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주 시야가 아닌 스켜 지나가거나 시야 외곽에서 보이는 경우는 더 그렇습니다.
길을 비추는 목적보다 눈에 띄어야 하는 경우에 사용이라 할까요? 그런 면에서 후미등의 경우 점멸모드가 더 중요하다 봅니다.
또 점멸 모드가 여럿 있는 경우 길게3번 짧게 3번의 SOS모드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주 시야가 아닌 스켜 지나가거나 시야 외곽에서 보이는 경우는 더 그렇습니다.
길을 비추는 목적보다 눈에 띄어야 하는 경우에 사용이라 할까요? 그런 면에서 후미등의 경우 점멸모드가 더 중요하다 봅니다.
또 점멸 모드가 여럿 있는 경우 길게3번 짧게 3번의 SOS모드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 경우도 그나마 안전한 방법인 것이지 절대적인 방법이 아니다. 강대국간 게임이 될 경우, 이른바 "거스름돈"이자 "버리는 카드"가 될 운명을 맞이할 수도 있다. 프랑스의 군사동맹이던 체코슬로바키아가 1938년 버려진 걸 생각해보자.(물론 그래서 프랑스도 망했다.)
다행히 미국이 프랑스는 아니고, 한국도 체코슬로바키아는 아니지만...
그러나 이 경우도 그나마 안전한 방법인 것이지 절대적인 방법이 아니다. 강대국간 게임이 될 경우, 이른바 "거스름돈"이자 "버리는 카드"가 될 운명을 맞이할 수도 있다. 프랑스의 군사동맹이던 체코슬로바키아가 1938년 버려진 걸 생각해보자.(물론 그래서 프랑스도 망했다.)
다행히 미국이 프랑스는 아니고, 한국도 체코슬로바키아는 아니지만...
때문에 여기서 소국들이 쉽게 유혹을 느끼는 것이 "핵"이다. 현 국제사회에서 핵개발의 의미를 생각하면 그냥 답이 없다.
때문에 여기서 소국들이 쉽게 유혹을 느끼는 것이 "핵"이다. 현 국제사회에서 핵개발의 의미를 생각하면 그냥 답이 없다.
1. 해당국의 패권을 인정하고 알아서 긴다. => 그냥 이 정도로 끝나고 강국이 그 이상 무리한 요구를 하지 않으면 이게 최선이이다. 근대 이전 동아시아의 중화왕조와 주변국간 조공책봉체계가 이에 부합할 것이다.
그러나 국제사회의 강국들 중에 이런 착한 놈은 잘 보이지가 않는다. 그나마 미국이 여기에 가까운 측이긴 하나 러시아나 중국은 절대 그럴 놈들이 아니다.
1. 해당국의 패권을 인정하고 알아서 긴다. => 그냥 이 정도로 끝나고 강국이 그 이상 무리한 요구를 하지 않으면 이게 최선이이다. 근대 이전 동아시아의 중화왕조와 주변국간 조공책봉체계가 이에 부합할 것이다.
그러나 국제사회의 강국들 중에 이런 착한 놈은 잘 보이지가 않는다. 그나마 미국이 여기에 가까운 측이긴 하나 러시아나 중국은 절대 그럴 놈들이 아니다.
전쟁 중인데 국방예산을 줄인다는 건 어불성설이고, 그렇다고 어디서 돈나올 구석이 있는 것도 아니다.
전쟁 중인데 국방예산을 줄인다는 건 어불성설이고, 그렇다고 어디서 돈나올 구석이 있는 것도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