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옵저버빌리티
로그 관리가 고민이라면? Vector로 관찰 가능성을 높여보세요!
클라우드 환경에서 폭증하는 로그와 메트릭,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요? Vector는 기존 솔루션의 한계를 뛰어넘는 Observability 데이터 파이프라인 도구예요. Rust 기반으로 빠르고 효율적이며, VRL(Vector Remap Language)로 복잡한 데이터 변환과 라우팅도 손쉽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insight.infograb.net/blog/2025/07...
#옵저버빌리티 #클라우드네이티브 #DevOps
Vector + VRL로 완성하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Observability 실전 가이드
Vector는 ELK 스택의 성능 한계를 극복하는 Observability 데이터 파이프라인 도구입니다. 이는 VRL로 타입 안전성과 빠른 데이터 변환을 지원하며, 멀티 백엔드 라우팅으로 효율적인 로그 관리를 돕습니다. 아울러 Vector는 방대한 로그와 메트릭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이 글은 Vector의 개념과 특징, 사용 방법, Kuber...
insight.infograb.net
July 17, 2025 at 10:40 PM
microsoft/retina github.com/microsoft/re...
eBPF 기반 kubernetes 네트워크 옵저버빌리티 플랫폼
eBPF 좀 익숙해져야하는데 이거나 좀 테스트해볼까...
GitHub - microsoft/retina: eBPF distributed networking observability tool for Kubernetes
eBPF distributed networking observability tool for Kubernetes - microsoft/retina
github.com
August 23, 2024 at 11:54 PM
작년에 옵저버빌리티 엔지니어링 책을 봐서 그런가 옵저버빌리티는 드릴다운이 핵심이라는 생각으로 귀결되었다. 문제는 드릴다운을 어떻게 할것인가!
April 2, 2024 at 5:33 PM
5월 부터 시작한 "옵저버빌리티 엔지니어링" 스터디도 뭔가 끝이 안보이는 느낌이었는데 어느새 거의 막바지까지 왔다.
September 19, 2023 at 1:30 PM
"옵저버빌리티 엔지니어링" 스터디 2주차를 했다.

> 대부분의 경우 지루한 기술을 선택해야 합니다. 지루함을 나쁜 것과 혼동하지 마세요.

좋은 말이다.(원서지만 번역은 DeepL의 도움으로...)

> 분산된 환경에서는 스테이징 시스템의 유용성이나 안정성이 예전보다 떨어졌습니다. 모놀리식 환경에서도 프로덕션 환경을 스테이징에 복제하는 것은 항상 어려웠습니다. 이제 분산된 환경에서는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이 책이 계속 강조하는건 프로덕션을 봐야된다는 거라 문제의식은 어느정도 공감
May 30, 2023 at 1:37 PM
오랜만에 그룹스터디를 다시 시작했다. "옵저버빌리티 엔지니어링"인데 초반부터 흥미롭군. (이제 당분간 진도 맞춰서 공부해야하는...)
May 23, 2023 at 1:38 P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