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rangx.bsky.social
@horangx.bsky.social
83 followers 25 following 1.3K posts
Posts Media Videos Starter Packs
Reposted by horangx.bsky.social
aircon77.bsky.social
"내가 니 물건을 니 허락 없이 멋대로 훔쳐다 팔아서 돈을 벌거야

어? 니 허락 없이 파는게 맘에 들지 않는다고?
그럼 수익을 나누자 내가 9 너는 1 하면 좋겠지?

응? 수익 배분도 싫고 그냥 쓰지 말라고?
아이고 이 ㅅㄲ 기술발전 거부하는 러다이트인가보구나!"

대충 > 사고방식이 일반인들과 다릅니다 < 짤
transborder.bsky.social
샘 알트먼 오픈AI CEO가 '소라'의 저작권 침해 반발을 예상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또, 시간이 지나면 현 상황과는 정반대로 자신들의 캐릭터가 소라에 등장하지 않는다고 불평하는 저작권자들이 나올 것으로 예측했다.

www.aitimes.com/news/article...
알트먼 "언젠가는 '소라'에 저작권물이 등장하지 않는다고 불평할 것" - AI타임스
샘 알트먼 오픈AI CEO가 '소라'의 저작권 침해 반발을 예상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또, 시간이 지나면 현 상황과는 정반대로 자신들의 캐릭터가 소라에 등장하지
www.aitimes.com
Reposted by horangx.bsky.social
transborder.bsky.social
샘 알트먼 오픈AI CEO가 '소라'의 저작권 침해 반발을 예상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또, 시간이 지나면 현 상황과는 정반대로 자신들의 캐릭터가 소라에 등장하지 않는다고 불평하는 저작권자들이 나올 것으로 예측했다.

www.aitimes.com/news/article...
알트먼 "언젠가는 '소라'에 저작권물이 등장하지 않는다고 불평할 것" - AI타임스
샘 알트먼 오픈AI CEO가 '소라'의 저작권 침해 반발을 예상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또, 시간이 지나면 현 상황과는 정반대로 자신들의 캐릭터가 소라에 등장하지
www.aitimes.com
Reposted by horangx.bsky.social
Reposted by horangx.bsky.social
Reposted by horangx.bsky.social
nepu47.bsky.social
우마무스메 초기 때부터 한 말이지만 아일랜드의 왕족이란 설정은 아일랜드 역사를 알면 진짜 하지 말아야 할 짓*인데, 사이게임즈가 당당하게 들이박는 걸 보고 (원본마와 마주의 관계를 재현한 거라지만) 너희들 그렇게 유럽의 공주님이 좋아 죽겠니 뭐 그런 생각이 들었던 것이다... 지금까지 방치했다가 부랴부랴하는 것도 글로벌 서버 관련 문제겠지란 생각밖에 안들고 좀 너무 남의 나라 역사에 생각이 없어~

*아일랜드는 대영제국과 오랫동안 싸운데다가 독립 후에도 노선 차이로 IRA의 테러활동으로 유명했음.
Reposted by horangx.bsky.social
heyjinism.bsky.social
자베르는 자기가 잘못 판단한 거 깨닫고 세느 강에 몸이라도 던졌지. 저 쁘띠 자베르들은 그래도 샘물교회때는 다들 욕했으면서 구시렁 구시렁 하고 있겠지요? 반전운동 활동가와 선교사를 동급으로 두려는 사람은 결국 샘물교회를 어떻게든 편들고 싶어하는 사람인 것이다.
Reposted by horangx.bsky.social
heyjinism.bsky.social
사람이, 타국의 횡포 때문에 다른 나라의 사람들이 총에 맞아 죽고 식량이 없어 굶어 죽어가는 것을 보고 목숨걸고 갔다. 혼자 간 것도 아니고 다른 나라의 활동가들과 함께. 그걸 보면서도 옳고 그름이나 사람 목숨 이전에 법이니 국민정서니 하는 인간들은 이전에도 가자 지구에는 관심도 없었겠지. 적어도 해초님은 그런 머저리같은 쁘띠 자베르들에게 이곳에서 사람이 죽어가고 있다는 걸 알리는 일은 하시지 않았나.
Reposted by horangx.bsky.social
heyjinism.bsky.social
해초님 일을 샘물교회에 비교하면서, 법적으로 하지 말라는 짓 한 거니 국민정서에 맞지 않는다는 말씀 하시는 분을 봤는데

