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YSS
@sdabyss.bsky.social
110 followers 15 following 9 posts
Posts Media Videos Starter Packs
sdabyss.bsky.social
갤북 자체의 스크린 색감은 붉은색이 아주 강조되는 느낌은 아닌데, 듀엣디스플레이는 왜 붉은색이 화면을 뚫고 올라오는 걸까... 색감과 필압 민감도 문제만 아니면 구독을 이어나갈 의향이 있었을텐데 두 문제가 너무 크리티컬하다.
Reposted by ABYSS
554.bsky.social
554 @554.bsky.social · Nov 18
#Warframe commission for Joia
This is my 1st pic with the Blue sky in credit.
Warframe Nezha doing middle finger pointed to Sevagoth prime
Reposted by ABYSS
n01r31.bsky.social
갑자기 모에체 스디에대한 깊생을하다 실험을함...
sdabyss.bsky.social
스크린과 본체 분리되지않아 접어서 쓰면 키보드 사용이 불가해 별도의 키보드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펜 버튼 커스텀도 불가능하다.
기분탓인지 모르겠는데 쿨링 송풍구 위치에 따라 발열 정도가 다른 느낌이다.
바람을 위로 빼줘야 발열이 덜 느껴지는 듯.
접었을 때 스크린 기준 cpu가 중앙 아래쪽에 있는지 그 부분이 뜨끈해져서 송풍구가 위쪽으로 가도록 거치하는게 여러모로 편한 것 같다.
sdabyss.bsky.social
별개로 갤럭시북5 pro 360 기기는 대만족이다.
필기감도 좋은 편이라고 느꼈고, I7 rtx4060 데스크탑의 성능은 못따라가지만 사이즈가 큰 작업물도 잘 버텨주는 편이다. (울트라7, 32g메모리 기준)
가벼운 3d작업도 무리 없이 가능했다.
아주 심한 정도가 아니면 스크린 색감에 예민하지 않은 나의 기준으로는 색감도 좋은 편이라고 생각한다. 옛날의 빨간 삼성 스크린은 아닌 듯
요즘 메인 기기로 잘 사용중이다.
sdabyss.bsky.social
갤럭시북5 pro 360을 구매하고 사용하며
작업 규모가 커지면 어쩔 수 없이 발열과 팬소음이 생겨서 신티크처럼 데스크탑에 물려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 며칠간 찾아봤는데
공통적으로 Windows-Windows 연결은 전부 무선 연결이었고 소프트웨어마다 성능 차이는 있지만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화면 송수신이 오락가락해서 불안정함
1. 윈도우 자체 기능(프로젝션)
-데스크탑 메인보드가 무선랜을 지원하는 모델이 애니면 랜카드 꽂아야함
-딜레이가 작업에 지장이 생길 정도로 있음(랜카드 성능에 따라 다를 수도 있음)
sdabyss.bsky.social
외에도 아스트로패드라는 소프트웨어가 있었는데 테스트는 안해봤다. 구독제만 있고 연간 플랜이 듀엣보다 조금 비쌌던 걸로 기억한다.
IOS는 사이드카 기능을 무료로 사용 가능한데 윈도우 프로젝션은 사이드카만큼 안정적이지 않아서 쓰기가 힘드니 뭔가 좀... 서운하다. 유선 연결 기능을 개발하든가, 무선 연결을 유선 만큼의 성능으로 끌어올려주든가 했으면 좋겠다는 생각.
늘 생각하지만 ios에 비해서 안드나 윈도우같은 운영체제는 기기를 여러개 연동해서 드로잉하는 유저가 적다보니 정보 구하기가 쉽지 않은 것 같다.
sdabyss.bsky.social
윈도우 10에서는 딜레이를 게임모드로 보정할 수 있었던 것 같은데, 윈도우 11에서는 툴바 자체가 사라져서 모드를 선택할 수 없었다.
2. Spacedesk
- 무료
- 화질이 안좋았다. 펜 지원은 하는 것 같은데 테스트는 안해봤고 화질 때문에 바로 삭제함
3. Duet display
- 성능은 유선에 근접할 정도지만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오락가락하는 건 어쩔 수 없었다.
- 빨간색이 굉장히 강조돼서 불편함 (삼성 기기 문제 아님)
- 유료, 펜 필압을 지원 연간 플랜이 8만원대, 영구버전은 약 25만원
sdabyss.bsky.social
갤럭시북5 pro 360을 구매하고 사용하며
작업 규모가 커지면 어쩔 수 없이 발열과 팬소음이 생겨서 신티크처럼 데스크탑에 물려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 며칠간 찾아봤는데
공통적으로 Windows-Windows 연결은 전부 무선 연결이었고 소프트웨어마다 성능 차이는 있지만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화면 송수신이 오락가락해서 불안정함
1. 윈도우 자체 기능(프로젝션)
-데스크탑 메인보드가 무선랜을 지원하는 모델이 애니면 랜카드 꽂아야함
-딜레이가 작업에 지장이 생길 정도로 있음(랜카드 성능에 따라 다를 수도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