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청 산불 8일째 재확산 우려…야간 방화선 구축에 1030명 투입 #산청산불 #경남산불 #지리산산불 #야간방화선 #산불진화 #특수진화대 #소방대응 #산불피해 #지리산천왕봉 #산청대피
산청 산불 8일째 재확산 우려…야간 방화선 구축에 1030명 투입 #산청산불 #경남산불 #지리산산불 #야간방화선 #산불진화 #특수진화대 #소방대응 #산불피해 #지리산천왕봉 #산청대피
뉴시스에 따르면 경남 산청에서 발생한 산불이 8일째 이어지는 가운데, 일부 지역에서 불길이 다시 살아날 조짐을 보이자 당국이 야간 방화선 구축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3월 28일 오후 기준 산불 진화율은 94%에 도달했으나, 지리산 권역의 내원 계곡 일대는 강풍과 낙엽층으로 인해 진화 작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경남도와 산림청은 산불의 완전 진화를 위해 이날 진화헬기 43대와 소방차, 도 방제기, 민간임대 살수차 등 총 234대의 진화장비를 현장에 투입했다. 지상에서는 공중진화대, 특수진화대, 소방, 경찰, 군인, 공무원, 산림조합 등 1527명이 동원돼 산불 확산 저지에 나섰다. 동당 계곡 방향의 화선은 진화에 성공했으나, 내원 계곡은 여전히 난항을 겪고 있다.
지리산 덕산사와 관음사 구역에는 특수진화대원과 살수차를 집중 투입하고, 산불 확산 지연제 14t을 살포했다. 또한, 최대 30m까지 물을 분사할 수 있는 동물방역과의 광역 방제기 3대가 현장에 동원됐으며, 민간에서 임대한 살수차 10대도 함께 투입돼 지리산 일대에 물을 뿌리는 작업을 이어갔다.
뉴시스
경남도와 산림청은 특히 야간 시간대의 방화선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 이날 밤에는 특수진화대, 소방, 공무원, 경찰 등 1030여명을 현장에 투입해 산불 확산을 막기 위한 방화선을 구축 중이다.
산불로 인한 인명 피해는 총 14명으로 집계됐다. 이날 진화 작업 중 소방대원 1명이 발가락 골절 부상을 입었으며, 치료 후 귀가했다. 시설 피해는 주택 29개소, 공장 2개소, 종교시설 3개소 등 총 83개소로 확인됐고, 이날만 주택과 종교시설 등 9개소의 피해가 추가됐다. 산청군에서는 395세대 582명이 7개소로 대피한 상태다.
경남도는 3월 29일 새벽 기온 하강 예보에 따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한 진화 전략을 마련하고 있다. 유관기관들과 협조체계를 강화하고, 가용 가능한 자원을 총동원해 도민의 생명과 지리산 천왕봉 보호에 전력을 다하겠다는 방침이다.
www.topstarnews.net
March 28, 2025 at 1:44 PM
하동 주불 진화 완료…지리산권 잔여 화선에 산림당국 총력 집중 #산청산불 #하동산불 #지리산산불 #산불진화 #치누크헬기 #지리산국립공원 #관음사화재 #산림청 #공중진화대 #산불현장
하동 주불 진화 완료…지리산권 잔여 화선에 산림당국 총력 집중 #산청산불 #하동산불 #지리산산불 #산불진화 #치누크헬기 #지리산국립공원 #관음사화재 #산림청 #공중진화대 #산불현장
연합뉴스에 따르면 경남 산청 산불이 3월 21일 발생한 지 8일째인 28일, 하동권역에서 발생한 주불이 이날 오전 9시께 진화됐다. 이에 따라 산림당국은 마지막 남은 지리산국립공원 권역의 화선에 인력과 장비를 집중 투입해 진화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하동 옥종면 일대 21km에 걸쳐 형성됐던 주불은 전날 밤과 이날 새벽에 걸쳐 투입된 공중 및 특수 진화대 120여 명의 헌신적인 활동으로 진화됐다. 예보됐던 비는 0.4~2mm의 적은 강수량에 그쳐 진화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못했으나, 진화대원들이 호스로 직접 물을 뿌리고 곡괭이와 갈퀴로 잔불을 제거하면서 불길을 잡았다. 산림당국은 이들을 ‘산불현장의 최정예 점령군’이라 표현했다.
