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르갈
@nargal.bsky.social
340 followers 390 following 5.9K posts
여자다운, 남자다운 보다 나 다울 수 있는 세상을 원합니다./시간선이 맞닿은 동안 좋은 인연으로 기억 되길 염원합니다./평등보다 무등을 추구합니다./개소리 전문가/
Posts Media Videos Starter Packs
nargal.bsky.social
최근 산재로 강제 휴무 중인데
(그것도 3개월차 들어가니 눈치보여 회사에 못 붙어있어서 퇴사했기에 이젠 백수지...)

산업 재해로 인해 근로를 하지 못할때 나오는 휴업급여의 일일 최저액이 최저시급인 10,030원*8시간해서 80,240원이다.

이걸 30일로 곱하면 2,407,200원이 나오는데

회사에서 정상 근무하고 받은 실수령액이 저거보다 작다.

평균 임금의 70%금액을 지급하는데 그 금액이 최저시급에 못 미처 저 돈이 나왔다는거다.

물론 세전은 티끌만큼 더 많긴한데,
이런 상황에 청년들에게 일 하라고 할 수 있나?
Reposted by 나르갈
midnight-layla.bsky.social
청년들이 구직 포기하는 이유가 단순히 일을 하기 싫어서라고 생각하나요? 🙄
굳이 구직 포기 안 해도 나처럼 회사에서 신입 안 뽑아가서 ’못‘하는 케이스도 많은데
대단한 회사도 아니었음. 점심 안 주고 다른 복지도 없고 그냥 세전 200 조금더 붙으면 20n 주는게 끝인 회사였음. 근데 안 뽑아줌.
여기서 만약 별다르게 원하는 스펙 없으면 지원자가 100명 넘게 몰림.
분에 넘치는 대기업 가고 싶다는 것도 아니고 그냥 기본이라도 받고 중소기업에 취직하려는 사람들이 넘쳐나는데 그마저도 일자리 충족이 안되는 현실임.
nargal.bsky.social
남부로 여행가는가보구나
Reposted by 나르갈
midnight-layla.bsky.social
전계정에서도 말한 적 있는데
힘들게 취업해도 그만두고 재취업 포기하는 청년들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전 한국의 열악한 노동 환경과 회사의 경직된 문화 (낮은 페이, 잦은 야근) 등 한국 사회의 고질적인 문제점 때문이라고 생각해요
청년 탓으로만 돌리지 말고 노동 환경 개선과 사회 개혁에 목소리부터 내야하지 않을까요?
nargal.bsky.social
내일 장날이구나...마트 말고 재래시장가서 만원치 사와야지.
nargal.bsky.social
내일은 마트가서 고기를 사오자...
Reposted by 나르갈
omija.bsky.social
최저임금으로 인간자유이용권을 산 듯한 행태“… 넘나 한국의 노동시장을 정확히 표현한 말 아니냐👍🏻
Reposted by 나르갈
jejuorange.bsky.social
박병무 엔씨소프트 대표 "중국 개발사는 '오전 9시 출근, 오후 9시 퇴근, 주 6일 근무'를 뜻하는 '996' 문화로 1년 반 걸릴 모바일 게임 이식 작업을 4개월 만에 끝낸다고 한다"

김병규 넷마블 대표 "중국 개발사는 우리보다 낮은 임금으로 한 달에 1인당 100시간을 더 투입한다"

"근로를 공장의 컨베이어 벨트처럼 바라보는 전통적 시각에서 벗어나야 한다" "더 큰 보상을 위해 스스로 몰입하는 행위를 강제 노동으로 보는 것은 문제"

www.inven.co.kr/webzine/news...
최휘영 장관과 게임업계 '작심 대화'…'52시간제'부터 '질병코드'까지
국내 주요 게임사 대표들이 한자리에 모여 "중국과의 경쟁 심화와 경직된 노동 환경으로 글로벌 경쟁력에 심각한 위기를 맞고 있다"며 정부의 적극적인 규제 개선과 정책 지원을 한목소리로 촉구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공개로 진행된 지난달 24일 게임업계 간담회에서 최휘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주 52시간 근로제 유연화, 제작비 세액공제, 게임 질병코드 문제 등 핵
www.inven.co.kr
Reposted by 나르갈
simraniyo.bsky.social
대단한 게 아니라 원래 해야 하는데 다른 애들이 안 하는 겁니다.
Reposted by 나르갈
romuska1.bsky.social
얘들은 레파토리가 왜 십년째 바뀌질 않냐. "중국은 애들 집에안가고 일한다더라" 가 깨진게 십년이 넘어가는데도 여전히 그 환상에 메달리고있네.
Reposted by 나르갈
teamreds.bsky.social
쌀먹에 대한 의견을 따로 적자면
그건.. 다단계임.. 살펴보면 앎 그건 다단계임
아이템매냐 등이 대중화된 이후 온라인게임머니, 템, 캐릭터의 현금거래는 거의 터부가 아닌 문화가 되었음.

