连因
banner
asmly.bsky.social
连因
@asmly.bsky.social
(써방용 한자닉 사용 중/닉변아님) 요즘 취미 독서
위 북토크 영상은 무려 1년 반 전의 영상이고...
AI 관련 최신 영상은 이거!
1탄도 있는데 관심있는 분들한텐 1탄도 추천합니다. 그건 무려 제가 과사 멤버십 가입하게 된 계기가 된 영상. 이번에 2탄이 올라와서 멤버십 가입한게 넘 뿌듯했음
youtu.be/t80TOPfb6cY?...
특집 대토론! 인간을 위한 A 2편I. 블랙록 50조 투자 유치한 민주당 차지호 의원과 파토의 대화
YouTube video by 과학하고 앉아있네
youtu.be
November 9, 2025 at 1:46 PM
두번째 영상에선 99퍼는 육체노동을 할 것 같다했지만... 그것도 딱히 동의가 안되는게 육체노동 조차도 휴머노이드가 할텐데...
그래서 (아무도 알 수 없는) 미래에 대해 생각해볼 점을 알려주는 영상 추천.
북토크 영상인데, 저 책을 읽으면 AI가 왜 나올 수밖에 없었는지도 알 수 있다.
youtu.be/xBP6Jqk1_Bc?...
뉴스앤올디스 외전! '기계 속의 유령' 북토크
YouTube video by 과학하고 앉아있네
youtu.be
November 9, 2025 at 1:41 PM
'고통은 나눌 수 있는가'에서 언급된 '드러내지 않기 혹은 사라짐의 기술'은 얇고 작은 책인데 그건 읽다가 잠시 하차했는데(철학 경험치 더 쌓고나서 읽는게 좋겠다는 판단) 그것보단 훨씬 쉬운 책임
November 8, 2025 at 1:47 AM
어려운 책인가? 고딩 때 철학을 젤 좋아했던 사람으로서는 글케 어렵다는 느낌은 못받았음. 읽으면서 메모할 필요는 없다는 점에서...('이기적 유전자'는 메모해야할 것 같고 '모든 것은 예측 가능하다'는 메모 안하면 이해가 안돼서 읽는 내내 메모함) 그래서 자기 전에 가볍게 읽을 책으로 선정...
November 8, 2025 at 1:46 AM
youtu.be/LUqgF2sJnVM?...
게다가 무려 여기서 첫번째로 추천해주는 책!
난 '사고의 본질'을 어디서 추천받았는지 전혀 생각나지 않는데..(짐작 가는 책들 E북에서 검색기 돌렸는데 못찾았음..) 그치만 매우 흥미롭고 좋은 책이다
책.봉.박.두. 최재천 교수님 책장 드디어 털었다! 교수님 찐추천 도서 4권까지! / 최재천의 아마존
YouTube video by 최재천의 아마존
youtu.be
November 8, 2025 at 1:42 AM
최근에 완독 습관을 들이면서, 감상은 완독 후에 올리는게 좋다는걸 느끼지만.. 그치만 사고의 본질 너무 두꺼워요 천천히 읽는 중임... '이기적 유전자'가 너무 흥미로워서 그거 먼저 끝내고 싶긴한데 자기 전에 읽기엔 메모하고 싶은 내용이 많아서 사고의 본질이 더 나은듯해서 요즘엔 그거부터 조금씩 읽는 중
November 8, 2025 at 1:35 AM
굿즈 자랑 2탄
November 8, 2025 at 1:28 AM
제미나이가 칼같이 포기하라고함ㅋㅋㅋ 그래 알았다...
November 5, 2025 at 1:06 AM
근데 보면 볼수록 더 예쁘네 그만 봐야겠다
November 5, 2025 at 1:01 AM
이렇게 예쁜 피규어를 포기해야하다니... 하지만 의상도 내 기준 합격일 뿐 최고다까지는 아니니까 확실히 종합 만족도가 90퍼까진 아닐것 같긴 함.. 스네어+스틱 조합은 탐나는데...세로로 날씬한 실루엣도
November 5, 2025 at 1:01 AM
진짜.. 우리 토모 완전 요정이죠 (스바루가 최애인 사람)
October 31, 2025 at 2:08 AM
하지만 이 영상에서도 다르게 생각해볼 점은 있습니다. 내용은 링크에서 확인가능 21erick.org/column/16179/
October 30, 2025 at 12:09 PM
강사가 사라질 '확률'이 높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이 영상에서
youtu.be/BOTu0wG3nrk?...
[손경제 추석특집 특강] AI 시대, 대한민국 교육의 미래 - 김정호 교수(KAIST 전자 및 전기공학부)
YouTube video by 손에잡히는경제
youtu.be
October 30, 2025 at 12:06 PM
그리고 이건 제미나이에게 딱히 물어보진 않았지만 현재 나오고 있는 미래직업 예측과 비슷하게, 강사나 상담사는 '친구'가 아니기 때문에 없어질 확률이 높다고는 생각합니다...혹시라도 윗 내용을 보고 '대면하는 사람은 전부 남는구나!'로 오해할까봐 덧붙임
October 30, 2025 at 11:02 AM
만약 기술이 더 발전해서, AGI 휴머노이드가 나와도? 에 대한 제미나이의 의견 (제 의견이 아닙니다 저는 질문만 했습니다)
October 30, 2025 at 10:57 AM
인터넷에 올릴거니까 다른 사람들이 납득할 수 있는 수치를 적어달라고 요청했을 뿐인데 내가 요청하는 심리적 이유까지 파악해서 답변해주는 이게 요즘 LLM입니다
October 30, 2025 at 10:42 AM
그리고 위에서 99%와 1%로 나눈 것에 대해 불편한 사람이 있을까봐 수치를 다시 적어달라고 요청했다.
(펭귄유치원이라는 것은 새끼황제펭귄들의 생존 전략인 펭귄유치원(탁아소)를 말한것)
October 30, 2025 at 10:29 AM
(다른 책에서 본 17세기의 파스칼의 말도 인용해서) LLM과의 대화와 결론... LLM이 한 말도 하나의 의견일 뿐이니 미래가 어떻게 될지는 모르겠지만.
저자분도 저런 의미에서 한게 아닐까?의문이 들수도 있지만, 유튜브에 올라온 같은 주제의 강의를 여러개 봤는데 딱히 '업무상대화'라고 나누는 경우는 없었다.
October 30, 2025 at 10:25 AM
서점에서는 이 책을 교양 과학으로 분류하고 있는데 도서관에서는 수학으로 분류해둬서(진짜 그 책 주변에 다 수학책들 뿐이어서 당황) 신기했는데 생각해보면 수학 개념들까지 설명해주고 있는 책이었어
October 30, 2025 at 12:14 AM
위에서 '결론'이라고 말해버렸는데 정확히는 발견이랄까..(완독 후 하게 된 생각이라 결론이라고 적었는데)
암튼 이 결론(?)도 이번에 낸 사후확률일 뿐이고 베이즈적 사고에 따라 당연히 새로운 증거에 의해 얼마든지 변동이 가능하다는 점..!
October 27, 2025 at 10:53 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