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비노
banner
bachtometheny.bsky.social
알비노
@bachtometheny.bsky.social
slownews.kr/123823
27가지 이슈. 계산해보면 5주 마다 한 번 씩 논란이 있었다는 말. 근데 왜 청와대 용산 이전은 빠졌지? 주술논란도 빠지고. 짜잘한 건 빼고 27가지인건가.
탄핵 D-0 스페셜 리포트: 윤석열 정부 몰락의 27가지 장면. - 슬로우뉴스.
돌아보면 윤석열은 정말 이상했다.
slownews.kr
December 14, 2024 at 1:16 PM
Reposted by 알비노
슬로우뉴스에서 윤석열 정부 몰락의 27가지 장면이라는 기사를 냈습니다. 다 모아놓고보니 다시봐도 이건 정말 하나하나가 어메이징합니다(…)

1. 고속도로는 왜 휘었나.
2. 재벌 총수들과 폭탄주 파티, 엑스포는 참패.
3. 바이든-날리면 논란, 애꿎은 MBC만 두들겨 팼다.
4. “이게 나라냐”, 이태원에서 확인한 정부의 부재.
5. 아낌없이 퍼주고 농락 당한 굴욕 외교.
6. 눈 떠보니 후진국, 국제 망신 잼버리.
7. 군인의 명예로운 죽음을 누가 모욕했나.
8. 윤석열의 아킬레스건, 도이치모터스 주가 조작 사건.
탄핵 D-0 스페셜 리포트: 윤석열 정부 몰락의 27가지 장면. - 슬로우뉴스.
돌아보면 윤석열은 정말 이상했다.
slownews.kr
December 14, 2024 at 4:11 AM
Reposted by 알비노
15년 농심 연구원이 추천한 ‘라면 가장 맛있게 먹는 법’

www.hani.co.kr/arti/economy...

“라면 스프를 선첨, 후첨으로 따로 나눈 이유가 다 있거든요. 면이랑 어우러져서 열을 받았을 때 맛이 제일 잘 발현되는 원료들로 구성한 스프는 선첨이고, 후첨에는 나중에 넣었을 때 향이 잘 보존되는 원료들이 담겨 있어요. 정말 ‘소비자들이 맛있게 먹었으면 좋겠다’는 마음에서 봉지에 수백번 테스트한 조리방법을 크게 써놓는 것이니 꼭 지켜서 드셔줬으면 좋겠어요.”
15년 농심 연구원이 추천한 ‘라면 가장 맛있게 먹는 법’
농심에는 라면 맛을 풀어내는 이들이 있다. 맛을 묘사하고 분석해 전체적인 라면 맛의 ‘방향’을 잡는 일을 한다. 언제 어디서나 꾸준한 라면 품질을 유지하고, 소비자 입맛을 사로잡는 제품 개발을 위해 이들은 업무와 별도로 일주일에 두 번 ‘감각평가’도 받는다. 일종의 미
www.hani.co.kr
December 3, 2024 at 9:10 AM
Reposted by 알비노
여러분 식물 수세미 많아 써주세요 여러모로 강추. 일단 플라스틱이 아니고 기르는 과정에 탄소도 고정되고 버려도 전부 분해된다는 환경적인 장점도 있지만 그걸 떠나서 생각보다 질겨서 오래 쓸 수 있고 건조도 잘되고 물도 안들고 곰팡이도 안핌. 거품도 잘 남. 건조할 땐 뻣뻣한데 물 묻히면 부드러워짐. 이 상태에서 편한 크기로 자르고 심 오려내서 쓰면 편해요. 저렴하고 오염도 없으니 한달이건 일주일아건 아무때나 편하게 교체 가능. 근데 워낙 바짝 잘 말라서 생각보다 자주 안갈아도 됨.
December 2, 2024 at 5:21 AM
최근 난생처음 겪어보는 극심한 토끼똥 변비의 원인을 찾아낸거 같다. 바로 제로콜라!!! 소화기 내과까지 가볼 생각도 했는데 원인이 제로콜라였다니. 이제 차전자피 분말도 끊어도 될 듯.
December 2, 2024 at 2:28 AM
헨델 메시아 전곡을 제대로 들은 적이 없어서 이 앨범 저 앨범 들어보다가 Rejoice greatly를 내 마음에 쏙 들게 부르는 Susan Hamilton이라는 소프라노를 발견. 비브라토 없이 마치 보이소프라노처럼 부르는데 아 정말 녹는다.
December 1, 2024 at 8:54 AM
블루스카이 넘어오신분들은 트위터랑 같이 병행하는 걸까 아예 끊고 정착한 걸까. 난 계정 만들기만 하고 트위터를 주로 쓰는듯 ㅠ
November 30, 2024 at 2:54 AM
유명산 근처에서 글램핑으로 2박3일 다녀왔다. 유명산 계곡이 좋다는 말만 들었는데 직접 가보니 너무 좋다. 이 맘때쯤 마다 갔던 무주 덕유산 못지 않음. 어쩌다 보니 평일에 가게 됐는데 사람고 하나 없고 계곡 전세낸 것 마냥 말 담그고 놀았다. 발 시려워서 1분을 못 담금.
June 6, 2024 at 4:50 AM
부천아트센터 하반기 공연 패키지 예매 시작됨. 다른 데는 어떤지 모르겠는데 이정도면 상당히 저렴한거 같다. 심지어 영화관 가는 거 보다 쌈. 덕분에 올해는 클래식 공연을 한 달에 한 번 이상은 보는듯.
May 29, 2024 at 8:54 AM
오늘 부천아트센터 투어 프로그램 다녀왔는데 가장 놀랐던 점이 저 관객석 의자 가격이었는데 의자 하나에 200만원이라고 함. 공연장 의자 전문 제조기업 고도부끼 의자. 색깔이 다른 이유가 궁금했는데 특뱔한 이유없이 그냥 미적인 조화를 위해 색깔을 달리한거라고.
mbiz.heraldcorp.com/view.php?ud=...
April 29, 2024 at 8:05 AM
옆동네 살아서 금천구 마라톤 몇번 참가해본 적 있는데 정말 아기자기한 동네축제 느낌임. 근데 어쩌다가 언론까지 나서 접수조차 어렵게 됐는지. 차라리 그냥 지역축제 취지에 맞게 금천구민만 신청할 수 있게 하는 게 나을듯.
April 23, 2024 at 2:49 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