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msan0.bsky.social
@kimsan0.bsky.social
흠.. 1잔하고 싶은 욕구가 또 스멀스멀 올라오네...
August 26, 2025 at 11:01 AM
Reposted
대전 오시는 분들 이거 꼭 자셔야 됨. 황태어글탕.
August 26, 2025 at 2:53 AM
Reposted
정상체중인데 살 뺀다고 하루에 알약을 17-18개씩 먹는 사람을 보니 위고비가 차라리 부작용은 적겠다 싶고 에휴
August 26, 2025 at 5:45 AM
Reposted
오냐오냐 키우면 팔십 넘어도 철 안듬. 그냥 망나니 아들로 주욱 삼. 나이들면 괜찮긴..옛날에야 나이들어 힘빠지면 좀 온순해진 것처럼 보였겠지. 요샌 노인들 체력 좋아서 그냥 계속 망나니 늙은이가 되는 거고.
August 26, 2025 at 6:38 AM
오 천둥번개 치네. 진짜 비 많이 오려나봐
August 25, 2025 at 7:52 PM
선진국은 환경에 대해 엄격한 규제를 갖고 있으리라 막연히 생각했는데, 또 막상 그렇지도 않나보네.
August 25, 2025 at 7:46 PM
Reposted
일론 머스크의 xAI가 공익법인(PBC)에서 일반 법인으로 전환

머스크는 오픈AI가 회사의 창립 사명과 다르게 수익을 창출한다는 비난을 하며 2023년 공익법인으로 설립했지만, 본인 회사도 이를 어긴 것

또 공익법인 지위를 내려놓은 지 한 달 만에 테네시주 멤피스에 있는 데이터 센터에 수십 대의 천연가스 터빈을 가동하기 시작했으며, 터빈에 오염 방지 장치를 사용하겠다는 약속은 아직 지키지 않고 있음
Docs: xAI terminated its status as a public benefit corporation as of May 9, 2024; XAI Holdings, which houses xAI and X, also doesn't have a PBC designation (Lora Kolodny/CNBC)

Main Link | Techmeme Permalink
August 25, 2025 at 1:48 PM
스마트폰이 지금처럼 활성화(?) 되기 전에는 육아 한다고 카메라 사는 경우도 있었는데, 이젠 그런 말하는 사람 주변에서 안 보이네. 다만 최고급 휴대폰(갤럭시 울트라)으로 바꾸는 사람은 봄ㅋㅋㅋ
August 25, 2025 at 7:45 PM
김치품평회도 있구나! 처음 알았다.
우리술품평회는 매년 챙겨 보긴 했다만
August 25, 2025 at 7:32 PM
Reposted
대한민국 최고 김치, 장성 ‘참매실 새벽 알타리김치’
www.fsnews.co.kr/news/article...
농식품부 주최 '제14회 김치품평회' 대상 수상작.

기사엔 없지만 젓갈과 매일 아침 끓여내는 건어물,채소,과일의 3종 육수를 사용해 단 맛과 감칠 맛을 살림. 전통방식 찹쌀풀과 찹쌀밥 사용.
August 25, 2025 at 6:43 PM
Reposted
파파존스 크로와상 엣지 : 일일 수량 한정인 건 많이 준비해봐야 안 팔려서 손해가 될 거라서인 것 같음. 딱히 뭐가 들어간것도 아닌.... 토핑 공간을 널찍하게 파먹기만 하는... 딱히 그 자체로 덜 텁텁한것도 아닌 무언가였다. 돈아깝......
August 24, 2025 at 12:05 PM
Reposted
여기서 마침 오늘 이야기가 나와서 국토부 이야기를 하자면, 권력은 많으면서 돈에 미쳐있으면서 실제 전문성은 조-_-또 없는 조직의 대표가 바로 국토부임. 1차관 예하가 건설을, 2차관 예하가 교통을 담당하는데 사실 저거 자체로 엄청난 파워를 자랑함. 문제는 마땅한 견제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거 자체가 가장 큰 문제고, 전반적으로 정경유착도 심하면서 부처의 전문성은 찾아보기 존나 힘들다는 점임.
개인적으로 조져야 하는 정부부처라면 국방부(군과 병무청), 국토부, 여가부, 법무부(검찰청), 기재부 + 방송통신위원회를 항상 고르는데, 여가부를 이야기하면 꼭 안티페미라고 색안경을 끼고 봄.

아니 저 이희호 여사 매우 존경합니다... 단지 여가부의 지금 행태는 정부부처의 기능에 매우 어울리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중일 뿐이지요. 사실 이건 정부의 기능유지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문제이기도 하구요.
August 21, 2025 at 12:42 AM
Reposted
August 20, 2025 at 3:53 PM
여가부 일 못한다고 많이 욕하긴 하더라.
August 20, 2025 at 5:54 AM
Reposted
개인적으로 조져야 하는 정부부처라면 국방부(군과 병무청), 국토부, 여가부, 법무부(검찰청), 기재부 + 방송통신위원회를 항상 고르는데, 여가부를 이야기하면 꼭 안티페미라고 색안경을 끼고 봄.

