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에이전트와 도구를 결합하는 방법 중 하나인 "재귀적 신경신호 제어 역전(recursive neuro-symbolic IoC) 패턴"에 대해 정리했다. 이름이 너무 거창해서 마음에 쏙 들지는 않지만 정확한 명명이라서 그냥 그렇게 정했다. wiki.g15e.com/pages/Recurs...
재귀적 신경기호 제어 역전
AI 에이전트와 전통적인 로직 사이의 재귀적인 제어 역전(IoC)을 통해 두 시스템 사이의 장점을 취하는 설계 방식에 대한 생각을 정리했다. 최근에 했던 두 가지 시도(반구조적 소프트웨어 명세서 (s4), 과정에 담긴 가치의 증강)에 담긴 공통점이기도 하다.
wiki.g15e.com
August 21, 2025 at 9:26 PM
AI 에이전트와 도구를 결합하는 방법 중 하나인 "재귀적 신경신호 제어 역전(recursive neuro-symbolic IoC) 패턴"에 대해 정리했다. 이름이 너무 거창해서 마음에 쏙 들지는 않지만 정확한 명명이라서 그냥 그렇게 정했다. wiki.g15e.com/pages/Recurs...
지나친 자동화로 인해 '과정에 담긴 가치'가 훼손되어 당장의 편리함과 장기적인 이득을 맞교환하는 실수를 종종한다. 자동화를 잘해서 과정에 담긴 가치를 오히려 증강시킨 사례를 정리해봤다. wiki.g15e.com/pages/Augmen...
과정에 담긴 가치의 증강
과정에 담긴 가치를 증강하기.
wiki.g15e.com
August 21, 2025 at 12:26 PM
지나친 자동화로 인해 '과정에 담긴 가치'가 훼손되어 당장의 편리함과 장기적인 이득을 맞교환하는 실수를 종종한다. 자동화를 잘해서 과정에 담긴 가치를 오히려 증강시킨 사례를 정리해봤다. wiki.g15e.com/pages/Augmen...
올해 4월부터 약 5개월 간 진행한 에이전트 기반 코딩 실험에 대해 회고를 해봤다: wiki.g15e.com/pages/Retros...
에이전트 기반 코딩 실험 회고
2025년 4월부터 2025년 8월 사이에 짬을 내서 에이전트 기반 코딩에 대한 이런저런 실험을 해봤는데, 지금쯤(2025년 8월 19일) 회고를 한 번 하면 좋을 것 같아서 돌아보며 정리를 해봤다.
wiki.g15e.com
August 19, 2025 at 4:24 AM
올해 4월부터 약 5개월 간 진행한 에이전트 기반 코딩 실험에 대해 회고를 해봤다: wiki.g15e.com/pages/Retros...
타협하는 마음으로 매번 민주당을 찍는다. 나는 좌파고 애국심도 없는 반면 민주당은 애국보수이기 때문에 정치적으로 맞지 않는다. 국민의힘을 비롯한 일부 정치 세력과 일부 종교 세력은 “보수”가 아니라 “반인륜적 기회주의 세력”에 불과하기 때문에 애초에 고려 대상이 아니다.
반인륜적 기회주의 세력이 충분히 정리되고, 민주당이 정통보수로 자리잡고, 언론이 제대로 작동하기 시작하면(현재의 언론은 기회주의 세력의 일부이거나 극도로 무능하다), 그러면 드디어 안심하고 내가 실제로 지지하는 진보 계열 정당을 찍을 수 있을 것 같다.
반인륜적 기회주의 세력이 충분히 정리되고, 민주당이 정통보수로 자리잡고, 언론이 제대로 작동하기 시작하면(현재의 언론은 기회주의 세력의 일부이거나 극도로 무능하다), 그러면 드디어 안심하고 내가 실제로 지지하는 진보 계열 정당을 찍을 수 있을 것 같다.
June 3, 2025 at 3:26 PM
타협하는 마음으로 매번 민주당을 찍는다. 나는 좌파고 애국심도 없는 반면 민주당은 애국보수이기 때문에 정치적으로 맞지 않는다. 국민의힘을 비롯한 일부 정치 세력과 일부 종교 세력은 “보수”가 아니라 “반인륜적 기회주의 세력”에 불과하기 때문에 애초에 고려 대상이 아니다.
반인륜적 기회주의 세력이 충분히 정리되고, 민주당이 정통보수로 자리잡고, 언론이 제대로 작동하기 시작하면(현재의 언론은 기회주의 세력의 일부이거나 극도로 무능하다), 그러면 드디어 안심하고 내가 실제로 지지하는 진보 계열 정당을 찍을 수 있을 것 같다.
