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 제스
@saniwakuki.bsky.social
Reposted by 쿠키 / 제스
그냥 깨놓고 이야기해서 한옥에 먹거리 풍성하게 차려 놓은 지방 보다 '산지도 모자라서 평지만 조금 있다하면 오만곳에 골프장을 쑤셔넣어 서울에서 골프치는 놈들 데려오겠다는 용인이나 양평'의 관광 수입이 압도적임. 인당 그린피 25만원x4인팀+카트비+캐디피만해도 한팀에 백만원이 넘어가는데 그게 하루에 80팀임. 또 그사람들이 먹는데 쓰고 가는 돈이랑 이동하는데 쓰는 돈도 만만 찮음.
결국 서울놈들이 원하는게 골프장인데 뭔 관광을 하라는 거임?
결국 서울놈들이 원하는게 골프장인데 뭔 관광을 하라는 거임?
November 4, 2025 at 1:08 AM
그냥 깨놓고 이야기해서 한옥에 먹거리 풍성하게 차려 놓은 지방 보다 '산지도 모자라서 평지만 조금 있다하면 오만곳에 골프장을 쑤셔넣어 서울에서 골프치는 놈들 데려오겠다는 용인이나 양평'의 관광 수입이 압도적임. 인당 그린피 25만원x4인팀+카트비+캐디피만해도 한팀에 백만원이 넘어가는데 그게 하루에 80팀임. 또 그사람들이 먹는데 쓰고 가는 돈이랑 이동하는데 쓰는 돈도 만만 찮음.
결국 서울놈들이 원하는게 골프장인데 뭔 관광을 하라는 거임?
결국 서울놈들이 원하는게 골프장인데 뭔 관광을 하라는 거임?
정말 열심히 제작했는데 올리려고 보니 빠진 곳 하나 더 있음 . 수정해야지..
November 2, 2025 at 12:32 PM
정말 열심히 제작했는데 올리려고 보니 빠진 곳 하나 더 있음 . 수정해야지..
어쨌든 국중박 관장님은 대중에게 욕을 좀 드셔주시고 (이분 진심 말실수 대박 레전드인 게 50년된 사찰 뭐 별거 아니다 발언 등 아주 그냥 다양함)
제발 이번 기회에 예산 좀 잔뜩 따서
제 친구들이 정규직으로 일할 수 있게 해주십사.
제발 이번 기회에 예산 좀 잔뜩 따서
제 친구들이 정규직으로 일할 수 있게 해주십사.
October 30, 2025 at 8:29 AM
어쨌든 국중박 관장님은 대중에게 욕을 좀 드셔주시고 (이분 진심 말실수 대박 레전드인 게 50년된 사찰 뭐 별거 아니다 발언 등 아주 그냥 다양함)
제발 이번 기회에 예산 좀 잔뜩 따서
제 친구들이 정규직으로 일할 수 있게 해주십사.
제발 이번 기회에 예산 좀 잔뜩 따서
제 친구들이 정규직으로 일할 수 있게 해주십사.
리움이 뭘하고 있느냐
...
국보가 서른 여섯 점
보물이 아흔 여섯 점
거의 뭐 국가기관급이죠
그치만
일단 성인 1인 2만원이고요
예약을 안하면 못 들어가고요
멤버십은 연 회원권으로
예약 없이 프리패스이며
얼마나 회원을 유지하느냐에 따라
발렛파킹부터 초청 없이 못 가는 학술대회, 온갖 이벤트 참여를 할 수 있답니다...
이 꼬라지가 나는 게 사실상의 자본주의 아래 약자 배제의 전형적 사례라고 생각해요
...
국보가 서른 여섯 점
보물이 아흔 여섯 점
거의 뭐 국가기관급이죠
그치만
일단 성인 1인 2만원이고요
예약을 안하면 못 들어가고요
멤버십은 연 회원권으로
예약 없이 프리패스이며
얼마나 회원을 유지하느냐에 따라
발렛파킹부터 초청 없이 못 가는 학술대회, 온갖 이벤트 참여를 할 수 있답니다...
이 꼬라지가 나는 게 사실상의 자본주의 아래 약자 배제의 전형적 사례라고 생각해요
October 30, 2025 at 8:19 AM
리움이 뭘하고 있느냐
...