아니 저 이희호 여사 매우 존경합니다... 단지 여가부의 지금 행태는 정부부처의 기능에 매우 어울리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중일 뿐이지요. 사실 이건 정부의 기능유지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문제이기도 하구요.
August 20, 2025 at 12:18 AM
Reposted
루위의 농어. 한번 구운 생선을 찜처럼 탕을 부어 내준다. 고수 시켰더니 가득 내어주네
#칭다오 #루위
August 20, 2025 at 12:30 AM
Reposted
사실 중요한건 대중교통입니다.

똑같은 직선상, 혹은 도로상 거리여도 수도권에선 대중교통으로 다 커버되는데(아무리 귀찮아도 많아야 환승 2번이면 어지간한데 다 감) 지방은 차원이 달라집니다.

그나마 광역시권 내지 도청소재지급 도시(청주, 전주)면 사정이 나은데 그 아래단위인 일반 기초자치단체로 가면요...

10km를 가기 위한 버스조차 노선이 없어서 뺑뺑 돌아야하고, 설령 버스가 있어도 하루에 운행대수가 몇 대 되지 않아 배차가 2-3시간인 경우도 있습니다. 도시철도같은 건 없고요.

이러니 지방에 살거면 자차가 필수라는 거죠.
August 20, 2025 at 1:04 AM
최소 KTX 정차역이 있는 도시엔 살아야 한다 생각.
August 20, 2025 at 5:03 AM
Reposted
지방에 사시려면 최소 인구 10만은 되는 도시를 가시는걸 추천드립니다.
August 20, 2025 at 1:49 AM
흠... 매일 두유 99.9 사볼까🤔
August 20, 2025 at 4:56 AM
Reposted
꽤 전부터 우유 보다 두유를 더 많이 먹는 쪽으로 바꿨는데, 그래도 대체 못하는 것들이 몇 있다. 카페 라떼 만들 때 라든가, 시리얼 발사대라든가....
August 20, 2025 at 2:49 AM
어제 저녁에 산책 다녀온 이후로 아들 모기 엄청 물렸던데...ㅜ
August 19, 2025 at 1:23 PM
Reposted
얼룩날개모기(학질/말라리아모기) : 날개의 갈색 비늘무늬 등은 잡아서 가까이 관찰하지 않는 이상 확인하기 힘들지만, 흡혈 시 '앉아서' 물기보다는 몸을 마치 피부에 내리꽂은 것 마냥 꽁무니를 치켜 세우고 무는 점이나(배가 차면 도로 처지기는 합니다...), 날아다닐 때의 소리가 귀에 거의 들리지 않는 점이 집모기Culex나 숲모기Aedes 와 확연히 구분되는 점입니다. 간헐적인 비도 많이 왔고 모기가 창궐하기 좋은 환경이 되었으니 방제 및 대비에 신경을 쓰시고, 건강 지키시길 바랍니다.
August 19, 2025 at 7:09 AM
공무원 모바일 메신저도 있긴 했는데, 아무도 안 써서 사라짐...ㅋㅋㅋ
근데 왜 다들 텔레그램 쓰는지는 잘 모르겠네? 문정부 시절부터였나... 석열이 때부터였나.. 가물가물하네.
August 19, 2025 at 1:20 PM
Reposted
김영훈 장관 “이제는 산재 예방 5개년 계획 필요하다” [인터뷰]
www.sisain.co.kr/news/article...

"위험 요소는 현장이 가장 잘 안다. 현장에서부터 노동자를 보호의 객체가 아니라 예방의 주체로 대우해야 한다. 특히 위험의 제일 끝단에 있는 하청 노동자들에게 권한을 줘야 한다. 무엇이 위험한지 제대로 알 권리, 사측과 대화해 안전보건 체계를 만드는 데 참여할 권리,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고 가능성에 맞닥뜨렸을 때 작업중지권 등으로 위험을 ‘피할 권리’를 보장해야 한다."
김영훈 장관 “이제는 산재 예방 5개년 계획 필요하다”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57)은 이재명 정부 내각 중 가장 주목받는 인사다. 현직 철도 기관사로 ITX 새마을호 열차를 운전하다가 장관 지명 소식을 듣는 장면이 화제가 됐다. 그는 민주노총 위원장 출신 첫 노동부 장관이다. 2004년 철도노조 위원장을 거쳐 2010~2012년에 민주노
www.sisain.co.kr
August 19, 2025 at 5:24 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