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리백 실험에도 우승 실패”…홍명보호, 일본에 무릎 동아시안컵 결산 #홍명보축구대표팀 #동아시안컵 #이호재
빗줄기 속 서울월드컵경기장, 관중은 끝내 좌절을 삼켰다. 동아시아축구연맹 E-1 챔피언십 마지막 경기, 모두가 한국 축구의 새로운 실험을 주목하는 가운데 우승의 기쁨은 끝내 닿지 않았다. 스리백 실험과 신예 기용 모두 명확한 해답을 내놓지 못한 채, 한국 축구대표팀은 일본에 우승을 내주고 이번 대회를 마감했다.
2025 동아시아축구연맹(EAFF) E-1 챔피언십 한국 대회 결승에서는 홍명보 축구대표팀이 일본과 대결해 우승컵을 내줬다. 이번 대회는 2026 국제축구연맹(FIFA) 북중미 월드컵을 대비한 전초전 성격으로 치러졌으며, 홍명보 감독은 전술 실험과 함께 신예 발굴에 방점을 두고 임했다.
“스리백 실험에도 우승 실패”…홍명보호, 일본에 무릎 동아시안컵 결산 / 연합뉴스
한국은 대회 3경기에서 변형 스리백을 가동했다. 홍명보 감독은 김주성(서울), 박진섭(전북), 박승욱(포항)으로 수비라인을 구축하고, 포백 위주의 4-2-3-1 전술에서 탈피해 처음으로 스리백을 대표팀 플랜A로 시도했다. 양 풀백의 공격 가담과 수비시 5백 전환을 통해 다양한 패턴을 실험했다.
변형 스리백은 1, 2차전 중국, 홍콩을 상대로는 무난하게 통했다. 그러나 마지막 경기 일본전에서 고강도 압박에 노출되며 흔들렸다. 일본은 J리그 올스타급 라인업과 빠른 압박으로 한국의 후방 빌드업을 사실상 무력화했다. 이에 따라 빌드업 과정에서 패스가 원활히 이어지지 못했고, 롱패스에 의존하는 단조로운 패턴이 반복되면서 공 소유권마저 잃는 모습이 이어졌다.
한준희 해설위원은 "스리백 실험 자체는 의미 있으나, 후방 빌드업 조직력과 측면 연계가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박찬하 해설위원도 "포메이션 변화보다 홍명보 감독이 무엇을 하려는지 여전히 모호하다"며 전술 기조의 불명확함을 짚었다.
신예 발굴 측면에서도 두드러진 이름이 드러나지 않았다. 수비형 미드필더로 김진규(전북), 김봉수(대전), 서민우(강원)가 번갈아 출전했으나, 모두 강렬한 인상을 남기지 못했다. 일본전에서는 서민우와 김진규가 출전했으나 중원에서 압박에 밀려 고전했다. 한준희 해설위원은 "황인범의 파트너를 확정적으로 찾지 못했다"며 추가 검증이 필요함을 언급했다.
공격진에서는 오현규(헹크)가 확고한 입지를 보였고, 이호재(포항)는 동아시안컵에서 데뷔 첫 골과 유일한 일본전 유효슈팅으로 존재감을 드러냈다. 이호재는 홍콩전 선발 출전, 후반 22분 쐐기 골을 넣었으며, 일본전 역시 공격 활로 개척에 힘썼다. 박찬하 해설위원은 "이호재는 젊고 체격도 좋아 발전 가능성이 있다"고 평했다.
동아시안컵 대회 이후 대표팀은 전술 적응력과 신예 육성 모두 숙제를 남겼다. 일본 선수단과의 경기력 차, 조직력, 일관된 축구 시스템의 부재에 대한 비판도 이어지고 있다. 박찬하 해설위원은 "개인 기술, 세밀한 기본기,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더 이상 미룰 수 없다"고 강조했다.
한국 축구대표팀은 앞으로 남은 월드컵 예선에서 추가 실험과 동시에 확실한 전술 기조와 주축 전력 정비가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