국보가 서른 여섯 점
보물이 아흔 여섯 점
거의 뭐 국가기관급이죠
그치만
일단 성인 1인 2만원이고요
예약을 안하면 못 들어가고요
멤버십은 연 회원권으로
예약 없이 프리패스이며
얼마나 회원을 유지하느냐에 따라
발렛파킹부터 초청 없이 못 가는 학술대회, 온갖 이벤트 참여를 할 수 있답니다...
이 꼬라지가 나는 게 사실상의 자본주의 아래 약자 배제의 전형적 사례라고 생각해요
...
국보가 서른 여섯 점
보물이 아흔 여섯 점
거의 뭐 국가기관급이죠
그치만
일단 성인 1인 2만원이고요
예약을 안하면 못 들어가고요
멤버십은 연 회원권으로
예약 없이 프리패스이며
얼마나 회원을 유지하느냐에 따라
발렛파킹부터 초청 없이 못 가는 학술대회, 온갖 이벤트 참여를 할 수 있답니다...
이 꼬라지가 나는 게 사실상의 자본주의 아래 약자 배제의 전형적 사례라고 생각해요
이래저래 풀어놓았지만
현재 국중박의 가격 책정은
관장의 '값을 받아야 귀한 줄 안다'라는 발언과는 관계 없이
(애초에 기관이라는 게 관장 말로만 움직이는 곳도 아님 관장 위에 장관 있고 장관 위에 대통령 있음)
시설 유지를 위해 최소한으로 행해지는 면이 큼
사실 진짜 사람을 가려받기 위해 가격을 책정한다면
리움 꼴이 납니다.
그치만 리움에게는 굳이 뭐라고 하지 않잖아요.
현재 국중박의 가격 책정은
관장의 '값을 받아야 귀한 줄 안다'라는 발언과는 관계 없이
(애초에 기관이라는 게 관장 말로만 움직이는 곳도 아님 관장 위에 장관 있고 장관 위에 대통령 있음)
시설 유지를 위해 최소한으로 행해지는 면이 큼
사실 진짜 사람을 가려받기 위해 가격을 책정한다면
리움 꼴이 납니다.
그치만 리움에게는 굳이 뭐라고 하지 않잖아요.
October 30, 2025 at 8:15 AM
이래저래 풀어놓았지만
현재 국중박의 가격 책정은
관장의 '값을 받아야 귀한 줄 안다'라는 발언과는 관계 없이
(애초에 기관이라는 게 관장 말로만 움직이는 곳도 아님 관장 위에 장관 있고 장관 위에 대통령 있음)
시설 유지를 위해 최소한으로 행해지는 면이 큼
사실 진짜 사람을 가려받기 위해 가격을 책정한다면
리움 꼴이 납니다.
그치만 리움에게는 굳이 뭐라고 하지 않잖아요.
현재 국중박의 가격 책정은
관장의 '값을 받아야 귀한 줄 안다'라는 발언과는 관계 없이
(애초에 기관이라는 게 관장 말로만 움직이는 곳도 아님 관장 위에 장관 있고 장관 위에 대통령 있음)
시설 유지를 위해 최소한으로 행해지는 면이 큼
사실 진짜 사람을 가려받기 위해 가격을 책정한다면
리움 꼴이 납니다.
그치만 리움에게는 굳이 뭐라고 하지 않잖아요.
냉정히 말해서 기관 유지를 위해서는 필요한 선택이라고 할 수도 있으며.
지금 이 상황에서 최소 가격이 존재한다고 전시관람을 안하는 사람은 박물관 입장에서 '가장 먼저 포기할 수 있는' 집단이기도 함. 절실히 원하는 사람이 있는데 안 급한 사람에게 표를 줄 필요가 없으니까...
다만 공기관으로서, 최소 가격이 존재하기 때문에 관람을 '못' 하는 사람을 위해서 사회적 약자 조항을 마련해둬야 함. (안하면 ■■롬임) 지방에서 올라간 사람들을 위해 단체 할인, 학생 및 연구기관은 무료 관람 이런 거.
