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략)
수질을 나타내는 '경수(센물)'와 '연수(단물)'라는 단어가 있지요. 일본의 물은 대부분 연수여서,
(중략)
수질을 나타내는 '경수(센물)'와 '연수(단물)'라는 단어가 있지요. 일본의 물은 대부분 연수여서,
그러고 보니 두 작품의 공통점이 하나 더 있는데 제목이 드럽게 어렵고 외우기가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어디 언급할 때마다 검색해서 찾아보게 됨.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 / 도시와 그 불확실한 벽
그러고 보니 두 작품의 공통점이 하나 더 있는데 제목이 드럽게 어렵고 외우기가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어디 언급할 때마다 검색해서 찾아보게 됨.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 / 도시와 그 불확실한 벽
(트위터 유료 사용중)
(트위터 유료 사용중)
염두해 두다 x
염두에 두다 ㅇ
염두해 두다 x
염두에 두다 ㅇ
맵다 너모 매워 불고기버거 따로 먹을테니 그냥 오징어버거 재출시좀요🙏
맵다 너모 매워 불고기버거 따로 먹을테니 그냥 오징어버거 재출시좀요🙏
1. 온리 한자어 합성어에는 사이시옷이 안 들어가는 것이 원칙입니다. 예) 대가를 치르다 할 때의 대가, 초점
예외 딱 여섯 개) 곳간, 셋방, 숫자, 찻간, 툇간, 횟수
2. 온리 우리말 합성어에서 사잇소리현상이 나타나면 사이시옷이 들어갑니다. 예) 윗니, 아랫니, 나뭇잎, 순댓국
3. 우리말+한자어(한자어+우리말) 합성어일 때 사잇소리현상이 나타나면 사이시옷을 써줍니다. 예) 촛대, 외갓집, 북엇국
4. 된소리와 거센소리 앞에는 사이시옷을 쓰지 않습니다! 예) 갈비찜, 허리띠, 위층, 배탈
1. 온리 한자어 합성어에는 사이시옷이 안 들어가는 것이 원칙입니다. 예) 대가를 치르다 할 때의 대가, 초점
예외 딱 여섯 개) 곳간, 셋방, 숫자, 찻간, 툇간, 횟수
2. 온리 우리말 합성어에서 사잇소리현상이 나타나면 사이시옷이 들어갑니다. 예) 윗니, 아랫니, 나뭇잎, 순댓국
3. 우리말+한자어(한자어+우리말) 합성어일 때 사잇소리현상이 나타나면 사이시옷을 써줍니다. 예) 촛대, 외갓집, 북엇국
4. 된소리와 거센소리 앞에는 사이시옷을 쓰지 않습니다! 예) 갈비찜, 허리띠, 위층, 배탈
https://www.khan.co.kr/local/Gyeongbuk/article/202307110940001/?utm_source=twitter&utm_medium=social&utm_campaign=khan
https://www.khan.co.kr/local/Gyeongbuk/article/202307110940001/?utm_source=twitter&utm_medium=social&utm_campaign=khan
윗 링크 글 중 인용
윗 링크 글 중 인용
그 만두다
그만 두다
그 만두다
그만 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