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nner
archivingblossom.bsky.social
@archivingblossom.bsky.social
트위터에서 @inblossom2 이사왔어요.
읽은 책과 봤던 공연 아카이빙 목적의 계정입니다.
블스 본계는 @inblossom.bsky.social
오슬로필에 대한 약간의 감상.
1) 내가 잘하는 거 하고 있다는 느낌 100%
2) 현이 묵직하더라. 꽤 좋았음.
3) 목관에서 좀 놀랬는데, 내가 최근 들어본 악단 중 목관 음색이 제일 밝았음. 그 밝음이 꼭 나쁘다는 건 아닌데 뭔가 철없는 밝음처럼 들려서 내 귀에 꼭 호는 아녔음.
4) 시벨교5번 시작할 때는 호른 삑사리날까봐 마음 졸이며 듣게 되는데 편-안하게 들었고, 그것만으로도 좋았음.
5) 앵콜 슬픈왈츠도 참 좋더라 (네이버 검색 찾으시는 곡이 없습니다 들려준 샛기 집에 곱게 못갔길)
October 31, 2023 at 12:11 AM
역시 친구의 표현을 빌리자면 그런 점에서 무터 여사의 반대편에 계신분 ㅋㅋ
여튼간에 계속 찾아듣고, 듣는 것보다는 실연으로 계속 만나고 싶은 연주자. 이제 40대 중반이시니 내맘이 다 조급함 언니 자주 와주세요ㅠㅠ 다음에 오실 땐 R석에서 볼 수 있는 재력을 갖추겠어요ㅠㅠ

그리고 문제의(?) 마켈라. 해리포터 마법사를 연상시키는 지휘폼이었는데 일단 그냥 멋지더라. 연주자도 그렇지만 지휘자도 스타성이라는 게 있고, 역시 성공의 요소겠지. 시벨리우스 5번은... 음 제가 시벨 교향곡을 즐기지 않습니다(...)
October 31, 2023 at 12:09 AM
앵콜로 무려 바흐 무반주 두 곡이나 해줬지만 솔직히는 좀 깨고 나옴. 두번째 곡은 그냥저냥 좋았는데, 첫번째 곡은 도대체 왜 그렇게 들렸는지 모르겠지만 참 별루였음. 친구 말로는 현을 너무 눌러서 소리내는 거 같다는데, 그런 바이올리니스가 한둘도 아니고 이런 스타 연주자가 꼭 그 점이 문제였을까 싶고. 결국 내 귀가 문제인건가(너무 당연한 결론으로 귀결되나;;)

사실 얀센은 외모 얘기를 안하기가 어려운데;;; 키크고 늘씬하고 매우 예쁜데 뭐랄까 얼굴 막쓰는 연주자의 느낌ㅋㅋ 화장도 안하고 옷도 맨날 그런 거(...) 입으심.
October 31, 2023 at 12:05 AM
연주자가 있는데, 얀센과 테츨라프는 후자에 속하고 그것 또한 너무 좋음. 전자는 바티아쉬빌리와 (거칠게 요약하자면) 하델리히.

시바협에서 연주자 특성이 제일 잘 드러나는 건 3악장일텐데, 매우 재밌게 들었지만 연주자 기력이 딸리는 게 느껴지긴했음ㅎㅎ 독주자 위치가 좀 앞으로 나와있었으면 좋았을텐데 오케에 싸여있어서 소리가 덜컸음. 물론 이건 내가 2층 오른편 S석(눈물ㅠㅠ)에 앉아서이기도 하겠지만 여튼 음량에서의 충족감이 아쉽긴 하더라.

