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lownews.kr/147123
우리가 원하는 건 장애인을 위한 세상이 아니다.
장애인을 위하고 동정하는 세상이 아니라,
동등한 시민으로서 장애인의 목소리를 존중하는 세상을 원한다.
장애인, 여성, 성소수자, 노동자 빈민 등 다중적 정체성을 지닌 K가 있다고 하자.
그를 장애인으로만 환원할 때, 그게 바로 장애인 차별이다.
K는 장애인이자 여성 성소수자 노동자 빈민이기 때문이다.
장애등급제 '진짜' 폐지와 수용시설 폐지(탈시설)를 외치는 이유.
#소셜코리아
🌈 slownews.kr/147123
우리가 원하는 건 장애인을 위한 세상이 아니다.
장애인을 위하고 동정하는 세상이 아니라,
동등한 시민으로서 장애인의 목소리를 존중하는 세상을 원한다.
장애인, 여성, 성소수자, 노동자 빈민 등 다중적 정체성을 지닌 K가 있다고 하자.
그를 장애인으로만 환원할 때, 그게 바로 장애인 차별이다.
K는 장애인이자 여성 성소수자 노동자 빈민이기 때문이다.
장애등급제 '진짜' 폐지와 수용시설 폐지(탈시설)를 외치는 이유.
#소셜코리아
🌀 slownews.kr/142890
1. 기후 재난이 반복한다.
2. 장애인과 노인, 병약자, 아동 등 돌봄 수요가 증가한다.
3. 그 부담은 가족, 특히 여성에게 전가된다.
보육교사, 요양보호사, 간병인...
이들 저임금·비정규 돌봄노동자의 처우 개선이 필요하다.
하지만 아직 기후 대응 정책 어디에도 그런 목소리는 없다.
결국, 여성이 엄마와 할머니가 독박을 쓴다.
#소셜코리아 #윤자영
🌀 slownews.kr/142890
1. 기후 재난이 반복한다.
2. 장애인과 노인, 병약자, 아동 등 돌봄 수요가 증가한다.
3. 그 부담은 가족, 특히 여성에게 전가된다.
보육교사, 요양보호사, 간병인...
이들 저임금·비정규 돌봄노동자의 처우 개선이 필요하다.
하지만 아직 기후 대응 정책 어디에도 그런 목소리는 없다.
결국, 여성이 엄마와 할머니가 독박을 쓴다.
#소셜코리아 #윤자영
💸 slownews.kr/148915
포용금융을 아십니까?
합리적 비용으로 금융취약계층의 금융접근성을 제고하고 금융소외를 해소하는 것.
금융민주주의를 제창한 2013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로버트 쉴러.
포용금융의 다른 표현입니다.
최근 저신용·저소득계층 적정 이자율을 두고 논쟁이 있습니다.
채무자보호, 함무라비의 전통 vs. 솔론의 전통.
포용금융의 다섯 가지 조건을 살펴봅니다.
#김자봉 #소셜코리아
💸 slownews.kr/148915
포용금융을 아십니까?
합리적 비용으로 금융취약계층의 금융접근성을 제고하고 금융소외를 해소하는 것.
금융민주주의를 제창한 2013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로버트 쉴러.
포용금융의 다른 표현입니다.
최근 저신용·저소득계층 적정 이자율을 두고 논쟁이 있습니다.
채무자보호, 함무라비의 전통 vs. 솔론의 전통.
포용금융의 다섯 가지 조건을 살펴봅니다.
#김자봉 #소셜코리아
🤝 slownews.kr/143712
트럼프는 한미 동맹을 '미국산 서비스 상품'처럼 취급한다.
한국을 상대로 방위비 분담금을 늘리려 '흥정'한다.
하지만 한미 동맹의 역사적 의미는 무겁다.
단순히 방위비 문제, 국방비 문제로 의미를 축소할 수 없다.
트럼프의 '마가',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이를 위해서라도 '한반도 평화'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즉, 북미 관계 개선 가능성 여는 마중물이 되어야 한다.
#소셜코리아
🤝 slownews.kr/143712
트럼프는 한미 동맹을 '미국산 서비스 상품'처럼 취급한다.
한국을 상대로 방위비 분담금을 늘리려 '흥정'한다.