이들의 헌신 덕분에 이날 아침부터 주한미군의 치누크(CH-47) 기종을 포함한 헬기 40여 대가 지리산권역으로 이동해 집중 진화작업을 벌이고 있다. 지리산국립공원 내 남은 화선은 약 5km로, 길이는 짧지만 지형이 험하고 강풍이 불어 진화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특히 임도가 없어 장비 이동이 어렵고, 낙엽과 산죽이 두껍게 쌓여 있어 진화인력의 이동을 방해하고 있다.
연합뉴스
또한 산죽 뿌리에 불이 옮겨붙을 경우 진화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산림당국은 지상 인력보다는 기동성이 뛰어난 헬기를 중심으로 물과 산불 지연제를 살포하고 있다. 현재 화재는 지리산 최고봉인 천왕봉에서 약 4.5km 떨어진 관음사 인근까지 번졌으며, 산림당국은 관음사 주변에 방화선을 설치한 상태다. 지리산 권역 내 산불 규모는 약 30~40헥타르로 추정된다.
산림청 관계자는 "지리산은 하동처럼 인력을 동원해 주불을 잡기 어렵다"며 "헬기 집중 투입으로 이날 중 주불을 진화하는 것이 목표지만, 강풍이 변수여서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고 밝혔다.
www.topstarnews.net
March 28, 2025 at 7:49 AM
영남권 강풍 산불, 의성부터 울산까지 번져…하회마을 코앞까지 위협 #영남권산불 #의성산불 #경북산불 #울산산불 #경남산불 #하회마을산불위협 #지리산산불 #주왕산산불 #산불진화 #산불피해 #특별재난지역
영남권 강풍 산불, 의성부터 울산까지 번져…하회마을 코앞까지 위협 #영남권산불 #의성산불 #경북산불 #울산산불 #경남산불 #하회마을산불위협 #지리산산불 #주왕산산불 #산불진화 #산불피해 #특별재난지역
연합뉴스에 따르면 경북과 경남, 울산 지역을 중심으로 지난 1주일 동안 발생한 산불이 여전히 확산 중이며, 역대 최악 수준의 피해를 낳고 있다. 강풍과 고온, 극심한 건조라는 삼박자가 겹친 이번 산불은 초기에 제대로 진화하지 못한 채 수십 ㎞ 떨어진 지역까지 번지며 인명과 재산 피해를 키우고 있다.
경북 의성에서 시작된 산불은 초속 10m를 넘는 강풍을 타고 북동쪽으로 빠르게 확산돼 안동, 청송, 영양, 영덕 등 내륙뿐 아니라 동해안 지역까지 피해를 입혔다. 특히 시간당 8.2㎞라는 이례적인 속도로 번져나가며 피해 지역은 지리산국립공원과 주왕산국립공원 일부까지 확대됐고, 세계문화유산인 안동 하회마을과 병산서원 인근까지 접근한 상태다.
같은 시기 울산에서 발생한 산불은 엿새 만에 진화됐지만, 931㏊에 달하는 피해 면적으로 지역 역대 최대 산불피해 기록을 경신했다. 경남 산청에서 발화된 산불 역시 하동과 진주까지 번졌으며, 현재까지 1천740㏊의 산림이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파악됐다.
