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부강요논란
산불 피해 기부 강요 논란… 악성 댓글과 강요 #기부문화 #산불피해기부 #기부강요논란 #악성댓글 #연예인기부 #기업기부
산불 피해 기부 강요 논란… 악성 댓글과 강요 #기부문화 #산불피해기부 #기부강요논란 #악성댓글 #연예인기부 #기업기부
연합뉴스에 따르면, 산불로 극심한 피해를 본 영남 지역을 돕기 위해 연예인과 국내 여러 기업이 기부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일부 누리꾼이 공개 기부를 하지 않은 이들을 ‘박제’하며 비난하는 글을 올리고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28일 연합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일부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는 특정 유명인을 거론하며 ‘왜 산불 피해 지원을 위한 기부를 하지 않느냐’는 질문글이 올라오고 있다. 한 커뮤니티에서는 ‘왜 김연아는 산불 기부를 안하냐’는 글이 올라왔고, 다수 누리꾼은 축구선수 손흥민의 가족에게 인스타그램 DM(다이렉트 메시지)를 보내 ‘왜 손흥민은 기부를 안 했냐’고 따져 묻기도 한 것으로 전해졌다. 구독자 70만명의 유튜버 ‘찰스엔터’는 최근 인스타그램에 자신의 기부 내역을 공개하며 “원래 알리지 않으려고 했는데 ‘기부했냐’고 물어보는 분들이 있어서 (인스타그램에 글을) 올린다”고 밝혔다. 이 같은 비난은 연예인이나 인플루언서뿐 아니라 국내외 대형 기업으로도 확대되고 있다. 일부 누리꾼은 삼성바이오로직스, SK바이오사이언스, 셀트리온 등 바이오 기업들이 지난해 1조원 수준의 현금성 자산을 보유하고도 산불 지원 기부를 하지 않았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애플이나 루이비통 등 외국계 기업들이 한국에 기부한 적 없다는 과거 기사가 다시 확산되고 있다. 연합뉴스 통상 기부는 선행의 차원에서 자발적으로 이뤄지며, 자신이 기부했다는 사실을 알리고 싶지 않아 비공개로 진행하는 경우도 많다. 그러나 일부 악성 댓글과 기부 강요 문화가 퍼지면서 연예인과 기업들은 불필요한 압박을 느끼고 있는 상황이다. 한 대형 연예 기획사 관계자는 “아티스트들에게 기부할 거라면 공개적으로 하는 게 낫다고 권하고 있다”며 “아티스트가 비공개로 기부하고 싶다고 하더라도 인터넷을 통해 ‘왜 기부를 안 하느냐’는 악플이 쏟아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소셜미디어 이용이 일상이 된 현대사회에서 타인을 지적하고 비난하며 우월감을 느끼는 심리가 만연해 있다고 지적했다. 곽금주 서울대 심리학과 명예교수는 “남을 비난함으로써 정의감이나 우월감을 갖거나 쾌감을 느끼는 심리가 사회에 퍼지고 있다”며 “인터넷에 생각 없이 적는 글이 당하는 사람에게는 폭력이 될 수 있다는 의식을 가져야 하고, 개개인이 조금 더 신중해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기부는 자발적으로 행해져야 하는 선행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강요하거나 비난의 대상으로 삼는 문화는 오히려 기부의 본래 의미를 훼손시킬 수 있다. 더욱이 기부 여부는 개인의 선택이며, 강요받아 이뤄진 기부는 진정한 선행이라 보기 어렵다.
www.topstarnews.net
March 29, 2025 at 1:03 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