반인륜적 기회주의 세력이 충분히 정리되고, 민주당이 정통보수로 자리잡고, 언론이 제대로 작동하기 시작하면(현재의 언론은 기회주의 세력의 일부이거나 극도로 무능하다), 그러면 드디어 안심하고 내가 실제로 지지하는 진보 계열 정당을 찍을 수 있을 것 같다.
주1회 영어로 시사 토론(?)을 하는 모임(?)이 있는데, 상대방이 트럼프+일론 지지자다. 하고 싶은 말이 너무 많아서 강제로 입이 트이는 기적이 일어난다 ㅋㅋㅋㅋ
February 9, 2025 at 7:43 AM
주1회 영어로 시사 토론(?)을 하는 모임(?)이 있는데, 상대방이 트럼프+일론 지지자다. 하고 싶은 말이 너무 많아서 강제로 입이 트이는 기적이 일어난다 ㅋㅋㅋㅋ
Reposted by ak 앜 🌱🎗 📚 💻
<보수주의자가 되는 법(How to be a conservative)> 읽는 타래. 영국의 철학자 Roger Scruton의 2014년 저서.
February 2, 2025 at 2:01 AM
<보수주의자가 되는 법(How to be a conservative)> 읽는 타래. 영국의 철학자 Roger Scruton의 2014년 저서.
"3000 All Rings Closed. You earned this award for closing all your rings 3000 times." 😎
January 22, 2025 at 12:52 PM
"3000 All Rings Closed. You earned this award for closing all your rings 3000 times." 😎
올해 첫 코딩 세션은 Cloudflare 버그 때문에 2시간 낭비하며 시작. 오늘도 평화롭고 평범한 개발자의 하루 ㅋㅋㅋㅋ github.com/cloudflare/w...
🐛 BUG: `ReferenceError: __name is not defined` in `await page.evaluate(async () => {...}` · Issue #7107 · cloudflare/workers-sdk
Which Cloudflare product(s) does this pertain to? Workers Runtime, Wrangler What version(s) of the tool(s) are you using? 3.83.0 What version of Node are you using? 20.18.0 What operating system an...
github.com
January 1, 2025 at 8:45 AM
올해 첫 코딩 세션은 Cloudflare 버그 때문에 2시간 낭비하며 시작. 오늘도 평화롭고 평범한 개발자의 하루 ㅋㅋㅋㅋ github.com/cloudflare/w...
Reposted by ak 앜 🌱🎗 📚 💻
미국 대선 관련 나 또한 여러번 언급한 제정신세탁(sanewashing) 문제의 한국판. 논의 가능한 사안의 범주를 정하는 것 역시 언론의 중요한 역할인데도 현 미디어 환경 속에서 많이들 망각한 부분.
언론이 매우 잘못하고 있는 것 같다. 어제 "100분 토론"도 그렇고. 명백하게 문제인 사안을 두고 토론거리로 만들어서 마치 다른 해석 가능성이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게 잘하는 건가?
December 6, 2024 at 3:26 AM
미국 대선 관련 나 또한 여러번 언급한 제정신세탁(sanewashing) 문제의 한국판. 논의 가능한 사안의 범주를 정하는 것 역시 언론의 중요한 역할인데도 현 미디어 환경 속에서 많이들 망각한 부분.
명백히 내란죄를 범했음에도 불구하고 국힘 대변인을 패널로 불러서 "토론"을 벌이며 마치 다툼의 여지가 있는 사안처럼 보이게 만든 건 잘못된 기획이다.
토론과 표현의 자유 모두 중요하지만, 자유엔 한계가 있고(똘레랑스 패러독스) 어떤 발화는 그 자체로 문제적이다. 18세기 미국에선 "노예제가 정당한가"가 합당한 토론 주제였으나 지금 방송국에서 그 주제로 토론 프로를 여는 건 상상하기 어렵다. 마찬가지로 21세기 한국에서 "대통령이 비상계엄 형식을 빌어 무력으로 의회 기능을 방해하면 내란죄인가?"를 토론할 문제로 인정해서는 안된다.
토론과 표현의 자유 모두 중요하지만, 자유엔 한계가 있고(똘레랑스 패러독스) 어떤 발화는 그 자체로 문제적이다. 18세기 미국에선 "노예제가 정당한가"가 합당한 토론 주제였으나 지금 방송국에서 그 주제로 토론 프로를 여는 건 상상하기 어렵다. 마찬가지로 21세기 한국에서 "대통령이 비상계엄 형식을 빌어 무력으로 의회 기능을 방해하면 내란죄인가?"를 토론할 문제로 인정해서는 안된다.
언론이 매우 잘못하고 있는 것 같다. 어제 "100분 토론"도 그렇고. 명백하게 문제인 사안을 두고 토론거리로 만들어서 마치 다른 해석 가능성이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게 잘하는 건가?