하지만 한미 동맹의 역사적 의미는 무겁다.
단순히 방위비 문제, 국방비 문제로 의미를 축소할 수 없다.
트럼프의 '마가',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이를 위해서라도 '한반도 평화'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즉, 북미 관계 개선 가능성 여는 마중물이 되어야 한다.
#소셜코리아
약 5천 명(2022년) ⇨ 약 8천9백 명(2023년)
slownews.kr/143998
왜 이렇게 늘었을까.
1. ‘K-장녀’, ‘K-딸’에 덧씌워진 가족 돌봄에 대한 압력
2. 여성은 중독과 회복에서도 소외된다
중독 여성은 자신에 대한 부정적 시선과 이미지를 내면화하고 검열하면서 존재를 부정하거나 숨기기에 급급했다. 이제 이 통념과 편견에 의문을 제기하고, 회복을 위한 노력을 '밝히고', '참여하는' 목소리가 필요하다.
#소셜코리아
약 5천 명(2022년) ⇨ 약 8천9백 명(2023년)
slownews.kr/143998
왜 이렇게 늘었을까.
1. ‘K-장녀’, ‘K-딸’에 덧씌워진 가족 돌봄에 대한 압력
2. 여성은 중독과 회복에서도 소외된다
중독 여성은 자신에 대한 부정적 시선과 이미지를 내면화하고 검열하면서 존재를 부정하거나 숨기기에 급급했다. 이제 이 통념과 편견에 의문을 제기하고, 회복을 위한 노력을 '밝히고', '참여하는' 목소리가 필요하다.
#소셜코리아
지금처럼 교육 자치를 유지하는 게 좋을까?
🏫 slownews.kr/147590
행정학자는 통합의 효율성을 주장하고,
교육학자는 교육의 독립성을 옹호한다.
지자체장들의 불만은 계속 커진다.
결국 핵심은 예산이고, 정치적으론 '종속화'의 우려다.
하지만 제3의길은 가능하다. 연계와 협력으로 학교를 통해 지역을 살려야 한다.
지역 소멸 시대, 학교야말로 지역의 해법이기 때문이다.
#소셜코리아 #김성천
지금처럼 교육 자치를 유지하는 게 좋을까?
🏫 slownews.kr/147590
행정학자는 통합의 효율성을 주장하고,
교육학자는 교육의 독립성을 옹호한다.
지자체장들의 불만은 계속 커진다.
결국 핵심은 예산이고, 정치적으론 '종속화'의 우려다.
하지만 제3의길은 가능하다. 연계와 협력으로 학교를 통해 지역을 살려야 한다.
지역 소멸 시대, 학교야말로 지역의 해법이기 때문이다.
#소셜코리아 #김성천
🤝 slownews.kr/144449
복합 위기 극복을 위한 핵심 전략으로서의 사회적 대화.
1. 양극화
2. 인구구조 변화
3. 기후위기
4. AI 기술 혁신 ...
우리 사회가 당면한 문제 대부분은 이해당사자 협의와 집단 대응이 필요한 문제다.
다양한 층위에서 사회적 대화는 필수적이다.
#소셜코리아
🤝 slownews.kr/144449
복합 위기 극복을 위한 핵심 전략으로서의 사회적 대화.
1. 양극화
2. 인구구조 변화
3. 기후위기
4. AI 기술 혁신 ...
우리 사회가 당면한 문제 대부분은 이해당사자 협의와 집단 대응이 필요한 문제다.
다양한 층위에서 사회적 대화는 필수적이다.
#소셜코리아
🌞 slownews.kr/142436
달라도 너무 다르다. 어느 쪽이 현명한 걸까?
미국.
- AI 경쟁에서 중국을 이겨야 한다!
- 막대한 전력 소모가 기후에 부담 줄 수 있는 과학계 우려 외면.
- '급진적 기후 도그마' 거부하겠다는 트럼프.
- 그러면서 풍경,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언급은 없음.
중국
- 재생에너지 확대를 통해 AI 경쟁력 강화한다는 입장
- 2024, 데이터센터 녹색발전에 관한 실행계획 발표
#소셜코리아 #김병권
🌞 slownews.kr/142436
달라도 너무 다르다. 어느 쪽이 현명한 걸까?
