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세한 내용은 블로그에.
자세한 내용은 블로그에.
dirtmentalist.tistory.com/193
dirtmentalist.tistory.com/193
Dark Side of Faith: The Psychology of Secondary Narcissism
medium.com/@dirtmentali...
#Psychology #Narcissism #Culture #Faith
Dark Side of Faith: The Psychology of Secondary Narcissism
medium.com/@dirtmentali...
#Psychology #Narcissism #Culture #Faith
Victim mentality isn’t just complaining—it’s a survival tool. In my first Medium post, I explore how cultural survival strategies differ between Korea and North America. 🌎
Victim mentality isn’t just complaining—it’s a survival tool. In my first Medium post, I explore how cultural survival strategies differ between Korea and North America. 🌎
무려 미국 대통령인 도널드 트럼프가 가장 천대하는 자녀인 티파니에게 대학 입학을 축하하며 준 용돈은 고작 월 50만원이었다.
무려 미국 대통령인 도널드 트럼프가 가장 천대하는 자녀인 티파니에게 대학 입학을 축하하며 준 용돈은 고작 월 50만원이었다.
자신이 진짜 집중해야 하는 코어 태스크는 뒤로 하고 갑자기 난입한 무자격자의 평가에 따라 자아상을 뒤집고, 오늘의 계획을 수정하고, 심지어 장기적 인생 항로까지 뒤튼다. 이렇게 하면서 이것을 완벽주의라고 착각하기까지 한다.
그러나 이건 완벽주의가 아니고 비판적 사고가 마비되어 남들이 세뇌하는대로 움직이게 컨디셔닝된 상태라고 봐야한다.
자신이 진짜 집중해야 하는 코어 태스크는 뒤로 하고 갑자기 난입한 무자격자의 평가에 따라 자아상을 뒤집고, 오늘의 계획을 수정하고, 심지어 장기적 인생 항로까지 뒤튼다. 이렇게 하면서 이것을 완벽주의라고 착각하기까지 한다.
그러나 이건 완벽주의가 아니고 비판적 사고가 마비되어 남들이 세뇌하는대로 움직이게 컨디셔닝된 상태라고 봐야한다.
(Freedom is not worth having if it does not include the freedom to make mistakes.)
-마하트마 간디
(Freedom is not worth having if it does not include the freedom to make mistakes.)
-마하트마 간디
반응이 없으면 그나마 다행이고 후려치거나 트집을 잡거나 전혀 딴 소리를 하며 과거의 기준을 부정하는 경우가 훨씬 더 많다. 상대방에게 칭찬을 하거나 고마워하기가 싫기 때문이다.
반응이 없으면 그나마 다행이고 후려치거나 트집을 잡거나 전혀 딴 소리를 하며 과거의 기준을 부정하는 경우가 훨씬 더 많다. 상대방에게 칭찬을 하거나 고마워하기가 싫기 때문이다.
1978년에 심리학자 D. E. 하마첵은 완벽주의를 2가지로 나누었다. 하나는 자존감과 무관하게 높은 기준을 추구하고 그 노력에서 즐거움을 느끼는 '정상적(normal) 완벽주의'이고 다른 하나는 비현실적인 목표 설정과 그로 인해 자신에게 불만족하는 '신경증적(neurotic) 완벽주의'.
1978년에 심리학자 D. E. 하마첵은 완벽주의를 2가지로 나누었다. 하나는 자존감과 무관하게 높은 기준을 추구하고 그 노력에서 즐거움을 느끼는 '정상적(normal) 완벽주의'이고 다른 하나는 비현실적인 목표 설정과 그로 인해 자신에게 불만족하는 '신경증적(neurotic) 완벽주의'.
즉, 사이코패스에게는 '설마 본인까지 다칠 수 있는 수준의 극단적인 행동을 하지는 않겠지'와 같은 생각이 먹히지 않을 수 있다.
#사이코패스 #심리
www.psypost.org/people-with-...
즉, 사이코패스에게는 '설마 본인까지 다칠 수 있는 수준의 극단적인 행동을 하지는 않겠지'와 같은 생각이 먹히지 않을 수 있다.
#사이코패스 #심리
www.psypost.org/people-with-...
강의를 질문이나 평가로 시작하면 수강생들의 긴장감과 집중력을 단기적으로나마 높일 수 있다. 심지어 강연자에 대해 시니컬한 태도를 가지고 있는 사람조차 조금은 유순하게 만들 수 있다. 왜냐하면 사람은 누구나 이왕이면 좋은 평가를 받고자 하는 지향이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평가 대상화는 비교적 손쉽게 권력 우위를 점할 수 있는 트릭 중 하나이다.
강의를 질문이나 평가로 시작하면 수강생들의 긴장감과 집중력을 단기적으로나마 높일 수 있다. 심지어 강연자에 대해 시니컬한 태도를 가지고 있는 사람조차 조금은 유순하게 만들 수 있다. 왜냐하면 사람은 누구나 이왕이면 좋은 평가를 받고자 하는 지향이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평가 대상화는 비교적 손쉽게 권력 우위를 점할 수 있는 트릭 중 하나이다.
자기중심적 판타지에 빠진 사람은 현실을 제대로 볼 수 없기 때문에 이기적인 태도에도 불구하고 결과적으로 손해를 보는 경우도 많다. 감정적인 피아식별과 반지성적인 이분법이 엉뚱한 에너지 낭비를 불러오기 때문이다.
