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주 부남면 산불로 주민 대피…"밤새 불덩이 튀고 시뻘겋게 탔다" #무주산불 #부남면산불 #전북산불 #무주대피 #산불진화율 #산불2단계 #산불피해주민 #대피소상황 #산불헬기 #산불진화작업
무주 부남면 산불로 주민 대피…"밤새 불덩이 튀고 시뻘겋게 탔다" #무주산불 #부남면산불 #전북산불 #무주대피 #산불진화율 #산불2단계 #산불피해주민 #대피소상황 #산불헬기 #산불진화작업
뉴시스에 따르면, 전북 무주군 부남면에서 발생한 산불이 인근 야산으로 번지며 주민들이 밤새 대피 생활을 이어갔다. 불은 26일 오후 9시22분께 무주군 부남면 대소리의 한 주택에서 시작돼 강한 바람을 타고 주변 산으로 확산됐다.
산불 피해를 입은 주민들은 부남체육공원 다목적회관과 대티마을회관 등으로 대피했으며, 대부분 한숨도 자지 못한 채 밤을 지샜다. 현장에는 매캐한 연기와 탄내가 진동했고, 주민들은 서로 이불을 덮은 채 지친 모습으로 휴식을 취하고 있었다.
한 주민은 "불덩이가 이리저리 튀며 산 전체가 시뻘겋게 탔다"며 당시 상황을 전했다. 또 다른 주민은 "불이 난 줄 몰랐는데 나가 보니 불길이 산을 타고 번지고 있었다"고 말했다. 자택이 산불 발생지점에서 약 1km 떨어져 있었음에도 불길은 육안으로 확인될 정도로 컸다고 전했다.
뉴시스
주민 김모씨는 "자고 있다가 동생이 깨워서 나가 보니 온 사방이 불덩이였다. 연기가 너무 심해 목이 아프고 물을 계속 마시고 있다"며, 과거에도 화재를 겪은 경험이 있어 이번 산불이 더욱 공포스러웠다고 말했다.
대피소에는 20~30명의 주민들이 모였고, 부남면 인근 율소마을 주민 40~50명도 대티마을회관으로 이동해 대피했다. 민광만 대티마을 이장은 "강을 넘어 온 주민들이 불안한 밤을 보냈지만, 다행히 별다른 피해 없이 버틸 수 있었다"며 면사무소 직원들이 밤새 지원해주었다고 전했다.
뉴시스
산불 대응은 밤새 이어졌다. 당국은 헬기 8대, 지휘차 4대, 진화차 8대, 소방차 21대, 산불진화대 100명, 소방 인력 145명을 투입해 산불 확산 저지에 나섰다. 27일 오전 10시 기준으로 산불 단계는 2단계로 격상됐고, 낮 12시 기준 진화율은 70%를 기록했다.
무주 부남면 산불은 강한 바람과 건조한 날씨 속에 빠르게 확산됐으며, 주민들의 신속한 대피와 당국의 대응으로 더 큰 피해는 막은 상황이다. 하지만 여전히 남은 불씨가 존재하고 있어 진화 작업은 계속되고 있다.
www.topstarnews.net
March 27, 2025 at 3:53 AM
무주 산불 22시간 만에 진화…산림영향구역 93㏊, 이재민 221명 중 대부분 귀가 #무주산불 #부남면화재 #전북산불 #산불진화 #이재민귀가 #산림영향구역 #산림청 #주불진화완료 #소방대응 #구호지원
무주 산불 22시간 만에 진화…산림영향구역 93㏊, 이재민 221명 중 대부분 귀가 #무주산불 #부남면화재 #전북산불 #산불진화 #이재민귀가 #산림영향구역 #산림청 #주불진화완료 #소방대응 #구호지원
연합뉴스에 따르면 3월 26일 오후 9시 21분 전북 무주군 부남면의 한 주택에서 발생한 화재가 인근 야산으로 번진 산불이 발생 22시간 만인 27일 오후 10시께 주불 진화됐다. 전북특별자치도와 산림청은 이날 산불 진화율이 100%에 도달했다고 밝혔다.
이번 산불로 형성된 산림영향구역은 93헥타르로 파악됐다. 이는 진화가 완료된 후 실제 피해 면적보다 다소 넓게 잡히는 수치다. 인명 피해는 없었고, 주택 1채와 농막 1채가 피해를 입은 것으로 확인됐다. 산림청은 잔불 정리를 마친 뒤 날이 밝는 대로 정확한 피해 면적 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산불 발생 직후 무주군은 강한 바람을 타고 번지는 불길을 막기 위해 즉각 대응에 나섰다. 소방당국은 발생 40여 분 만에 대응 1단계를 발령하고, 관할 소방서 인력을 총동원했다. 진화에는 헬기 최대 8대와 인력 721명이 투입됐으며, 야산 경계를 중심으로 물을 살포하며 저지선을 구축해 확산을 차단했다.
연합뉴스
화재가 확산되자 무주군은 인접 4개 마을 주민들에게 대피 문자를 발송했고, 주민 221명이 마을회관 등 안전한 곳으로 대피했다. 이 중 10명은 여전히 율소마을회관에 머물고 있으며, 211명은 주거지나 인근 환경에 이상이 없다고 판단돼 귀가한 상태다.
전북도와 대한적십자사는 이재민들에게 비상식량, 담요, 텐트, 방진 마스크 등 구호물품을 지원했다. 전북도 관계자는 이들이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최대한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논두렁 소각 등 야외 화기 사용이 산불의 주요 원인이라며 건조한 시기의 불 피우기를 자제할 것을 당부했다.
산림청은 주불 진화를 완료했으며, 이후 정밀한 잔불 정리와 피해 조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www.topstarnews.net
March 27, 2025 at 2:45 P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