미국.
- AI 경쟁에서 중국을 이겨야 한다!
- 막대한 전력 소모가 기후에 부담 줄 수 있는 과학계 우려 외면.
- '급진적 기후 도그마' 거부하겠다는 트럼프.
- 그러면서 풍경,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언급은 없음.
중국
- 재생에너지 확대를 통해 AI 경쟁력 강화한다는 입장
- 2024, 데이터센터 녹색발전에 관한 실행계획 발표
#소셜코리아 #김병권
📉 slownews.kr/127922 📈
1. 경쟁력 상실 본격화 "제조업 위기"
2. 내수침체·노인빈곤·청년실업·저출생 "사회 위기"
3. 탄소중립 디지털 사회로의 "전환 위기"
+ 4. 트럼프 행정부 출범 대외 위기
조기 대선에선 '3+1위기' 평가와 대응이 선거 쟁점 되어야 한다.
재벌개혁은 단가 후려치기와 기술탈취 대신 기술력 혁신의 바탕이 될 것.
#소셜코리아 #박상인
📉 slownews.kr/127922 📈
1. 경쟁력 상실 본격화 "제조업 위기"
2. 내수침체·노인빈곤·청년실업·저출생 "사회 위기"
3. 탄소중립 디지털 사회로의 "전환 위기"
+ 4. 트럼프 행정부 출범 대외 위기
조기 대선에선 '3+1위기' 평가와 대응이 선거 쟁점 되어야 한다.
재벌개혁은 단가 후려치기와 기술탈취 대신 기술력 혁신의 바탕이 될 것.
#소셜코리아 #박상인
그리고 희생을 감수하고 또 강요당하다 결국은 잊힌 사람들...
👩⚕️ slownews.kr/140861 👨⚕️
간호사와 조무사 그리고 각종 의료기사들로 구성된 보건의료노조.
이들의 분노가 폭발 직전이다.
7월 중 총파업 예고.
- ‘9.2 노정 합의 이행체제 복원
- 직종별 인력기준 제도화
- 공공병원 국가책임제
- 공공의료 강화
어떻게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 낼 것인가.
이재명 정부의 사회적 대화 역량, 그 첫 도전이자 시금석.
#소셜코리아 #보건의료노조 #총파업
그리고 희생을 감수하고 또 강요당하다 결국은 잊힌 사람들...
👩⚕️ slownews.kr/140861 👨⚕️
간호사와 조무사 그리고 각종 의료기사들로 구성된 보건의료노조.
이들의 분노가 폭발 직전이다.
7월 중 총파업 예고.
- ‘9.2 노정 합의 이행체제 복원
- 직종별 인력기준 제도화
- 공공병원 국가책임제
- 공공의료 강화
어떻게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 낼 것인가.
이재명 정부의 사회적 대화 역량, 그 첫 도전이자 시금석.
#소셜코리아 #보건의료노조 #총파업
🧾 slownews.kr/147919
1. 하면 진다.
내년 서울시장 선거에서 불리해진다.
2. 안 하면 망한다.
윤석열이 완화한 보유세 내버려두면 부동산 정책 전반이 망한다.
가혹한 상황이다. 정치적 승리를 택하면 정책적 실패를, 정책적 올바름을 따르면 정치적 패배가 기다린다.
한편, 선제적 인상은 정부 의지를 시장에 전달하는 긍정적 측면 있지만, 폭등 대응 차원으로는 가격 못 잡는다.
조세 저항을 최소화하면서 정책 목표를 달성해야 하는 어려운 미션.
#소셜코리아
🧾 slownews.kr/147919
1. 하면 진다.
내년 서울시장 선거에서 불리해진다.
2. 안 하면 망한다.
윤석열이 완화한 보유세 내버려두면 부동산 정책 전반이 망한다.
가혹한 상황이다. 정치적 승리를 택하면 정책적 실패를, 정책적 올바름을 따르면 정치적 패배가 기다린다.
한편, 선제적 인상은 정부 의지를 시장에 전달하는 긍정적 측면 있지만, 폭등 대응 차원으로는 가격 못 잡는다.
조세 저항을 최소화하면서 정책 목표를 달성해야 하는 어려운 미션.