지금 이 상황에서 최소 가격이 존재한다고 전시관람을 안하는 사람은 박물관 입장에서 '가장 먼저 포기할 수 있는' 집단이기도 함. 절실히 원하는 사람이 있는데 안 급한 사람에게 표를 줄 필요가 없으니까...
다만 공기관으로서, 최소 가격이 존재하기 때문에 관람을 '못' 하는 사람을 위해서 사회적 약자 조항을 마련해둬야 함. (안하면 ■■롬임) 지방에서 올라간 사람들을 위해 단체 할인, 학생 및 연구기관은 무료 관람 이런 거.
October 30, 2025 at 8:10 AM
냉정히 말해서 기관 유지를 위해서는 필요한 선택이라고 할 수도 있으며.
지금 이 상황에서 최소 가격이 존재한다고 전시관람을 안하는 사람은 박물관 입장에서 '가장 먼저 포기할 수 있는' 집단이기도 함. 절실히 원하는 사람이 있는데 안 급한 사람에게 표를 줄 필요가 없으니까...
다만 공기관으로서, 최소 가격이 존재하기 때문에 관람을 '못' 하는 사람을 위해서 사회적 약자 조항을 마련해둬야 함. (안하면 ■■롬임) 지방에서 올라간 사람들을 위해 단체 할인, 학생 및 연구기관은 무료 관람 이런 거.
지금 이 상황에서 최소 가격이 존재한다고 전시관람을 안하는 사람은 박물관 입장에서 '가장 먼저 포기할 수 있는' 집단이기도 함. 절실히 원하는 사람이 있는데 안 급한 사람에게 표를 줄 필요가 없으니까...
다만 공기관으로서, 최소 가격이 존재하기 때문에 관람을 '못' 하는 사람을 위해서 사회적 약자 조항을 마련해둬야 함. (안하면 ■■롬임) 지방에서 올라간 사람들을 위해 단체 할인, 학생 및 연구기관은 무료 관람 이런 거.
어쨌든 지역에서 영세한 박물관 미술관이 차츰 소멸하는 가운데
기업 운영식 사립박물관이 점점 성장하고
국중박은 서울시에서 예산 조금씩 문체부에서 예산 조금씩 가져와 비정규직을 유지하고 숨만 붙이며 근근히 생활하다가 그만
뮷즈와 케데헌이라는 거센 파도를 맞이하고야 만 것입니다.......
이 상태에서 공기관으로서 시설을 제대로 유지하려면...
세금을 더 뜯거나 (이건 진짜 힘듦. 정말로. 잘 안 주거니와 문체부도 돈이 없음.)
최소 가격을 책정해서 입장객을 '제한'하는 수밖에 없음.
사실상 입장객을 '줄이는' 것이 목적입니다.
기업 운영식 사립박물관이 점점 성장하고
국중박은 서울시에서 예산 조금씩 문체부에서 예산 조금씩 가져와 비정규직을 유지하고 숨만 붙이며 근근히 생활하다가 그만
뮷즈와 케데헌이라는 거센 파도를 맞이하고야 만 것입니다.......
이 상태에서 공기관으로서 시설을 제대로 유지하려면...
세금을 더 뜯거나 (이건 진짜 힘듦. 정말로. 잘 안 주거니와 문체부도 돈이 없음.)
최소 가격을 책정해서 입장객을 '제한'하는 수밖에 없음.
사실상 입장객을 '줄이는' 것이 목적입니다.
October 30, 2025 at 7:56 AM
어쨌든 지역에서 영세한 박물관 미술관이 차츰 소멸하는 가운데
기업 운영식 사립박물관이 점점 성장하고
국중박은 서울시에서 예산 조금씩 문체부에서 예산 조금씩 가져와 비정규직을 유지하고 숨만 붙이며 근근히 생활하다가 그만
뮷즈와 케데헌이라는 거센 파도를 맞이하고야 만 것입니다.......
이 상태에서 공기관으로서 시설을 제대로 유지하려면...
세금을 더 뜯거나 (이건 진짜 힘듦. 정말로. 잘 안 주거니와 문체부도 돈이 없음.)
최소 가격을 책정해서 입장객을 '제한'하는 수밖에 없음.
사실상 입장객을 '줄이는' 것이 목적입니다.