December 5, 2024 at 1:14 PM
명백히 내란죄를 범했음에도 불구하고 국힘 대변인을 패널로 불러서 "토론"을 벌이며 마치 다툼의 여지가 있는 사안처럼 보이게 만든 건 잘못된 기획이다.
토론과 표현의 자유 모두 중요하지만, 자유엔 한계가 있고(똘레랑스 패러독스) 어떤 발화는 그 자체로 문제적이다. 18세기 미국에선 "노예제가 정당한가"가 합당한 토론 주제였으나 지금 방송국에서 그 주제로 토론 프로를 여는 건 상상하기 어렵다. 마찬가지로 21세기 한국에서 "대통령이 비상계엄 형식을 빌어 무력으로 의회 기능을 방해하면 내란죄인가?"를 토론할 문제로 인정해서는 안된다.
토론과 표현의 자유 모두 중요하지만, 자유엔 한계가 있고(똘레랑스 패러독스) 어떤 발화는 그 자체로 문제적이다. 18세기 미국에선 "노예제가 정당한가"가 합당한 토론 주제였으나 지금 방송국에서 그 주제로 토론 프로를 여는 건 상상하기 어렵다. 마찬가지로 21세기 한국에서 "대통령이 비상계엄 형식을 빌어 무력으로 의회 기능을 방해하면 내란죄인가?"를 토론할 문제로 인정해서는 안된다.
언론이 매우 잘못하고 있는 것 같다. 어제 "100분 토론"도 그렇고. 명백하게 문제인 사안을 두고 토론거리로 만들어서 마치 다른 해석 가능성이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게 잘하는 건가?
December 5, 2024 at 5:33 AM
언론이 매우 잘못하고 있는 것 같다. 어제 "100분 토론"도 그렇고. 명백하게 문제인 사안을 두고 토론거리로 만들어서 마치 다른 해석 가능성이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게 잘하는 건가?
"I'm Malala" 읽는 중. 아프가니스탄 사람들이 입장에서는 소설 셜록 홈즈의 화자인 닥터 왓슨이 1880년 전투(소설에 의하면 "2차 앵글로-아프간 전쟁" 중 가장 큰 전투)에서 적군(영국군)이었다는 얘기가 인상 깊었다.
December 3, 2024 at 8:23 AM
"I'm Malala" 읽는 중. 아프가니스탄 사람들이 입장에서는 소설 셜록 홈즈의 화자인 닥터 왓슨이 1880년 전투(소설에 의하면 "2차 앵글로-아프간 전쟁" 중 가장 큰 전투)에서 적군(영국군)이었다는 얘기가 인상 깊었다.
앞으로 트위터는 일론 머스크 욕하는 용도로 주로 써야겠다.
November 29, 2024 at 3:27 AM
앞으로 트위터는 일론 머스크 욕하는 용도로 주로 써야겠다.
보수주의자들은 대체 어떤 방식으로 사고하는지 궁금해서 "How to Be a Conservative" (Roger Scruton) 를 샀다. 번역서 제목은 "왜 나는 보수주의자가 되었나"라고 함.
November 26, 2024 at 1:18 AM
보수주의자들은 대체 어떤 방식으로 사고하는지 궁금해서 "How to Be a Conservative" (Roger Scruton) 를 샀다. 번역서 제목은 "왜 나는 보수주의자가 되었나"라고 함.
Reposted by ak 앜 🌱🎗 📚 💻
예전부터 한국과 프랑스에서 시위 많이 다녀봐서 느끼는건데 아무리 시위를 얌전하게 해도 폭력시위 프레임은 누가 꼭 씌우더라. ( 두 나라 다 마찬가지). 뭘 해도 폭력시위 프레임을 만들고, 심지어 아무것도 안 하면 조작비슷한 것을 해서라도 폭력시위 프레임을 만든다. 누가 소음에 시험을 망쳤다느니 도로를 시위대가 막아서 직장에 못 가서 해고된 사람이 있다느니. 경찰들이 하루종일 서있다가 잠을 못 자서 괴롭다느니. 시위 주장에 집중해야지 폭력시위 프레임엔 잡중할 필요가 없다.
오만 사람들이 동덕여대 시위에 말을 얹고 있어서 딱히 말하고 싶지도 않지만, 도대체 폭력시위라는 프레이밍은 이해할 수가 없다. 사람에게 위해를 가한 것도 아니고, 기물을 파손한 것도 아니고, 기껏해야 미관을 해친 것인데 대단한 폭력인 것마냥 얘기하면 애초에 싸움 자체를 틀어막고 싶은 거잖아. 여성혐오, 특히 여대에 대한 비상식적인 증오심리와 거기에 부응하려는 언론, 정치인들의 증오선동이 일차적 요인이지만, 기본적으로 점차 중간계급의식 중심으로 돌아가는 우리 사회의 특성도 큰 것 같다.