산불은 비화(飛火) 현상으로 인해 불티가 민가와 산림에 날아가 또 다른 화선을 형성하며 확산되고 있다. 이로 인해 당국이 진화 작업을 마친 구역 외곽에서도 새로운 산불이 재차 발생하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소나무가 밀집한 지역에서는 '도깨비불' 현상이 수시로 목격되며, 진화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경북 북부권 산불은 27일 오후 5시 기준으로 3만5천697㏊에 달하는 산불영향구역을 기록했고, 이는 지난 2000년 강원 동해안 산불 당시의 피해 면적을 넘어선 수치다. 아직 진화가 완료되지 않은 상황에서 향후 강풍의 방향에 따라 울진 등 동해안 원전 단지와 금강송 군락지로 확산할 가능성도 남아 있다.
연합뉴스
진화작업은 매일 인력과 헬기, 장비가 동원되고 있으나, 가파른 지형과 누적된 피로, 헬기 추락사고 등으로 인해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 26일에는 경북 의성 신평면에서 진화작업 중 헬기 1대가 추락해 헬기 운항이 잠정 중단되기도 했다.
인명 피해도 계속 늘고 있다. 현재까지 경북 5개 시군에서 주민 등 23명이 사망했으며, 이 중 일부는 대피 중 차량 폭발이나 연기 질식으로 숨진 것으로 전해졌다. 경남 산청에서는 진화작업에 투입됐던 산불진화대원과 인솔 공무원 등 4명이 사망했고, 5명이 화상을 입었다.
재산 피해 역시 심각하다. 주택과 공장을 포함해 건축물 2천572건이 피해를 입었고, 어선과 양식장, 고속도로 휴게소도 불에 탔다. 경북과 경남 지역에서 각각 3만3천여 명과 1천6백여 명이 대피 중이며, 체육관 등 임시 시설에 머물고 있다.
정부는 경북 의성, 안동, 청송, 영양, 영덕과 경남 산청, 하동, 울산 울주군 등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했다. 당국은 진화율을 높이기 위해 매일 헬기와 인력을 투입하고 있으나, 악조건 속에서 진화율은 의성·안동 60%, 영덕 55%, 영양 60% 수준에 머물고 있다.
기상 여건도 여전히 불리하다. 27일 의성 일대에 소량의 비가 내렸으나 산불 진화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못했고, 28일부터는 건조한 북서풍이 유입될 것으로 예보돼 진화 작업은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다.
이번 산불 사태를 계기로 전문가들은 강력한 초기 대응이 가능한 상시 체계 구축과 전문 진화인력 확보, 내화수림대 조성 등을 포함한 대응 시스템의 전면 개편 필요성을 지적하고 있다.
www.topstarnews.net
March 27, 2025 at 10:02 PM
지리산 산불, 천왕봉 4.5㎞ 앞까지 확산…산청·하동 진화율 81% #지리산산불 #천왕봉 #산청산불 #하동산불 #산불진화 #산불피해 #지리산국립공원 #자원봉사자 #경남산불 #야간진화
지리산 산불, 천왕봉 4.5㎞ 앞까지 확산…산청·하동 진화율 81% #지리산산불 #천왕봉 #산청산불 #하동산불 #산불진화 #산불피해 #지리산국립공원 #자원봉사자 #경남산불 #야간진화
연합뉴스에 따르면 경남 산청에서 시작돼 하동으로 번진 대형 산불이 발생 일주일째인 3월 27일에도 계속되고 있다. 이날 오후 산림당국은 진화율이 81%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밤샘 진화에 돌입해 자정까지 하동 지역의 주불을 완전히 진화하는 것을 목표로 대응에 나섰다.