연주자에게 잘 어울리는 곡은 당연히 있을텐데 (올라운더 아무나 하는 거 아님)
October 31, 2023 at 12:03 AM
내 기억이 맞다면 내가 예매할 때는 르노 카푸숑의 알슈 협주곡이었다가, 중간에는 무슨 사연이 있는지 마리아 두에나스의 브바협으로 바뀌었던 걸로 봤는데 도로 바뀐 모냥?
형아 카푸숑은 초면인데 소리 단단하고 나쁘지 않았다 정도의 감상. 홀의 소리에 너무 당황하기도 했고, 알슈의 바협 자체를 이번에 첨 들었다(…)
September 28, 2023 at 11:45 AM
맞추는 게 1단계이고, 이 기술적인 부분이 해결되면 지휘자의 해석에 따라 하고싶은 얘기를 입힌다가 2단계인데, 일단 1단계도 제대로 못한 느낌. 전자가 제대로 안되는데 듣는 사람이 재밌을리가. 아마 하는 사람도 재미 없을걸.
앵콜 피가로결혼 듣고 확실히 느낀거지만, (지휘자의 해석일까도 궁금) 재밌게 연주하려는 의지 따위는 없는 오케였음. 내 토요일 오후가 너무 아까워.
September 11, 2023 at 3:10 AM
두 연주자 모두 무대에서 아주 예쁘게 빛이 나는 연주자여서, 보기만해도 기분이 좋더라고. (물론 연주가 맘에 들었으니 나오는 소리겠지만서도)
September 1, 2023 at 4:17 AM
프로그램에 쓴 사진처럼 잘생겼..는지는 잘 모르겠고(시력이 좋지 않습니다) 체구가 굉장히 작은 딱봐도 스패니쉬 가이임이 뚝뚝 묻어나는 외모의 젊은 지휘자였는데, 악보 없이 나와서(요즘 젊은 지휘자들 많이들 이러시지) 1시간여동안 너무 우아하게 지휘하셔서 완전 반함. 원래 합창석은 지휘자 감상석인지라 진짜 2만원의 행복이었음. (사실 20% 할인받아 1.6만원) 올해 최고의 공연..까지는 아니지만 가성비 측면의 최고의 공연으로 기록될 듯. 예당, 시향 관계자님들 혹시 이거 보시면, 멘데스 지휘자 좀 더 불러주세요.
August 28, 2023 at 7:17 AM
들어본 적 없던 슈베르트가 오히려 가장 좋았는데, 시원하고 절도있는 보잉이 되게 멋있더라고. 앵콜은 아들(미샤 뮬로프-아바도)이 작곡한 재지한 곡이랑 또 뭐였더라.. 여튼 막 인상적진 않았지만 뭐 여튼 은퇴하시기 전 한 세대를 풍미했던 연주자를 만나본 것으로 만족.
하 그래도 프로그램이 브람스가 아녔으면 더 좋았겠다;;
August 28, 2023 at 7:07 AM
슥 보기에도 연주자 피로도가 높을 것 같은 드뷔시-뿔랑-프로코피예프의 20세기 바이올린 소나타를 세 곡을 하루에 들을 수 있는 흔치않은 기회니만큼 시간되시는 분들 꼭 가보셨으면. 나도 내일 시간되면 한 번 더 보고 싶은데 못갈 것 같음ㅠ

https://www.sac.or.kr/site/main/show/show_view?SN=47435
August 21, 2023 at 4:57 AM
아 그럼 연주자의 문제였을 수도 있겠네요. 저도 도입부에서 제일 이상하다고 느꼈고, 뒤로 갈수록 괜찮아졌거든요. 홀에서 리허설을 안한 걸까요(...)
August 17, 2023 at 11:34 PM
전 둘 다 감정풍만파인데 둘은 되게 안어울린다고 생각하면서 들었습니다ㅋㅋ 레이첸이 그나마 좀 죽여서? 연주한 거 같긴하던데, 실내악 많이 안해본 연주자같은 느낌이 뿜뿜;;
그렇지만 연주는 아주 재밌게 들었습니다.
August 17, 2023 at 11:33 PM
레이첸은 저런 캐릭터에 실력이 못받쳐주면 우스꽝스러워보이겠지만, 이번에 브람스 바이올린 협주곡이랑 실내악 하는 거 들으니까 그저 너무 멋지더라고. 여튼 콘서트 연주자로서 일거리 걱정은 안해도 될 것 같은 바이올리니스트(...)

궁금한 게 여성 바이올리니스트들의 몸짓?이 훨씬 큰 편인데(꼭 다 그렇진 않지만, 예를 들어 바티아쉬빌리는 안그랬던 거 같아) 그게 체구가 작고 팔이 짧아서 불가피한 건가 아니면 그냥 스타일인가.
August 17, 2023 at 6:44 AM
첫곡 슈만 피아노 트리오 1번은 4악장 때문에라도 좋아할 수밖에 없는 곡. 1열 정중앙에 앉았더랬는데 바이올린 소리 너무 안이쁘게 울려서 깜짝 놀랬음. 그렇다고 조진주씨 연주가 나빴냐하면 그런 것 같지도 않고 이놈의 홀은 대체 뭣이 문제인가. 그러고보니 롯데에서 실내악을 첫줄에서 들은 건 처음인 듯. 대체 소리가 왜 이러한가 고민하느라 연주를 제대로 못즐긴 느낌. 조진주씨는 힘이 장사더라ㅎㅎ 2부에서 레이첸이랑 힘자랑하는 힘남매 삘이 나지 않을까 기대?했는데... 의외로 레이첸이 협주곡에서보다 힘을 빼서 그런 느낌은 안나더라고.
August 17, 2023 at 6:39 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