#소셜코리아
🐷 slownews.kr/140643
1. 오해
- 선성장 후분배? 분배에 기반을 둔 성장!
- 물가 오른다? 세금 이전 효과. 저소득층 필수 소비.
2. 제언
- 햇빛·바람연금 전국화: 재생에너지 이익공유법 필요.
- 지역소멸 재원 등 활용해 농어촌 기본소득 단계적 도입.
- 무복지 상태로 청년을 내던지는 한국 같은 선진국 없다.
- 기본소득 공론화 위원회
3. 포퓰리즘? 지속 가능한 성장 전략!
- 노동시장 변화
- 혁신 수용성
- 지속 가능성
#소셜코리아 #오준호
🐷 slownews.kr/140643
1. 오해
- 선성장 후분배? 분배에 기반을 둔 성장!
- 물가 오른다? 세금 이전 효과. 저소득층 필수 소비.
2. 제언
- 햇빛·바람연금 전국화: 재생에너지 이익공유법 필요.
- 지역소멸 재원 등 활용해 농어촌 기본소득 단계적 도입.
- 무복지 상태로 청년을 내던지는 한국 같은 선진국 없다.
- 기본소득 공론화 위원회
3. 포퓰리즘? 지속 가능한 성장 전략!
- 노동시장 변화
- 혁신 수용성
- 지속 가능성
#소셜코리아 #오준호
👬 slownews.kr/145101
신냉전 서막을 알리는 '상징적 장면'이다. 하지만...
- 러시아: 전쟁 장기화 국제 제재
- 중국: 자칫 반미 블록 구축으로 비추면 '균형자' 입지 퇴색
- 북한: 중러와 협력으로 활로 모색하지만 대외 의존 심화 위험
이런 현실적 제약으로 '함께 서되, 각자 계산'의 현실을 반영하는 상징적 결속에 그쳤다.
그렇다면, 우리가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
우원식 의장이 보여준 '국회 외교'는 큰 평화를 위한 방법론 될 수 있다.
#소셜코리아
👬 slownews.kr/145101
신냉전 서막을 알리는 '상징적 장면'이다. 하지만...
- 러시아: 전쟁 장기화 국제 제재
- 중국: 자칫 반미 블록 구축으로 비추면 '균형자' 입지 퇴색
- 북한: 중러와 협력으로 활로 모색하지만 대외 의존 심화 위험
이런 현실적 제약으로 '함께 서되, 각자 계산'의 현실을 반영하는 상징적 결속에 그쳤다.
그렇다면, 우리가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
우원식 의장이 보여준 '국회 외교'는 큰 평화를 위한 방법론 될 수 있다.
#소셜코리아
💸 slownews.kr/143028
1. 재정 지출은 필요하다
2. 증세? 부채 추가 발행? 어렵다. 정치적 부담 크다.
3. 그렇다면 대안은? '기금' 여유 재원을 활용하자!
- 전력기금
- 복권기금
- 장애인고용촉진기금
- 스포츠토토와 국민체육진흥기금
- 30조 원이 놀고 있는 주택도시기금
돈은 많은데 못 쓰는 기금의 역설 풀자.
재정 칸막이 허물기, 결국 정부 의지가 열쇠다.
#소셜코리아 #이상민
💸 slownews.kr/143028
1. 재정 지출은 필요하다
2. 증세? 부채 추가 발행? 어렵다. 정치적 부담 크다.
3. 그렇다면 대안은? '기금' 여유 재원을 활용하자!
- 전력기금
- 복권기금
- 장애인고용촉진기금
- 스포츠토토와 국민체육진흥기금
- 30조 원이 놀고 있는 주택도시기금
돈은 많은데 못 쓰는 기금의 역설 풀자.
재정 칸막이 허물기, 결국 정부 의지가 열쇠다.
#소셜코리아 #이상민
🙏 slownews.kr/138838
청년 극우의 성장은 일시적∙우연적 현상이 아니다.
전 세계적인 흐름이며 구조적이다.
한국? 백래시 지수 2위 먹었다(38개국 중).
구조적 원인은...
1. 경제 위기와 불평등에 의한 불만과 박탈감
2. 타자화한 여성, 이노자, 노인, 기성세대에게 불만∙박탈감 투사
해법은?