자기중심적 판타지에 빠진 사람은 현실을 제대로 볼 수 없기 때문에 이기적인 태도에도 불구하고 결과적으로 손해를 보는 경우도 많다. 감정적인 피아식별과 반지성적인 이분법이 엉뚱한 에너지 낭비를 불러오기 때문이다.
그것은 본인 기분과 입맛에 따라 과도한 통제와 방임을 완벽히 오갈 수 있도록 해주는 자녀이다.
나르시시스트가 바라는 자녀는 밥을 굶겨도 키는 알아서 크고, 책을 안 사줘도 공부는 알아서 잘하고, 누구보다 똑똑하지만 동시에 부모의 틀린 말에 진심으로 동의하고, 부모 없이도 어릴 때부터 모든 것을 혼자서 처리할 줄 알지만 동시에 부모 없으면 아무것도 못해 부모에게 전능감을 주는 자녀이다.
그것은 본인 기분과 입맛에 따라 과도한 통제와 방임을 완벽히 오갈 수 있도록 해주는 자녀이다.
나르시시스트가 바라는 자녀는 밥을 굶겨도 키는 알아서 크고, 책을 안 사줘도 공부는 알아서 잘하고, 누구보다 똑똑하지만 동시에 부모의 틀린 말에 진심으로 동의하고, 부모 없이도 어릴 때부터 모든 것을 혼자서 처리할 줄 알지만 동시에 부모 없으면 아무것도 못해 부모에게 전능감을 주는 자녀이다.
심지어는 이같은 싸움의 기회를 일부러 찾아다니거나 긁어부스럼 격으로 싸움의 기회를 창조하기까지 하는 갈등 중독 성향의 이들도 적지 않다.
모든 문제에 대해 정답이 하나라고 믿으면 타인의 인생 결정에 참견을 안 할 수가 없다.
왜? 타인이 오답을 택할까봐 걱정되어서? 물론 그럴 수도 있다. 그러나 이를 뒤집어 생각하면 타인의 결정 때문에 내 선택이 오답이 될 수도 있다는 말이기도 하다.
심지어는 이같은 싸움의 기회를 일부러 찾아다니거나 긁어부스럼 격으로 싸움의 기회를 창조하기까지 하는 갈등 중독 성향의 이들도 적지 않다.
모든 문제에 대해 정답이 하나라고 믿으면 타인의 인생 결정에 참견을 안 할 수가 없다.
왜? 타인이 오답을 택할까봐 걱정되어서? 물론 그럴 수도 있다. 그러나 이를 뒤집어 생각하면 타인의 결정 때문에 내 선택이 오답이 될 수도 있다는 말이기도 하다.
일의 순서를 알 수가 없기 때문에 어디에서 끊고 어디에서 시작해야 하는지를 알 수 없다.
자존감과 주체성이 낮으면 자존감과 주체성에 상처를 주는 일이 더 잘 생기고 그런 경험 때문에 자존감과 주체성은 더욱 낮아진다.
그럼 해결 방법은 무엇일까? 어디에서든 시작해야 한다는 것, 그리고 일상에서 시작해야 한다는 것이다.
출처: dirtmentalist.tistory.com/158
#자기계발 #심리
일의 순서를 알 수가 없기 때문에 어디에서 끊고 어디에서 시작해야 하는지를 알 수 없다.
자존감과 주체성이 낮으면 자존감과 주체성에 상처를 주는 일이 더 잘 생기고 그런 경험 때문에 자존감과 주체성은 더욱 낮아진다.
그럼 해결 방법은 무엇일까? 어디에서든 시작해야 한다는 것, 그리고 일상에서 시작해야 한다는 것이다.
출처: dirtmentalist.tistory.com/158
#자기계발 #심리
누군가를 절대적으로 광신하면 안 되는 이유는 누구도 완벽하지 않아서이기도 하지만, 내가 현재 바라보는 누군가의 모습이 그 사람의 최종판이 아니기 때문이기도 하다.
누군가를 절대적으로 광신하면 안 되는 이유는 누구도 완벽하지 않아서이기도 하지만, 내가 현재 바라보는 누군가의 모습이 그 사람의 최종판이 아니기 때문이기도 하다.
즉, 하나의 습관은 단지 개별 습관이 아니라 악순환 또는 선순환의 일부인 경우가 많다. 어디가 머리이고 꼬리인지, 무엇이 원인이고 결과인지, 이게 1단계인지 저게 1단계인지 알 수가 없다는 것이다. 근본 원인, 뿌리 등을 찾아내 그로부터 차근차근 '단계'를 밟아 해결하겠다는 전략으로는 이런 사이클을 이해할 수가 없다.
#흙멘탈리스트 #흙수저 #자기계발
이것은 이전까지의 자기 모습에 대한 올바른 성찰로 이어질 수도 있지만 어쭙잖은 '득도 코스프레'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다. 갑자기 현인이 된 것처럼 자신의 심경변화를 절대적 깨달음으로 착각하는 이들은 젊은이를 포함한 남들의 우선순위까지 바꿔놓으려고 한다.
이것은 이전까지의 자기 모습에 대한 올바른 성찰로 이어질 수도 있지만 어쭙잖은 '득도 코스프레'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다. 갑자기 현인이 된 것처럼 자신의 심경변화를 절대적 깨달음으로 착각하는 이들은 젊은이를 포함한 남들의 우선순위까지 바꿔놓으려고 한다.
#나르시시스트 #나르시시즘 #자기애성성격장애 #흙수저 #흙멘탈리스트
출처: dirtmentalist.tistory.com/186 [흙멘탈리스트: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