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 DiGITAL
notdigital.bsky.social
NOT DiGITAL
@notdigital.bsky.social
평범한 직장인
역시 게임을 통해 뇌리에 박힌 음성은 (삑삑!) "Pull up! Pull up!" 이 있겠죠.
게임 보이스는 짧고 강렬한 문구를 반복적으로 듣다보니까 영혼에 새겨지는 것 같은 기분일 때가 있다
November 26, 2025 at 7:51 AM
Reposted by NOT DiGITAL
무슨 소송 관련해서 켐벨수프 아이티보안부서 부사장이 ’캠벨수프는 가난한 사람들이나 먹는 쓰레기 음식이나. 나도 거의 안사먹는다, 3d프린트 닭고기 같은거 먹고싶싶지 않다‘ 같은 소리 한게 녹음되어서 공개됨. 다른 인종차별적인 말도 했는데 지금 빈부격차때문에 저 내용이 더 화제가 된 듯. 물론 회사는 우리는 건강한 식재료만 사용하고 인공고기 안쓴다고 발표했는데 멍청한 막말 아저씨때문에 훼손된 이미지 어쩔.
November 26, 2025 at 2:15 AM
Reposted by NOT DiGITAL
자세한 기사. 이 발언을 해당 임원의 상사한테 신고한 직원이 해고되었고. 그 과정에서 노출됨.

www.newsweek.com/campbells-so...
November 26, 2025 at 3:36 AM
Reposted by NOT DiGITAL
어플의 탈을 쓴 사기가 터졌네; 공부 시간관리 돕는 어플인데 보증금 내고 목표를 달성하면 추가상금을 주고 멋하먄 벌금 차감하는 구조인데 갑자기 출금 안되면서 파산신청했다고. 사람들이 그냥 일종의 폰지사기 아니냐 보기도 하는 거 같음. 근데 유명인들 통해서 광고 했었나벼

v.daum.net/v/2025112518...
'파트타임스터디' 파산에 유명인들도 '발칵'…미미미누 이어 딘딘도 사과
[아이뉴스24 김다운 기자] 스터디 어플리케이션(앱) '파트타임스터디'가 파산하고 사용자들의 적립금이 동결된 가운데, 이 앱을 광고했던 유튜버 미미미누와 방송인 딘딘이 사과했다. 25일 딘딘은 "지난 24일 오후 7시 진행한 유튜브 라이브에서 처음 이 사건을 접했다"며 "현재 '파트타임스터디' 측과는 연락이 완전히 끊긴 상태"라고 밝혔다. 이어 "피해자분들
v.daum.net
November 26, 2025 at 7:28 AM
전통적으로 한국은 두꺼비를 길하게 여겼다는 점이 클 것 같죠. 설화나 민담도 있고... 반대로 서양쪽은 그런 경향을 본 적이 없는 것 같고.
53. 글고 나는 두꺼비를 좋아해. 근데 내 생각에 한국인들은 사실 인류 평균보다 두꺼비에게 호의적이라고 생각한다... 한국에서 댐젤 인 디스트레스는... 두꺼비에게 구원 받잖아. 한국 설화에서 여자가 위기에 빠지면 두꺼비가 구해줌...

왠지 아들을 낳아도 두꺼비 같다고 하고, 애들도 두꺼비 집을 지어주면서 놀고... 어째서인지 수상할 정도로 두꺼비에게 호의적인 세계관이라 어릴 때 양인들 동화 보면서 두꺼비가 끔찍하고 못생기고 사악한 걸로 나올 때 마다 당황함

두꺼비 진짜 좋아해서 역삼-선릉 사이 진로 건물의 두꺼비도 좋아했는데
November 26, 2025 at 7:27 AM
하지만 쯔양 한 달 식비가 천만원대라던데, 그걸 아무나 감당할 수 있는 건 아니라는 문제가 있죠.(...)
November 26, 2025 at 7:24 AM
Reposted by NOT DiGITAL
이래서 기재충 새끼들은 반갈죽을 두번은 더 해줘야. 어디서 사회적 합의 사항에 아가리를 털어?
November 26, 2025 at 4:43 AM
Reposted by NOT DiGITAL
이거 기재부 새끼들이 IMF 스피커 통해서 떠드는 거라 보면 될겁니다. OECD같은 굳제기구 파견나간 고시재정충 새끼들이 이런 레포트를 내서 공식의견 비슷하게 피드백을 하는 경우가 많죠...

이거 쓴놈 명부 털어보면 양코쟁이들 사이에 한두놈 기재충 출신 교수나 연구원, 아니면 파견나가 해외연수랍시고 있는 놈팽이 끼어있을겁니다.

