 불었으며, 이에 따라 진화 작업은 조심스럽게 이어졌다. 연합뉴스 산불 확산에 따른 연기가 인근 지역으로 번지자, 달성군은 26일 오후 8시 51분경 주민과 등산객에게 ‘안전한 장소로 대피하라’는 내용의 긴급 안내 문자를 발송했다. 당국은 밤사이 진화 인력과 장비를 동원해 추가 확산을 방지하는 데 주력했으며, 날이 밝은 뒤부터는 헬기 투입을 통해 전면적인 진화에 나선 상황이다. 현재까지 인명 피해나 주요 시설 피해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산림당국은 남은 불씨를 완전히 정리하고 재발 방지를 위한 작업에 집중하고 있다. 함박산 일대 연기 확산으로 주민 불안이 높아졌던 만큼, 당국은 조속한 진화 완료를 목표로 대응을 이어가고 있다.
www.topstarnews.net
March 26, 2025 at 10:38 P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