(특히 국산 rpg게임들에서)일반적인 유저들이 게임의 평범한 레이드한번 즐기려면 현거래 아예 없을시 1년 반 정도는 게임에 퇴근 후 시간을 다 꼬라박아야하는데 그러는 사람은 많지않음..
시간이 곧 돈인 한국인들은 그시간이면 차라리 투잡뛰고 그 돈으로 현질을 하고말지 그게 훨씬 더 싸게먹히는데 싶은데다가, 빨리 콘텐츠를 오픈하고 재밌게 즐기고싶으니
Reposted by 나르갈
jaemyung-lee.bsky.social
8番出口のオッサン釜山に来てて笑う
Reposted by 나르갈
teamreds.bsky.social
이거는 솔직히 유저들보고 뭐라할게아님 돈되면 캐시워크나 광고봐주기 뺑이치는건 어쩔 수 없는 현상인데 게임사가 얼마나 악덕스러운지 알아야함

1. 기간한정 캐시템 랜덤박스
여기 좋은템 구린템 랜덤으로 들어있는 랜덤박스가 있습니다 이걸 개당 1만원 미만대에 팝니다.. 물론 좋은템은 ㅈㄴ 낮은 확률을 갖고있지만 유저에게 되팔시 20만원 30만원 심지어 40만원 이상 값으로 팔릴 수 있습니다.
이 랜덤박스를 30만원어치 사면 포인트를 주고, 포인트로는 또 랜덤박스를 사거나 다른 캐시템을 사거나 해당시즌 랜덤박스템의 하나를 거래불가템으로
Reposted by 나르갈
jinnys0.bsky.social
이 두 기사가 나란히 있는 거 보니까 기분이 이상하다.. 청년들이 국내에서 취업이 안되어서 먹고 살기 힘드니까 지금 캄보디아라도 취업하겠다고 나갔다가 납치피해를 당하는거잖아. 여러모로 심각하다.
Reposted by 나르갈
midnight-layla.bsky.social
근데 사회적으로 구직 활동을 포기한 청년들에 대해 시선이 곱지 않다는게 참 그렇다…
마치 우울증을 의지로 극복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처럼 이게 다 의지가 없어서, 쉽게 포기해서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대다수인 것 같음
Reposted by 나르갈
huoguogirl.bsky.social
“별다른 이유 없이 구직을 안하는”
아니 이유 있잖아 50군데 기업 지원해도
안돼서래잖아;;;;;
hanibsky.bsky.social
20대 청년층 ‘쉬었음’ 규모가 올해 들어 매달 40만명을 웃돌아 코로나19 이후 최대 수준을 이어가는 가운데, 그 시간을 게임으로 메우는 청년들 사정이 전해집니다. 특히 게임 하며 돈을 버는 ‘쌀먹’에 대한 자조와 처연함을 담은 글들이 눈길을 끕니다.
구직포기 청년 “쌀먹”…월 100만원 게임 머니로 버텨
“‘회복주는법사’ 들어옴? 어제 수확은 총(얼마)?” 대학교 4학년 휴학생인 정아무개(28)씨는 요즘 본명보다 온라인게임 ‘메이플스토리’ 캐릭터 닉네임으로 더 많이 불린다. 정씨는 세 학기째 취업에 실패한 뒤 구직 활동을 멈추고 게임으로 돈을 버는, 소위 ‘쌀먹’을 한
www.hani.co.kr
nargal.bsky.social
탐라에 전공 이야기가 나와서...

저는 전공을 나름 잘?선택하고, 졸업전에 자격증을 따둔덕에 취업 하나는 기막히게 잘합니다.

근데 그게 끝이에요.

전공으로 돈 벌긴 쉬운데 전공이 적성이랑은 안맞네요.
nargal.bsky.social
명절 사과는 역시 능글능글능금이죠.
nargal.bsky.social
덤으로 추억의 한국 명절 선물 역시 사과박스 아닙니까!

저 푸르딩딩한 사과가 얼마나 맛있던지 둘이 먹다가 넷이 잡혀가도 모를 독사과였죠
nargal.bsky.social
농산물은 역시 인건비...
Reposted by 나르갈
Reposted by 나르갈
Reposted by 나르갈
kimbookie.bsky.social
월요일 스트레스를 줄이는 방법을 최근에 터득함 (나만 해당일수 잇음)

1. 음악 안듣기
- 이게 뭔말인가요 싶을 수 있지만 억텐 올린다고 신나는 음악이든 잔잔한 음악이든 들었는데 그게 오히려 소리에 더 민감해져벌임. 그냥 출근 백색 소음을 들으며 오늘 뭐하지 생각을 정리하는게 오히려 도움이 된다…

2. 따뜻한 아메리카노 마시기
- 얼죽아인데 아이스로 마시느냐 따뜻한거로 마시느냐는 차이가 큼. 텀블러에 집에서 얼음 가득 넣어가지고 아침에는 핫으로 마시다가 남은거 텀블러에 부어서 시원하게 마시는게 오히려 좋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