November 24, 2024 at 7:20 PM
예전부터 한국과 프랑스에서 시위 많이 다녀봐서 느끼는건데 아무리 시위를 얌전하게 해도 폭력시위 프레임은 누가 꼭 씌우더라. ( 두 나라 다 마찬가지). 뭘 해도 폭력시위 프레임을 만들고, 심지어 아무것도 안 하면 조작비슷한 것을 해서라도 폭력시위 프레임을 만든다. 누가 소음에 시험을 망쳤다느니 도로를 시위대가 막아서 직장에 못 가서 해고된 사람이 있다느니. 경찰들이 하루종일 서있다가 잠을 못 자서 괴롭다느니. 시위 주장에 집중해야지 폭력시위 프레임엔 잡중할 필요가 없다.
음식에는 맛, 건강, 윤리, 사회적 교류 등 다양한 의미가 있다. 거의 모든 음식 평론은 사실 "음식" 평론이 아니라 "맛" 평론에 불과한데 몇몇 평론가들은 마치 자신에게 음식의 모든 측면에 대해 평론할 전문성과 독점적 권위가 있다는 듯 행동한다.
November 25, 2024 at 10:36 PM
음식에는 맛, 건강, 윤리, 사회적 교류 등 다양한 의미가 있다. 거의 모든 음식 평론은 사실 "음식" 평론이 아니라 "맛" 평론에 불과한데 몇몇 평론가들은 마치 자신에게 음식의 모든 측면에 대해 평론할 전문성과 독점적 권위가 있다는 듯 행동한다.
새벽에 코딩하던 중 Copilot이 갑자기 코드 제안을 안하기 시작했다. 알고보니 인터넷이 잠깐 끊겼던 것. 혼자 코딩한다는 마음에 외로움(!?)이 느껴졌더랬다. 새벽이라 그런가? 별 일이 다 있다 ㅋㅋ
November 22, 2024 at 8:09 PM
새벽에 코딩하던 중 Copilot이 갑자기 코드 제안을 안하기 시작했다. 알고보니 인터넷이 잠깐 끊겼던 것. 혼자 코딩한다는 마음에 외로움(!?)이 느껴졌더랬다. 새벽이라 그런가? 별 일이 다 있다 ㅋㅋ
AWS Lambda 가 나온지 10년 밖에 안됐다고. 훨씬 오래된 느낌이 드는데... aws.amazon.com/blogs/aws/aw...
AWS Lambda turns ten – looking back and looking ahead | Amazon Web Services
Explore the journey of AWS Lambda, the pioneering serverless computing service, from its 2013 inception to powering over two million users and tens of trillions of function invocations monthly.
aws.amazon.com
November 21, 2024 at 5:20 AM
AWS Lambda 가 나온지 10년 밖에 안됐다고. 훨씬 오래된 느낌이 드는데... aws.amazon.com/blogs/aws/aw...
'블스'는 '블교 스님'일까🤔
블스에서 개신교인이란 무엇인가요?
->강쥐를 사랑하는 사람을 말합니다
캣홀릭은요?
->고앵을 좋아하는 사람들을...
->강쥐를 사랑하는 사람을 말합니다
캣홀릭은요?
->고앵을 좋아하는 사람들을...
November 20, 2024 at 8:44 AM
'블스'는 '블교 스님'일까🤔
일론 머스크가 The Joe Rogan Experience에서 기후 위기에 대한 거짓 정보를 전파. 전기차 팔아먹을 땐 환경 운운하지만 사실은 환경에 별 관심이 없다. sentientmedia.org/musk-rogan-c...
What Musk and Rogan Got Very Wrong About Climate Change and Meat
In a recent podcast appearance, Musk spread climate misinformation.
sentientmedia.org
November 19, 2024 at 2:42 PM
일론 머스크가 The Joe Rogan Experience에서 기후 위기에 대한 거짓 정보를 전파. 전기차 팔아먹을 땐 환경 운운하지만 사실은 환경에 별 관심이 없다. sentientmedia.org/musk-rogan-c...
미국 대선 직후 트위터의 대안을 찾는 사람들 백만명이 블루스카이에 유입되었다는 기사: newslab.org/bluesky-has-...
Bluesky Has Added 1 Million Users Since US Election As People Seek Alternatives To X
newslab.org
November 19, 2024 at 2:06 AM
미국 대선 직후 트위터의 대안을 찾는 사람들 백만명이 블루스카이에 유입되었다는 기사: newslab.org/bluesky-has-...
Reposted by ak 앜 🌱🎗 📚 💻
저는 원글자가 아닙니다 복원사업의 일부일 뿐입니다..
October 19, 2024 at 4:27 AM
저는 원글자가 아닙니다 복원사업의 일부일 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