1. 적극적 재분배 정책. 빈곤과 양극화는 증오와 극우를 낳는다.
2. 다양성과 포용을 핵심으로 한 교육을 확대해야 한다.
#김정희원 #소셜코리아
🙏 slownews.kr/138838
청년 극우의 성장은 일시적∙우연적 현상이 아니다.
전 세계적인 흐름이며 구조적이다.
한국? 백래시 지수 2위 먹었다(38개국 중).
구조적 원인은...
1. 경제 위기와 불평등에 의한 불만과 박탈감
2. 타자화한 여성, 이노자, 노인, 기성세대에게 불만∙박탈감 투사
해법은?
1. 적극적 재분배 정책. 빈곤과 양극화는 증오와 극우를 낳는다.
2. 다양성과 포용을 핵심으로 한 교육을 확대해야 한다.
#김정희원 #소셜코리아
🤼 slownews.kr/140546
그렇다면, 보수는 분열 상태로 머물까? 아니면 통합할까?
1. 보수는 분열했지만, 축소되진 않았다.
2. 젊은 보수와 탄핵 찬성파는 이준석을 택했다.
3. 늙은 보수와 탄핵 찬성파는 김문수를 택했다.
결국, 두 이질적 보수의 골은 더 깊어졌다.
적어도 두 보수 간 통합 가능성은 당분간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소셜코리아 #정해구
🤼 slownews.kr/140546
그렇다면, 보수는 분열 상태로 머물까? 아니면 통합할까?
1. 보수는 분열했지만, 축소되진 않았다.
2. 젊은 보수와 탄핵 찬성파는 이준석을 택했다.
3. 늙은 보수와 탄핵 찬성파는 김문수를 택했다.
결국, 두 이질적 보수의 골은 더 깊어졌다.
적어도 두 보수 간 통합 가능성은 당분간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소셜코리아 #정해구
🏳️🌈 slownews.kr/140224
“차별 없는 사회, 평등한 권리”
디지털 플랫폼 ‘천만의 연결’이 모은 시민의 목소리.
하지만 제도와 정책으로 이어지는 실질적 구조와 연결 고리가 없다.
대표적인 사례가 차별금지법이다.
17년 동안 정부와 정치권은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다”는 말을 반복해 왔지만, 실질적인 입법은 번번이 무산됐다.
이제는 시민의 목소리를 제도와 정책으로 이어낼 제도적 구조를 함께 설계해야 한다.
#소셜코리아 #황현숙
🏳️🌈 slownews.kr/140224
“차별 없는 사회, 평등한 권리”
디지털 플랫폼 ‘천만의 연결’이 모은 시민의 목소리.
하지만 제도와 정책으로 이어지는 실질적 구조와 연결 고리가 없다.
대표적인 사례가 차별금지법이다.
17년 동안 정부와 정치권은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다”는 말을 반복해 왔지만, 실질적인 입법은 번번이 무산됐다.
이제는 시민의 목소리를 제도와 정책으로 이어낼 제도적 구조를 함께 설계해야 한다.
#소셜코리아 #황현숙
👵🧓 slownews.kr/132052
1. 결국 모수개혁(기존 시스템 유지, 숫자만 조정) 선택했다.
2. 소득대체율 축소가 미래세대 위한 것? 궤변. 연금 삭감은 현 청년세대에도 노후 불안 가중할 뿐이다.
3. 사회연대에 기반한 연금제도의 본질을 망각하고 세대갈등만 부각한다.
해법은?
⑴ 더 오래 제대로 연금에 기여하도록 노동개혁(정년연장 등) 해야 한다.
⑵ 그래야 정년∙은퇴와 연금수급 사이의 '골'도 메울 수 있다.
#소셜코리아 #주은선
👵🧓 slownews.kr/132052
1. 결국 모수개혁(기존 시스템 유지, 숫자만 조정) 선택했다.
2. 소득대체율 축소가 미래세대 위한 것? 궤변. 연금 삭감은 현 청년세대에도 노후 불안 가중할 뿐이다.
3. 사회연대에 기반한 연금제도의 본질을 망각하고 세대갈등만 부각한다.
해법은?
⑴ 더 오래 제대로 연금에 기여하도록 노동개혁(정년연장 등) 해야 한다.