기업 운영식 사립박물관이 점점 성장하고
국중박은 서울시에서 예산 조금씩 문체부에서 예산 조금씩 가져와 비정규직을 유지하고 숨만 붙이며 근근히 생활하다가 그만
뮷즈와 케데헌이라는 거센 파도를 맞이하고야 만 것입니다.......
이 상태에서 공기관으로서 시설을 제대로 유지하려면...
세금을 더 뜯거나 (이건 진짜 힘듦. 정말로. 잘 안 주거니와 문체부도 돈이 없음.)
최소 가격을 책정해서 입장객을 '제한'하는 수밖에 없음.
사실상 입장객을 '줄이는' 것이 목적입니다.
이 정책이 어떤 파급력을 초래했냐면.
사립박물관 사립미술관이
손님 수가 줄어들어 폐관함.
돈 안 내고 국보를 보러 감 당연히.
그렇게 해서... 그 시절 거기서 나온 컬렉션들을 누가 다 사들였는가 하면
공립박물관이 아니라,
당연히 더 거대한 사립박물관임.
용산에 있는... 그곳.
ㄹㅇ ...
사립박물관 사립미술관이
손님 수가 줄어들어 폐관함.
돈 안 내고 국보를 보러 감 당연히.
그렇게 해서... 그 시절 거기서 나온 컬렉션들을 누가 다 사들였는가 하면
공립박물관이 아니라,
당연히 더 거대한 사립박물관임.
용산에 있는... 그곳.
ㄹㅇ ...
October 30, 2025 at 7:45 AM
이 정책이 어떤 파급력을 초래했냐면.
사립박물관 사립미술관이
손님 수가 줄어들어 폐관함.
돈 안 내고 국보를 보러 감 당연히.
그렇게 해서... 그 시절 거기서 나온 컬렉션들을 누가 다 사들였는가 하면
공립박물관이 아니라,
당연히 더 거대한 사립박물관임.
용산에 있는... 그곳.
ㄹㅇ ...
사립박물관 사립미술관이
손님 수가 줄어들어 폐관함.
돈 안 내고 국보를 보러 감 당연히.
그렇게 해서... 그 시절 거기서 나온 컬렉션들을 누가 다 사들였는가 하면
공립박물관이 아니라,
당연히 더 거대한 사립박물관임.
용산에 있는... 그곳.
ㄹㅇ ...
러프하게 연간 관람객 500만 명이라고 쳐서 인당 2000원 = 연 100억.
연 100억은 솔직히
국가기관을 유지하는 데 터무니없이 정말... 적은 돈이다
그런데도 이 모든 난리를 감안하며
대체 왜 그 푼돈을 받으려 드는 것인가?
생각해보면
그냥 과거에 국중박이 재정 적자였으며 그것이 쌓이고 쌓여 현재 슬슬 퀄리티를 유지하며 운영하는 것이 어려운 지점에 이르렀을 뿐이 아닌가(...
그리고 이 재정적자는 어디서 비롯되었냐면
...
MB 시절입니다.
공립박물관 전면 무료화를 했거든요...
당연히 예산을 제대로 주지 않았음.
연 100억은 솔직히
국가기관을 유지하는 데 터무니없이 정말... 적은 돈이다
그런데도 이 모든 난리를 감안하며
대체 왜 그 푼돈을 받으려 드는 것인가?
생각해보면
그냥 과거에 국중박이 재정 적자였으며 그것이 쌓이고 쌓여 현재 슬슬 퀄리티를 유지하며 운영하는 것이 어려운 지점에 이르렀을 뿐이 아닌가(...
그리고 이 재정적자는 어디서 비롯되었냐면
...
MB 시절입니다.
공립박물관 전면 무료화를 했거든요...
당연히 예산을 제대로 주지 않았음.
October 30, 2025 at 7:34 AM
러프하게 연간 관람객 500만 명이라고 쳐서 인당 2000원 = 연 100억.
연 100억은 솔직히
국가기관을 유지하는 데 터무니없이 정말... 적은 돈이다
그런데도 이 모든 난리를 감안하며
대체 왜 그 푼돈을 받으려 드는 것인가?
생각해보면
그냥 과거에 국중박이 재정 적자였으며 그것이 쌓이고 쌓여 현재 슬슬 퀄리티를 유지하며 운영하는 것이 어려운 지점에 이르렀을 뿐이 아닌가(...
