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ingsince
@beingsince.bsky.social
370 followers 140 following 690 posts
At the crossroads of urban policies and data- keep out of direct light and store in a cool, dry place urbanotters.github.io
Posts Media Videos Starter Packs
beingsince.bsky.social
방바닥.. 먼지.. 닦는다..
beingsince.bsky.social
(방바닥 쓰는 소리)
beingsince.bsky.social
선관위로부터 각 구청/주민센터에 전달이 되어서 선거사무를 하게 되는 로직이고요. 그런데 이 통반이 어떤 지번(주소)와 묶여있는지는 각 구청별 조례로 정해지는데, 이것도 도시계획이나 행정개편 등에 의해 상시...로 변합니다. 별 이유 없어도 행정/관리편의상 통폐합 하는 경우도 있고요. 그래서 매번 특정 시점을 잡아 동기화를(수동으로) 해 줘야 하는데 뭐 맨날 변하는건 아니니까요... 서울은 아주 예전에 한번 큰맘먹고 싹 새로 그린 다음 변경된 부분만 업데이트 하는 식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beingsince.bsky.social
저 괄호 안의 이야기를 좀 길게 드리자면 약간 그 한국 행정의 심연 같은건데요.. 선관위에는 관할구역 자료가 있고, 이게 매번 선거구 획정마다 공표가 됩니다. 행정구역 개편이나 재개발 등으로 도시구조가 변하게 되면, 이 관할구역도 변하는데, 이게 지자체 선거사무의 편의 때문에 만들어진거라 기준이 통반단위로 되어있습니다. 지자체의 행정투사 단위가 통반이므로(계속)
beingsince.bsky.social
간단하게 말씀드리면... 투표구 구획지도는 별도로 공개된 것이 없고 (여러 자료를 취합하여) 제가 만든 것입니다.
beingsince.bsky.social
공간사회/경제지리 고전이론중에 중력이론이라고. 가까울수록 영향 많이 받는다는 이론 있음. 직관적. "거대교회"가 지역의 득표에 어느정도나 영향을 줬느냐를 볼 때, 직접권역과 인접권역, 그 외 권역으로 나눠서 분석을 좀 해보려고 함. 지금까지는 직접생활권을 넘지 못한다... 라는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 이번에도 그럴지 아니면 좀 다를지는 일단 숫자를 좀 더 뜯어봐야...
beingsince.bsky.social
짧게. 이번 구로 재보궐에서 자유통일당 득표가 많이 나온 지역이 수궁동, 그중 1투에 연세중앙교회가 있음. 생활권으로 따지면 수궁 1,2,3투와 오류1동 2,3,4투정도까지가 같은 생활권. 경인로가 꽤 큰 도로라, 경계가 된다. 오류1동 1/5투랑은 생활권이 갈리는 편. 수궁 456은 온수역이 가깝고.
beingsince.bsky.social
아이고. 데이터 좀 더 뜯어봐야 하는데, 여러 질문들이 있겠지만 우선 “이번 결과가 24년 비례 패턴과 뚜렷하게 차별적이냐“는 질문을 하려고 합니다. 투표율 이슈도 (당연히)있을 것이고요.
beingsince.bsky.social
사실 '한국식 남성성'의 정점에 가까운게 노무현/문재인 전 대통령인데(군필, 사시합격, 마초이즘-애처가) 이걸 인정을 못하는데서 (20대)남성 롤모델의 많은 것들이 빠그러지는게 아닌가 싶고..
Reposted by beingsince
kivol.net
Kivol @kivol.net · Feb 14
서울의소리-윈지코리아에서 가상번호-ARS 방식으로 영남권에만 전화를 걸었는데 불일치율 51.7%였다고. 참고로 2019년 연구로는 전체적으로 19~22%정도 불일치율이 나타났었다고 함. (꼭 속여서라기보다는 통신사 정보를 이용하는 가상번호의 원리상 불일치는 충분히 있을 수 있음)

기타 자세한 여론조사 이론 이야기는 이곳에서:
kivoloid.notion.site/194512210ea7...
beingsince.bsky.social
96x96 seoul #minidosi #미니도시
Reposted by beingsince
nobody-indepth.bsky.social
그런데 정말, 조사기관까지 "강원/제주"의 등락 소숫점 퍼센트 포인트로 보도자료 만들거나 그러는거 정말 얼마나 여론 표집에 관심이 없는지 보여주는 바로미터란 생각이 들어요. 그런 면에서도 조사 자체는 꼼꼼히 하는 NBS가 도표들에 강원/제주 묶어 넣는것이랑, 갤럽은, 소표본주의 등으로 아예 수치 자체를 넣지 않는데서 업력의 차이가 느껴진다고 할까요. 진짜 이런 차이들 널리널리 알리는게 중요...
Reposted by beingsince
nobody-indepth.bsky.social
내가 갤럽만 "믿겠다" 이런게 아님. 내가 의존하는 데이터생산자가 얼마나 디테일에 신경쓰느냐를, 마치 내가 상품들 고를 때, 마감 어케 했냐를 통해 품질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것. 방송서 공장 등등 비유를 드셨는데, 우리나라 품질보증 기준은 너무 낮고 (나쁜 품질에도 여심위KS마크 붙여줌) 중요 대목에 불량식품에 배탈나는 경우 넘 많음.
beingsince.bsky.social
첫번째것은 제 체력이 떨어진 이슈가 크고(...) 두번째는 저도 못봤네요 으악..
beingsince.bsky.social
전달하였습니다!
beingsince.bsky.social
유튜브 모바일에서도 깨지네요 확인하고 전달하겠습니다
beingsince.bsky.social
넵. 애플 팟캐스트인가요?
beingsince.bsky.social
생각을 많이 하게 됨. 물론 한국에서 벌어지는 일들만큼 알진 못하겠지만.
beingsince.bsky.social
5년 전..에 그렌펠에 다녀왔구나. 출장으로 갔다가 반나절 시간이 비어서.
beingsince.bsky.social
두 분 덕분에 오늘 녹음 잘 마치고 왔습니다..! 공개는 아마 금-토 정도일 것 같습니다!
Reposted by beingsince
kivol.net
Kivol @kivol.net · Feb 8
kivoloid.notion.site/194512210ea7...
<여론조사 해석의 기초> 초고 완성했습니다. 혹시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위 주소를 사용해 주시면 됩니다!

cc. @nobody-indepth.bsky.social @beingsince.bsky.soc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