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산불 149시간 만에 진화…여의도 156배 산림 잿더미로 변해 #경북산불 #의성산불 #안동산불 #영양산불 #영덕산불 #청송산불 #산불진화완료 #여의도156배 #이재민 #산림피해
연합뉴스에 따르면 경북 북동부 지역을 휩쓴 초대형 산불이 발화 149시간 만인 3월 28일 오후 주불 진화를 완료했다. 이번 산불은 의성에서 시작돼 강풍을 타고 안동, 청송, 영양, 영덕 등 5개 시군으로 번지며 역대 최대 규모의 산림 피해를 낳았다. 산불로 인해 축구장 6만3천245개, 여의도 면적의 156배에 달하는 4만5천157헥타르의 국토가 잿더미로 변했다.
산불은 지난 22일 오전 11시 25분께 경북 의성군 안평면과 안계면 일대 야산에서 처음 발생했다. 당시 초속 10m를 넘는 강풍이 불고, 고온·건조한 날씨까지 겹치면서 산불은 빠르게 확산됐다. 불길은 내륙 지역을 넘어 80km 떨어진 동해안 영덕까지 확산됐고, 산림뿐 아니라 인명과 재산 피해도 속출했다.
연합뉴스
특히 한때 초속 27m의 강풍을 타고 시간당 8.2km 속도로 이동한 이른바 ‘괴물 산불’은 안동 하회마을과 병산서원 등 세계문화유산 근처까지 접근하는 등 대규모 문화재 피해 우려도 낳았다. 산림청은 산불 대응 3단계를 발령하고 진화 헬기와 인력, 장비를 총동원해 주불 진화와 방화선 구축에 나섰으나, 극도로 불리한 기상 여건과 현장 대응 인력의 피로 누적, 헬기 추락 사고 등으로 진화에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됐다.
연합뉴스
이후 27일부터 의성, 안동, 청송, 영양, 영덕 일대에 1~3mm의 비가 내리면서 산불 진화에 전환점을 맞았다. 비록 강수량은 적었지만, 연무가 걷히고 산불 확산 속도가 둔화되면서 진화 헬기 투입이 가능해졌고, 이에 따라 진화율은 하루 만에 63%에서 94%로 급등했다.
산불은 진화됐지만 피해는 막대하다. 이날 오전까지 집계된 인명피해는 사망 24명, 이재민 6천322명에 달하며, 주택과 시설물 2천412곳이 불에 탔다. 향후 조사 결과에 따라 피해 규모는 더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 이번 산불은 경북 북부권 주민의 일상을 무너뜨렸고, 지역 사회 전반에 큰 충격을 남겼다.
이번 재난을 계기로 기후변화 속 대형 산불의 상시화에 대응하기 위한 진화 시스템 전면 개편과 장비, 인력의 대대적 보강 필요성이 다시 제기되고 있다. 산불은 꺼졌지만, 산림 복구와 이재민 보호, 문화재 복원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여전히 산적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