산림당국에 따르면 산불 영향 구역은 1천740헥타르에 달하며, 전체 화선 약 67㎞ 중 16㎞가 남아 있는 상태다. 전날에는 산불이 지리산국립공원으로까지 번져 30~40헥타르의 산림이 추가 피해를 입은 것으로 추정됐다. 특히 지리산 최고봉인 천왕봉 인근인 관음사 부근까지 연기가 관측되면서 불길이 4.5㎞ 앞까지 접근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따라 산림당국은 관음사 주변에 방화선을 설치하고, 밤새 확산 지연제와 물을 살포해 천왕봉으로의 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작업에 돌입했다. 이날 오후 6시께에는 산불 현장에 잠시 빗방울이 흩날렸고, 이를 맞은 자원봉사자들과 진화대원들은 환호를 보냈다. 기상청은 이날 경상권을 포함한 전국 대부분 지역에 비가 내릴 것으로 예보했으나, 산청과 하동 지역에는 5㎜ 내외의 적은 비가 예보돼 큰 도움이 되긴 어려운 상황이다.
연합뉴스
진화작업은 연무 등으로 인해 항공 진화에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주한미군이 보유한 치누크(CH-47) 헬기 등 일부 항공기가 제때 운용되지 못하면서 진화 작업이 일시 중단되기도 했다.
이번 산불로 인해 인명 피해도 발생했다. 창녕군 소속 산불진화대원과 공무원 등 4명이 불길에 고립돼 숨졌으며, 9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또한 산청군 377가구 539명, 하동군 595가구 1천83명 등 총 1천134가구 1천622명이 대피했고, 주택 28동, 공장 2곳, 종교시설 2곳 등 총 72개소가 피해를 입은 것으로 집계됐다.
산림당국은 자정까지 하동권의 주불 완진을 목표로 1천230명의 인력과 240대의 장비를 투입해 총력 대응 중이다. 관계자는 "예보된 강수량만으로는 불씨를 완전히 제거하긴 부족하다"며 "낙엽 속에 숨은 불씨가 다시 살아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www.topstarnews.net
March 27, 2025 at 11:42 AM
주왕산·지리산까지 번진 산불…산림 피해 1200㏏, 환경부 장비·인력 추가 투입 #주왕산산불 #지리산산불 #의성산불 #산청산불 #국립공원산불 #산림피해 #산불진화 #환경부대응 #산불장비투입 #영농폐기물단속
주왕산·지리산까지 번진 산불…산림 피해 1200㏏, 환경부 장비·인력 추가 투입 #주왕산산불 #지리산산불 #의성산불 #산청산불 #국립공원산불 #산림피해 #산불진화 #환경부대응 #산불장비투입 #영농폐기물단속
뉴시스에 따르면, 경북 의성과 경남 산청에서 시작된 산불이 주왕산과 지리산국립공원으로 확산돼 총 1200헥타르의 산림이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불은 계속해서 번지고 있어 피해 면적은 더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환경부는 27일, 주왕산에서 1000헥타르, 지리산에서 200헥타르가 각각 불에 탄 것으로 집계했다. 산불 확산에 따라 환경부는 추가 인력과 장비를 현장에 투입해 진화 작업에 나섰다.
전날 환경부는 산불 진화 인력 455명, 진화 헬기 1대, 고성능 산불진화차량 25대를 동원해 진화 작업을 지원한 바 있다. 이와 함께 산불 상황이 종료될 때까지 안동댐과 성덕댐의 방류량을 늘려 진화 활동을 지원할 방침이다.
뉴시스
환경부는 산불로 이어질 위험이 큰 영농 폐기물의 불법 소각 행위에 대해서도 26일부터 전국 단위 단속에 들어갔다.
이날 오전 9시30분에는 정부세종청사에서 김완섭 환경부 장관 주재로 산불 대응 상황 점검회의가 열렸다. 환경부는 산불 진화를 위한 모든 가용 자원을 동원해 확산 저지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현재 주왕산과 지리산 등 국립공원 지역으로 산불이 확산된 상황에서, 환경부는 피해 최소화를 위해 진화 인력 확대와 함께 수자원 조절, 불법 행위 단속 등 다각적인 대응 체계를 가동 중이다.
www.topstarnews.net
March 27, 2025 at 3:53 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