재정건전성이 그렇게 중요하면 유교적 전통에 따라 지들 급여 반토막 치고, 연금 전부 반납하고서 재정충질 하라 그래야.
November 26, 2025 at 4:40 AM
Reposted by NOT DiGITAL
근데 한덕수 저거 ‘내란우두머리 방조’인데?

공소장 내란 중요 임무로 변경했지 않았나?
November 26, 2025 at 5:46 AM
Reposted by NOT DiGITAL
관례에 따라, 1심 8년 → 2심 3년 집행유예 나오겠네.
November 26, 2025 at 5:44 AM
하지만 이렇게 된 이유가 너희 아동반환 집행률도 형편없고 개판이야, 라고 국제사회와 미국에게 쫑크를 먹어서... 실제로 개판인 사례들이 발생해서 문제가 됐었고. -_-
‘국제 아동반환 강제 집행’이 아동의 기본권을 심각하게 침해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울부짖는 아이를 들어 업는 등 ‘물건 가져가듯’ 아동을 공항으로 옮겨 출국시킨다는 게 강제집행을 접한 부모와 전문가들 설명입니다.
용역 들이닥치고 학교 찾아오고…‘아동 인권’ 없는 아동반환 집행
9살 자녀를 둔 조아무개(44)씨는 지난해 11월7일 대구의 한 초등학교 빈 교실에서 자녀의 손을 붙잡고 두려움에 떨었던 기억을 25일 한겨레에 전했다. 아이를 데리고 학교 밖으로 나가려 했지만 이미 경찰이 교문까지 봉쇄한 상황이었다. 집행관들은 폐회로텔레비전(CCTV
www.hani.co.kr
November 26, 2025 at 5:16 AM
Reposted by NOT DiGITAL
지엽적 이슈로 들어가면, "로펌"을 이용한 지재권 분쟁은 딱히 자본의 전유물도 아닙니다. 생계가 곤란함에도 본인의 저작물에 의해 상응하는 보상을 보장받지 못한 창작자 당사자 또한 법적 수단을 통해 자구책을 강구할 수 있습니다. 그 대상은 불법 복제의 관계자일 수도 있으나, 착취적인 자본일 수도 있을 것입니다. 만약 지적재산권 시장에서 법조인이 가져가는 분쟁의 몫을 줄이고자 한다면, 그것은 유통구조의 정상화 및 창작자 권익 구제 제도의 공공화를 통해 이루어질 일이지, 개인이 지적재산권의 행사를 포기하는 것이 답은 아닐 것입니다.
November 26, 2025 at 5:03 AM
Reposted by NOT DiGITAL
과연 문화가 지재권 유통 자본에 의해 과점되도록 방치해도 되는가? 경제적 여건과 문화적 여견이 소비 비용으로 연결되어야만 하는가? 이런 자본주의적인 해악에 대해 분명 많은 문제를 제기할 수 있을 것입니다. 창작자의 권익 보호, 공적 문화 보급의 장려, 예술인 복지나 기본소득 제공 등의 다양한 대안들이 논해질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그 논의 위의 어디에서라도, 현재 형태의 저작물 불법 복제 및 그 유통/소비 양상은 정당화되기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자본주의에 맞서려는 대의가 창작자 권리의 착취를 정당화할 수 없습니다.
November 26, 2025 at 4:56 AM
Reposted by NOT DiGITAL
논란적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지적재산권이란 분명 기업이 구독자 상대로 컨텐츠를 과점하는 용도로도 쓰이지만, 본래는 창작자의 손에서 발생하여 창작자의 이익("생계"라 해도 되겠습니다)을 보장하기 위한 재산권입니다.
지적재산권으로 인한 이익을 자본만이 누리고 있지 않느냐고 묻는다면, 과연 자본을 무시하고 생산된 복제물은 자본과 달리 저작재산권을 어떻게 존중하여 대우하는지, 나아가 개별 창작자에게 어떤 이익을 주는지 반문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요컨대 자본주의적 착취구조에 대한 비판이 도덕적 방패로 오용되는 것을 경계하고 싶습니다.
독과점의 심화와 모든게 플랫폼화 되면서 우리가 즐길 창작물의 형태도 플랫폼/유통 기업들이 배포하는 방식으로만 (예: 구독 서비스로만 쓸수 있는 포토샵, 갈수록 찾기 힘든 CD와 LP판, 갈수록 찾기 힘든 블루레이와 DVD) 즐길수 있게 될텐데, 그러면 결국 지금 멀티플렉스 영화관들 상황보면 영화관도 사라져 진짜 구독플랫폼 완전 독점 시대가 올텐데, 과연 우리가 작품들을 즐기는데에 우리 소비자로서의 선택권을 없애는 데에 힘을 보탤수 있는 로펌짓에 힘이 되는 지적재산권이란걸 마냥 좋게만 봐도 되는 건가?
November 26, 2025 at 4:50 AM
Reposted by NOT DiGITAL
고 이재석 경사 순직 사고와 관련해 이광진 전 인천해경서장이 “2인 1조 순찰 원칙을 따르지 않은 부분은 철저 조사해야 한다”는 내부 의견을 묵살하고 관련 보도자료 배포도 막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2인1조 원칙 미준수 인정’ 취지 보도자료 초안, 해경서장이 배포 막아
고 이재석 경사 순직 사고와 관련해 이광진 전 인천해경서장이 “2인 1조 순찰 원칙을 따르지 않은 부분은 철저 조사해야 한다”는 내부 의견을 묵살하고 관련 보도자료 배포도 막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 전 해경서장은 해당 원칙이 지켜지지 않았음에도 ‘신고’가 아닌 ‘확인’
www.hani.co.kr
November 26, 2025 at 2:30 AM
Reposted by NOT DiGITAL
‘수출로 벌어들인 달러가 다시 해외투자로 빠져나가는 구조가 고착되며 환율의 결정 요인이 ‘자본 이동’으로 옮겨갔다는 진단이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최근 환율 움직임은 대부분 국내 거주자의 해외 투자에 좌우되고 있다”고 말했다.’
November 26, 2025 at 3:03 AM
Reposted by NOT DiGITAL
‘전문가는 공통으로 “원화 약세는 달러 강세 요인도 있지만, 국내적 요인이 더 크기 때문에 한국 고유의 위험 프리미엄이 붙고 있다”는 점을 주목한다. 요즘 시장에서 가장 많이 거론되는 원인 중 하나는 개인·기업·연기금으로 이어지는 ‘달러 사냥’이다. 한국 경제에서 빠져나가는 달러 유출 규모와 속도가 주요 국가 대비 압도적으로 빠르고 심각하다고 분석한다. 실제로 올해 해외 투자 등 금융계정을 통한 달러 유출은 9월까지 809억9000만 달러에 달해 같은 기간 경상수지 누적 흑자 규모와 맞먹는다.’
November 26, 2025 at 3:02 AM
Reposted by NOT DiGITAL
‘수출이 호조를 이어가고 올해 경상수지는 사상 두 번째로 큰 흑자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3분기까지 경상수지 누적 흑자는 827억70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3% 늘었다. 국가 신용 위험도 안정적이다. 주식 시장은 새 정부 출범 후 불과 보름 만에 3000선을 회복했고, 10월 이후로는 4000선 안팎에서 등락을 이어가고 있다. 그럼에도 원화 가치는 오르지 않고 있다.’