⑵ 그래야 정년∙은퇴와 연금수급 사이의 '골'도 메울 수 있다.
#소셜코리아 #주은선
💮 slownews.kr/145239
이들 중 국적∙성별∙나이∙사망원인∙시점('기초정보')을 아는 경우는 214명뿐이다.
산업재해를 인정받은 경우는 더 적어서 137명만 산재 인정받았다.
구조적 폭력과 무관심이 낳은 차별과 소외.
그 중심에 고용허가제, 임시 노동이주 체제가 있다.
1. '사업장 변경 제한' 전면 폐지해야 한다.
2. 길게는 30년 넘게 산 이들에게 체류권을 인정하자.
'임시 체류자' 아닌 우리 공동체의 일원이다.
#소셜코리아
💮 slownews.kr/145239
이들 중 국적∙성별∙나이∙사망원인∙시점('기초정보')을 아는 경우는 214명뿐이다.
산업재해를 인정받은 경우는 더 적어서 137명만 산재 인정받았다.
구조적 폭력과 무관심이 낳은 차별과 소외.
그 중심에 고용허가제, 임시 노동이주 체제가 있다.
1. '사업장 변경 제한' 전면 폐지해야 한다.
2. 길게는 30년 넘게 산 이들에게 체류권을 인정하자.
'임시 체류자' 아닌 우리 공동체의 일원이다.
#소셜코리아
'송파 세 모녀'가 '신청'했다가 탈락했던 사실...
문제는 신청주의 자체가 아니다.
😢 slownews.kr/146128
낙인을 수반하는 선별복지제,
과도한 빈곤 입증 책임을 강요하는 관료주의,
관료주의를 조장하는 복지억제적 기조가 문제의 본질이다.
#소셜코리아 #신청주의 #잔여주의 #보편복지 #선별복지
🔥 slownews.kr/144514
1. 책상불
현장은 분투 중인데, 중앙에선 ‘책상 위 문서’가 우선이다.
관료적 탁상행정이 사라지지 않고 않고 산불, 산사태는 반복된다.
2. 침엽수
"연료들(침엽수)이 너무 많다"
3. 주민 참여
보호대상 아닌 주체로 전환하는 것이 재난관리 출발점이다.
4. 컨트롤타워 부재
5. 패러다임 전환
현장에선 작동하지도 않는 정책수단 대신 지역 주도, 민간과의 기술 결합하는 패러다임 전환이 시급하다.
#소셜코리아
🔥 slownews.kr/144514
1. 책상불
현장은 분투 중인데, 중앙에선 ‘책상 위 문서’가 우선이다.
관료적 탁상행정이 사라지지 않고 않고 산불, 산사태는 반복된다.
2. 침엽수
"연료들(침엽수)이 너무 많다"
3. 주민 참여
보호대상 아닌 주체로 전환하는 것이 재난관리 출발점이다.
4. 컨트롤타워 부재
5. 패러다임 전환
현장에선 작동하지도 않는 정책수단 대신 지역 주도, 민간과의 기술 결합하는 패러다임 전환이 시급하다.
#소셜코리아
💸 slownews.kr/135204
1. 사모펀드 자체는 문제가 아니다.
2. 국민연금도 사모펀드 투자 평균 수익률도 14.5%로 우수하다.
3. 문제는 약탈적 투자: 투자 대상에 금융 부담 지우고, 실질 가치 착취한 후 기업 방치
⇨ 최근 논란 MBK 홈플러스 인수 사례가 대표적이다.
4. 해법은?
- 유럽연합, 사모펀드 규제 지침
- 미국, 이사의 충실의무와 징벌적 손해배상
- 국민연금 계획 중인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이 무엇보다도 시급하다.
#소셜코리아 #원종현
💸 slownews.kr/135204
1. 사모펀드 자체는 문제가 아니다.
2. 국민연금도 사모펀드 투자 평균 수익률도 14.5%로 우수하다.
3. 문제는 약탈적 투자: 투자 대상에 금융 부담 지우고, 실질 가치 착취한 후 기업 방치
⇨ 최근 논란 MBK 홈플러스 인수 사례가 대표적이다.
4. 해법은?
