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의성 산불, 안동•청송•영양•영덕으로 확산…사망 21명•피해 3만㏊ 넘어서며 사상 최악 #의성산불 #안동산불 #청송산불 #영양산불 #영덕산불 #사망21명 #산불피해3만헥타르 #하회마을위협 #대전사방어 #헬기추락사고 #영덕차량폭발 #연기피해 #산불대응총력
연합뉴스에 따르면, 경북 의성에서 시작된 산불이 닷새째 이어지며 안동, 청송, 영양, 영덕 등 경북 북동부 5개 시•군으로 확산되고 있다. 진화가 지연되면서 현재까지 사망자 21명, 산불영향구역 3만㏊ 이상, 각종 시설 피해 257곳, 주민 대피 8천7백여 명 등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산림 당국은 3월 26일 오전 6시 30분부터 의성, 안동, 청송, 영양, 영덕 등에 진화 헬기 87대, 인력 5천421명, 진화 장비 656대를 투입해 진화 작업에 나섰다. 하지만 낮 최고 기온 20도 이상, 순간 최대 초속 11m에 달하는 강풍 등 악조건이 이어져 진화는 난항을 겪고 있다.
이날 낮 12시 51분께 의성군 신평면 교안리 야산에서 진화 헬기 1대가 추락하면서 헬기 운항이 한때 전면 중단됐다. 추락한 헬기는 강원도 인제군 소속 S-76 기종으로, 기장 A씨(73)가 사망했다. 사고 인근에 민가가 있어 추가 피해 가능성도 제기됐다.
산불은 동진을 거듭해 하회마을과 병산서원, 봉정사 등 세계문화유산과 청송 주왕산 대전사 같은 고찰들까지 위협하고 있다. 안동 하회마을은 직선거리로 5km까지 불이 접근했고, 마을 내에서는 소화전 30개와 소방차 19대를 동원해 2시간 간격으로 예방 살수를 이어가고 있다. 병산서원과 봉정사 주변에도 방화선을 구축하고 나무를 벌채하는 등 대응이 강화됐다.
연합뉴스
청송 주왕산에서는 문화재 보호를 위해 사찰 내 문화재를 부직포로 감싸고 승려들은 일부 문화재를 반출했다. 공원 인력은 85명이 3개 조로 나뉘어 방어에 나섰고, 소방차는 사찰 주변에서 지속적으로 살수를 실시하고 있다.
26일 오후 기준으로 산불영향구역은 청송, 영양, 영덕 등 3곳에서 1만6천19㏊로 집계됐고, 의성과 안동은 분석이 완료되지 않았지만 전날까지 1만5천185㏊로 추산됐다. 전체 피해 규모는 이미 3만㏊를 넘은 것으로 추정된다.
사망자는 영양, 청송, 영덕, 안동 등지에서 확인됐으며, 도로와 마당, 차량 등에서 발견됐다. 영덕에서는 대피하던 실버타운 입소자가 차량 폭발로 숨졌고, 일가족 피해도 발생했다. 당국은 연기로 인한 질식 가능성을 포함해 사망 원인을 조사 중이다.
연합뉴스
주민 대피도 이어지고 있다. 지자체들은 고령자가 많은 지역 특성을 고려하지 못한 채 혼란스럽게 재난문자를 발송해 현장에서는 우왕좌왕하는 모습이 벌어졌다. 영덕 7번 국도는 대피 차량으로 마비됐고, 주민 수십 명이 방파제 등지에 고립됐다가 구조되기도 했다.
청송 주민은 대피 과정에서 안전한 방향 안내조차 없어 불안 속에 대피했다고 밝혔고, 안동 도심은 연기로 인해 낮에도 밤처럼 어둡고 연기 피해로 두통을 호소하는 시민이 많았다. 연기 유입으로 문을 닫은 상가들도 늘고 있다.
산림 당국은 이날 야간 대응 체제로 전환해 인력 3천333명을 투입, 전력시설과 문화재, 민가 등을 중심으로 방화선을 구축하고 산불확산 지연제도 살포했다. 고속도로는 예천의성, 동상주영덕 구간이 통제됐다.
산림청은 "산불 확산 차단과 인명·재산 피해 방지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