일제강점기에는 독립운동도 집권중인 일본 입장에서는 불법이었으니, 하면 안 되는 일이었느냐고 좀 여쭤보고 싶지만, 사실 말 섞기도 싫다. 일제강점기가 너무 멀어서 매칭이 잘 안 되면, 가까운 예를 들어볼까요? 지난 12월 3일 밤 포고령에 의하면 정치적 결사, 집회, 시위 등 일체의 정치행위 금지였는데 그래서 사람들이 고분고분 집에 있었으면 어떻게 되었게다, 이 쁘띠 자베르들아.
Reposted by horangx.bsky.social
Reposted by horangx.bsky.social
inspektor.bsky.social
둘리가 꼬마애였다가 검열때문에 공룡으로 바뀌었단 이야기는 김수정씨가 직접 이야기를 해서 꽤 알려진 편인데, 이 검열 문제는 생각보다 소소한 부분들에서 많이들 틀어놓은 설정들을 많이 만들었죠. 이게 어느정도 희석된건 87년 민주화 이후부터 즈음이죠.

그당시 잡지의 연재만화 첫 장이나 대본소의 만화책을 보면 표지에 "심의필" 마크가 들어가 있었죠. 아마 지금 남은 현물에 보면 다 있을겁니다. 90년대 초반즈음에 이게 없어졌지만, 대신 YWCA 같은 시민단체발 검열논란이 종종 터졌죠.
Reposted by horangx.bsky.social
inspektor.bsky.social
그 즈음에 대한뉴스 같은데 나오는 가정 영상들 보면 생각보단 멀쩡해 보이는 집들이 종종 나오는데, 그게 그당시의 평균적인 주택을 그대로 보여주지 않고 모델이 될만한 집에서 연출로 찍어서 그렇습니다.

이걸 좀 우연찮게 어릴적에 알게되었죠. 근처에 대한뉴스 비슷한 국가기관의 홍보영상을 찍은 케이스가 있는데, 자기 집이 아니라 아파트에서 가족들 영상을 찍었었다고 했거든요.
Reposted by horangx.bsky.social
inspektor.bsky.social
달려라 하니에서 하니의 배경설정이 좀 이슈가 되면서 가정이 유복하네 아니네 이야기가 좀 나오는데, 그당시에는 진짜로 쌩으로 불우한 가정 묘사가 나오는 건 흔치 않았습니다. 왜냐? 검열당하거든요.
Reposted by horangx.bsky.social
jork.bsky.social
이런 냥이는 도대체 뭐라고 불러야하지

삼색턱시도...?
카오스젖소...????
Reposted by horangx.bsky.social
hoduyulmucha.bsky.social
또한 테ㅁ 공구광고도 꼴보기싫어서 테ㅁ 싫어. 라고 말해줬더니 그것도 오늘 한번만 보게됨..
Reposted by horangx.bsky.social
hoduyulmucha.bsky.social
유툽광고로 되도않는말로 'ㅇㅇ로의 여행을계획하고있습니다 ㅇㅇ.ㄱㄱ.ㄹㄹ.ㅎㅎ(지역이름들나열)하는 아고ㄷ광고가 너무싫어서 어제는 핸드폰 마이크에다대고 '아고ㄷ 싫어' 라고 말했는데 오늘 그 광고가 한번도 뜨지않았다. 충격!!
Reposted by horangx.bsky.social
jork.bsky.social
그냥 코스츔 처럼 그려놨는데 실제로는 전신 타이즈 타입이었습니다
Reposted by horangx.bsky.social
jork.bsky.social
오늘 미취학아동이 케데헌 루미 코스프레하고 나들이 나온 걸 봤다.

부모들은 세 발짝 떨어져서 고개를 똑바로 두질 못하고 있었다.
Reposted by horangx.bsky.social
Reposted by horangx.bsky.social
theatreq.bsky.social
제주 우도 갔을 때 식문화충격받은 일화.

바닷가 포차가 있길래 뭐 좀 먹을까 하고 앉았는데 아무도 주문받으러 안 옴. 이미 먹고 있는 사람들에게 “사장님 어디 가셨어요?” 물었더니만…….

바다에 들어가셨단다.

해녀 사장님들이 해물 팔다가 다 떨어지니까 해물 건지러 바다에 들어가셨대.

20-30분쯤 기다리니까 과연 잠수복을 입은 할머님 세 분이 그물망을 묵직히 들고 바닷물을 뚝뚝 흘리면서 다가오심.

메뉴 고르고 뭐고 없음. 가격 말하고 그에 맞게 썰어주시는 거 받아먹음.
Reposted by horangx.bsky.social
sibauchi.bsky.social
이미 했습니다 물론 씨너스 보고도 백인혐오니 기독교 혐오니 머니 개소리 해대고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