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운(月雲) Sangwon Kang
worungong.bsky.social
월운(月雲) Sangwon Kang
@worungong.bsky.social
460 followers 170 following 430 posts
📚Major: Sinology, Korean Classical Studies. 📜License: Secondary Education Teacher. 🎥 YOUTUBE http://youtu.be/tNBF1OUC1y8mpM 📷 Instagram: @worunlang
Posts Media Videos Starter Packs
Reposted by 월운(月雲) Sangwon Kang
진나라 시기 버스 노선도 같은 거였으면 곧바로 아 만우절! 했을텐데 왠지 진나라 교통표지판은 진짜 있었을 것 같아요 ㅋㅋㅋㅋ큐ㅠㅠㅠㅠ
진나라 때 교통표지판이 발견되었다는 소식입니다
진나라 때 교통표지판이 발견되었다는 소식입니다
번역

㚒(섬)은 '훔쳐서 품속에 숨기는 것'이다. 亦(겨드랑이)의 의미를 따르며 가진 물건이 있다. 세속에서 말하는 "다른 사람이 못 보게 훔친 물건을 품속에 숨긴다"라는 것이 이런 의미이다. 홍농군 섬현이 이 글자를 따른다

夾(협)은 '가지는 것'이다. 大(사람)가 두 人(사람)을 낀 의미를 따른다
㚒 (섬) shǎn < MC ɕiᴇmX < OC *hljemʔ

盜竊褱物也。从亦,有所持。俗謂蔽人俾夾是也。弘農陝字从此。

夾 (협) jiā, jiá < MC kˠɛp̚ < OC *kreːb

持也。从大俠二人。
프랑스어권에서는 70을 어떻게 표현하는가?

대부분: 60 10
벨기에, 스위스: 70
남부: 60 그리고 10
유럽 언어들은 92를 어떻게 표현하는가?

대부분: 90+2
독일어권: 2+90
프랑스: 4x20+12 (벨기에는 90+2)
덴마크: 2+(5-0.5)x20
프랑스인과 불어로 대화할 때의 나:
공손하게 질문하려다가 성조 틀려서 이상한 사람이 되는 과정

(극단적인 예시이고, 실제로는 문맥이 있기 때문에 이런 오해는 잘 없다)
이발원이 되어버린 입법원..
맛있는 것들만 모아놨네... 😋
오기가 퍼지는 방식:

칼그렌 박논에서 巾의 한국 한자음을 kыn으로 오기했고 자오위안런, 리팡구이, 뤄창페이의 중국어 번역본에서 kɯn으로 전사, 동통허, 판우윈 등도 이를 답습.

실제 발음은 아시다시피 "건/kən/"
3월에도 아직 춥군 (아이스크림을 사오며)
"mandarin"

일반 사람: 아 감귤?
나: 아 관화 방언?
한국어로 대만식 중국어를 배울 수 있는 초급자용 교재

(중급 이상이신 분들은 원서를 통해 학습)
Reposted by 월운(月雲) Sangwon Kang
흑흑,,, 크루아상을 살려내라...!
오늘자 프랑스어 수업 하이라이트

학생(미국인): 한국에서 크룽지라는 혼종을 봤어요

선생님(프랑스인): 아 최근에 생긴, 콰썽이랑 누룽지를 합친 음식이지

학생(미국인): 충격적이지 않나요?

선생님(프랑스인): 괜찮던데? 프랑스에도 feuilletine이란 음식이 있는데 그거랑 식감 비슷해

나: ?!
오늘자 프랑스어 수업 하이라이트

학생(미국인): 한국에서 크룽지라는 혼종을 봤어요

선생님(프랑스인): 아 최근에 생긴, 콰썽이랑 누룽지를 합친 음식이지

학생(미국인): 충격적이지 않나요?

선생님(프랑스인): 괜찮던데? 프랑스에도 feuilletine이란 음식이 있는데 그거랑 식감 비슷해

나: ?!
[학습 후기]

영어: 발음 규칙? 모르겠고 그냥 많이 읽다보면 뭔가뭔가 느낌이 생김 (그러나 사전 펼치면 내 느낌이 틀렸음)

프랑스어: 발음 규칙 없는 거 같은데 알고보면 꽤 규칙적인 편

독일어: 규칙대로 읽을 것 같은데 안 그런 경우 은근 많음 (원인은 대개 윗놈↑ 발음을 따라해서 그렇슴)
《당사본왕인후간류보결절운(唐寫本王仁昫刊謬補缺切韻)》
《군자를 버린 논어》 재출간

임자헌 역 (2024) 《공자의 말들: 군자를 버린 논어》
youtu.be/KvBxUHi8kkI?...

독일어 학습자: Ich will mit *dich Deutsch üben (나는 너와 독일어를 연습하고 싶어)

독일어 원어민: 너 바보임? dich가 아니라 dir겠지... 아마추어 같기는 ㅉ
중국어 음운학 관련 책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