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권
미∙중 AI 경쟁과 기후 대응∙에너지 전략
🌞 slownews.kr/142436

달라도 너무 다르다. 어느 쪽이 현명한 걸까?

미국.
- AI 경쟁에서 중국을 이겨야 한다!
- 막대한 전력 소모가 기후에 부담 줄 수 있는 과학계 우려 외면.
- '급진적 기후 도그마' 거부하겠다는 트럼프.
- 그러면서 풍경,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언급은 없음.

중국
- 재생에너지 확대를 통해 AI 경쟁력 강화한다는 입장
- 2024, 데이터센터 녹색발전에 관한 실행계획 발표

#소셜코리아 #김병권
기후 외면 미국 vs. 녹색 품은 중국, AI 승자는? - 슬로우뉴스.
지난 7월 24일 미국 트럼프 정부가 인공지능(AI) 정책에 대한 청사진을 발표했다. ‘경쟁에서 승리하기, 미국의 인공지능(AI) 행동계획’이라는 이름으로 발표된 28쪽짜리 보고서는 형식상으로는 미국의 혁신 가속화, 인공지능 인프라 구축, 국제 외교와 안보 선도 등 세 개의 축을
slownews.kr
July 30, 2025 at 8:54 AM
<문화과학 119호 - 2024.가을> - 이광석, 김병권, 김은주, 김지혜, 하승우, 조미성, 전의령, 문현아, 정원옥, 박여리, 조익상, 김미정, 김강기명, 김상규, 심소미, 노예주 (지은이)
문화과학사 | 2024-09-04 출간 | 16200원
알라딘 구매 링크
September 4, 2024 at 1:46 AM
코스피 5000시대 오면 모두 행복해지는 겁니까?
AI 시대가 더 성숙해지면 덜 일해도 삶이 여유로울까요?
🕊️ slownews.kr/146325

국정 '목표'가 코스피 5000일 수 없습니다.
국정은 건강한 실물경제, 모두 함께 성장하는 평등한 분배가 목적이어야 합니다.
그래야 일한 만큼 내일을 희망할 수 있는 예측가능성이 생깁니다.

AI는 어떻습니까?
AI 시대가 성숙기 오면 더 평등하고, 더 여유로운 세상이 될까요?
그 반대 예측이 많습니다.

우리가 나아갈 방향, 한번 돌아볼 시간입니다.

#소셜코리아 #김병권
코스피 5000 찍고, AI 성숙기 오면 모두 행복할까? - 슬로우뉴스.
인수위원회도 없이 시작한 이재명 정부는 집권 첫날부터 숨 가쁘게 움직여왔다. 내란 특검 설치부터 부동산 시장 안정, 소비 쿠폰 공급과 관세 협상까지, 취임 후 가장 중요한 시간을 보냈다. 100일이 지난 지금 숨 고르기 하며 5년 국정의 큰 방향을 세워가고 있다. 대통령은 지난
slownews.kr
September 30, 2025 at 6:45 AM
<문화과학 120호 - 2024.겨울 - 전환의 키워드> - 이광석, 김병권, 김은주, 김지혜, 하승우, 조미성, 전의령, 문현아, 정원옥, 박여리, 조익상, 김미정, 김강기명, 김상규, 심소미, 노예주, 바래(BARE), 정정엽, 키후위키 (지은이), 『문화/과학』 편집위원회 (엮은이)
문화과학사 | 2024-11-18 출간 | 16200원
알라딘 구매 링크
November 18, 2024 at 3:26 AM
<기후위기 행동사전 - 당황하지 않고 새 시대를 사는 법> - 김병권 (지은이)
산현재 | 2023-08-30 출간 | 17820원
알라딘 구매 링크
August 23, 2023 at 5:55 AM
트럼프의 "그린래시"(Greenlash, 기후대응에 반대하는 움직임)
🌪️ slownews.kr/129763 ⛈️

1. 취임 첫날 파리협약 재탈퇴! 예상했다. 하지만 탄소중립 대세 꺾을 수 있을까?

2. 트럼프를 너무 과소평가(?)했다. 취임 1주일 만에 70여개 기후대응 무력화했다!

3. 왕이 되려는 트럼프, “나라를 구하는 자는 어떤 법도 위반하지 않는다”(나폴레옹)

4. 중국의 부상 가능성, 녹색산업에서 이룬 강력한 경쟁력 무기로 글로벌 기후 거버넌스의 주도권을 행사할 가능성.

#소셜코리아칼럼 #김병권
트럼프의 그린래시: 족쇄 풀린 기후위기 - 슬로우뉴스.
지난 1월 20일(이하 현지 시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취임 첫날 예상대로 파리협약 탈퇴를 선언했다. 이때까지만 해도 전문가들은 그가 또다시 파리협약에서 이탈하고 기후변화를 부인한다고 해도 탄소중립으로 가는 글로벌 대세를 거스를 수는 없다고 보았다.
slownews.kr
February 26, 2025 at 6:34 AM
기후위기 대응, (시대정신을 넘어) 생존의 문제다
♻️ slownews.kr/126369 ☀️

- 트럼프 '회색무역장벽'
- 중국 '녹색제도 경쟁력 장벽'
- 유럽 '녹색무역장벽'

한국이 '녹색 무역 경쟁'에서 살아남으려면?
1. 배출권 거래권 국제 수준으로 개선하고
2. 산업 전력의 재생에너지 비중을 세계 평균 수준으로 높이며
3. 탄소집약산업의 탄-탄소 투자가 필요하다.

#녹색전환연구소 #김병권
기후대응 후진국 한국, 무역경쟁에서 살아남으려면 이 ‘세 가지’는 하라. - 슬로우뉴스.
녹색전환연구소의 2025 기후에너지 10대 전망과 제언 보고서를 10회에 걸쳐 연재합니다. 이 글의 필자는 김병권(녹색전환연구소 연구위원)입니다.
slownews.kr
January 17, 2025 at 2:08 AM
《뉴 래디컬 리뷰》 2023년 여름(8)호는 주디스 버틀러 내한에 맞춰서 특집을 기획했을텐데 그 일정이 연기 되면서 예습 특집이 되어버렸네. 나쁠 건 없지만..
July 24, 2023 at 10:29 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