그리고 이 재정적자는 어디서 비롯되었냐면
...
MB 시절입니다.
공립박물관 전면 무료화를 했거든요...
당연히 예산을 제대로 주지 않았음.
연 100억은 솔직히
국가기관을 유지하는 데 터무니없이 정말... 적은 돈이다
그런데도 이 모든 난리를 감안하며
대체 왜 그 푼돈을 받으려 드는 것인가?
생각해보면
그냥 과거에 국중박이 재정 적자였으며 그것이 쌓이고 쌓여 현재 슬슬 퀄리티를 유지하며 운영하는 것이 어려운 지점에 이르렀을 뿐이 아닌가(...
그리고 이 재정적자는 어디서 비롯되었냐면
...
MB 시절입니다.
공립박물관 전면 무료화를 했거든요...
당연히 예산을 제대로 주지 않았음.
그런고로... 대체 얼마나 내국인에게 받으려 하는 것일까? 한 번 자료를 찾아봄
국감에서 국중박 관장은 1인 2천원, 취약계층 및 노약자, 장애인 무료를 예시로 내걸었다고 한다. (+재방문객 혜택)
국감에서 국중박 관장은 1인 2천원, 취약계층 및 노약자, 장애인 무료를 예시로 내걸었다고 한다. (+재방문객 혜택)
October 30, 2025 at 7:11 AM
그런고로... 대체 얼마나 내국인에게 받으려 하는 것일까? 한 번 자료를 찾아봄
국감에서 국중박 관장은 1인 2천원, 취약계층 및 노약자, 장애인 무료를 예시로 내걸었다고 한다. (+재방문객 혜택)
국감에서 국중박 관장은 1인 2천원, 취약계층 및 노약자, 장애인 무료를 예시로 내걸었다고 한다. (+재방문객 혜택)
돈을 받아야 귀한 줄 안다...
뭐 이런 소리는 사실 관련인들이라면 다 아 저 사람 대충 아무 말 대잔치하네 라고 알 것임
그냥 관장은 심플하게 돈. 돈이 필요한 것이다. 돈. 아무튼 돈. 돈!!
그치만 돈을 받는 방식이 잘못됨
공기관은 공기관답게 나라에게 세금 받아서 내국인에게 서비스 제공하고 외국인에게는 부수입을 거두는 공기관에 맞는 사업 모델을 세워야 한다고 봄. 공기관답게 굴어~~~~~!!!
뭐 이런 소리는 사실 관련인들이라면 다 아 저 사람 대충 아무 말 대잔치하네 라고 알 것임
그냥 관장은 심플하게 돈. 돈이 필요한 것이다. 돈. 아무튼 돈. 돈!!
그치만 돈을 받는 방식이 잘못됨
공기관은 공기관답게 나라에게 세금 받아서 내국인에게 서비스 제공하고 외국인에게는 부수입을 거두는 공기관에 맞는 사업 모델을 세워야 한다고 봄. 공기관답게 굴어~~~~~!!!
October 30, 2025 at 7:05 AM
돈을 받아야 귀한 줄 안다...
뭐 이런 소리는 사실 관련인들이라면 다 아 저 사람 대충 아무 말 대잔치하네 라고 알 것임
그냥 관장은 심플하게 돈. 돈이 필요한 것이다. 돈. 아무튼 돈. 돈!!
그치만 돈을 받는 방식이 잘못됨
공기관은 공기관답게 나라에게 세금 받아서 내국인에게 서비스 제공하고 외국인에게는 부수입을 거두는 공기관에 맞는 사업 모델을 세워야 한다고 봄. 공기관답게 굴어~~~~~!!!
뭐 이런 소리는 사실 관련인들이라면 다 아 저 사람 대충 아무 말 대잔치하네 라고 알 것임
그냥 관장은 심플하게 돈. 돈이 필요한 것이다. 돈. 아무튼 돈. 돈!!
그치만 돈을 받는 방식이 잘못됨
공기관은 공기관답게 나라에게 세금 받아서 내국인에게 서비스 제공하고 외국인에게는 부수입을 거두는 공기관에 맞는 사업 모델을 세워야 한다고 봄. 공기관답게 굴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