- 유럽연합, 사모펀드 규제 지침
- 미국, 이사의 충실의무와 징벌적 손해배상
- 국민연금 계획 중인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이 무엇보다도 시급하다.
#소셜코리아 #원종현
✞ slownews.kr/134527
1. 2000년 전후 신자의 대이동
A: 중상위 계층 ⇨ 후발 대형교회
B: 하층 청년층 ⇨ 신천지
C: 하층 남성 노년층 ⇨ '거리의 전도자' 현상
D: 청년∙중산층 ⇨ '떠돌이 신자' 현상
E: 청소년층 '온라인' 이동 ⇨ 교회 이탈
2. 건국 이후 세 번의 개신교 대전환
- 증오 ⇨ 성장 ⇨ 웰빙
3. 전광훈과 손현보(세계로)의 출현
- 전광훈에겐 극우만 남았다. 테러리즘과 결합할 가능성도 없지 않다.
#소셜코리아 #김진호
✞ slownews.kr/134527
1. 2000년 전후 신자의 대이동
A: 중상위 계층 ⇨ 후발 대형교회
B: 하층 청년층 ⇨ 신천지
C: 하층 남성 노년층 ⇨ '거리의 전도자' 현상
D: 청년∙중산층 ⇨ '떠돌이 신자' 현상
E: 청소년층 '온라인' 이동 ⇨ 교회 이탈
2. 건국 이후 세 번의 개신교 대전환
- 증오 ⇨ 성장 ⇨ 웰빙
3. 전광훈과 손현보(세계로)의 출현
- 전광훈에겐 극우만 남았다. 테러리즘과 결합할 가능성도 없지 않다.
#소셜코리아 #김진호
🌱 slownews.kr/143780
돌봄+연금+기본사회, 그 쟁점과 한계
1. 지역사회 통합돌봄
- 지자체 의지와 역량
- 대상자의 필요와 연결 방법이 관건
2. 연금
- '기금 운용'으로 옮겨진 전쟁터
- 수익률 제고 및 기금의 사회적 책임 강화: ESG 원칙
- 수익률에만 치중해 금융 부문에 99.9% 투자. 사회투자자본 역할도 해야.
3. 기본사회
- 핵심은 거버넌스
- 하지만 기본사회위원회가 실질적 역할 할 수 있을까?
#소셜코리아
🌱 slownews.kr/143780
돌봄+연금+기본사회, 그 쟁점과 한계
1. 지역사회 통합돌봄
- 지자체 의지와 역량
- 대상자의 필요와 연결 방법이 관건
2. 연금
- '기금 운용'으로 옮겨진 전쟁터
- 수익률 제고 및 기금의 사회적 책임 강화: ESG 원칙
- 수익률에만 치중해 금융 부문에 99.9% 투자. 사회투자자본 역할도 해야.
3. 기본사회
- 핵심은 거버넌스
- 하지만 기본사회위원회가 실질적 역할 할 수 있을까?
#소셜코리아
😢 slownews.kr/141836
그 3천 원 때문에 병원 가는 걸 망설이는 사람도 있다.
누군가에겐 푼돈일 몇천 원도 이들에겐 큰돈이다.
윤석열 정부가 기습적으로 개악한 '의료수급 정률제'
이재명 정부에서 당연히 폐지될 줄 알았지만, 여전히 살아 있다.
병원에 가고 싶은 사람은 없다.
의사가 일주일 뒤 오라면 오고, 한 달 뒤 오라면 갈뿐이다.
무슨 수로 환자가 병원 가는 횟수를 정하나?
이 질문에 복지부는 답하지 않았다.
#소셜코리아 #김윤영
😢 slownews.kr/141836
그 3천 원 때문에 병원 가는 걸 망설이는 사람도 있다.
누군가에겐 푼돈일 몇천 원도 이들에겐 큰돈이다.
윤석열 정부가 기습적으로 개악한 '의료수급 정률제'
이재명 정부에서 당연히 폐지될 줄 알았지만, 여전히 살아 있다.
병원에 가고 싶은 사람은 없다.
의사가 일주일 뒤 오라면 오고, 한 달 뒤 오라면 갈뿐이다.
무슨 수로 환자가 병원 가는 횟수를 정하나?
이 질문에 복지부는 답하지 않았다.
#소셜코리아 #김윤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