이거 진짜 궁금했는데, 이유가 달러사냥, 즉 내국인들의 해외투자 때문이라네요… (타래에)
November 26, 2025 at 3:01 AM
Reposted by NOT DiGITAL
검찰의 온정이 어찌나 따뜻한지 내복이 필요가 없네.
November 26, 2025 at 4:07 AM
Reposted by NOT DiGITAL
기사 자체가 그냥 AI에 물어봐서 나온 내용 같은데(...) 일단 기자부터 제일 먼저 대체할 수 있다는 건 알 수 있을 듯.
게임 산업, 어느 직군부터 “AI로 대체될까?”
www.donga.com/news/It/arti...

"전문가들이 가장 유력하게 생각하고 있는 직군은 바로 QA(품질 관리) 입니다. 이 QA 과정은 반복성과 규칙성이 뚜렷한 구조이기 때문에 자동화 효율이 매우 높은 분야 "가장 대표적인 것이 ‘컨셉 아트’ 작업입니다. "

앞서 소개한 직군은 “정답이 존재하고, 구조가 패턴화되어 있으며.." 컨셉아트에 정답이 존재......
게임 산업, 어느 직군부터 “AI로 대체될까?”[게임 인더스트리]
산업 전반에 인공지능(AI) 도입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불과 2년~3년 전만 해도 AI가 사람의 일을 대체할 것으로 전망하는 이들은 그리 많지 않았지만, AI 기술에 조 단위가 오가는 천문학적인 금액이 투자되면서 엄청난 발전 속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문제는 이…
www.donga.com
November 26, 2025 at 1:38 AM
Reposted by NOT DiGITAL
글구 컨셉아트랑 아트디렉션은 거의 같은 일이란다..
November 26, 2025 at 1:49 AM
Reposted by NOT DiGITAL
경영이 보는거랑 현장이 보는거랑 고객이 보는게 열라 다른데 일단 이 글은 경영이 보는 눈으로 쓰여진거같음.

컨셉아트 AI로하면 경영은 기뻐하고 고객은 외면하지 ㅋㅋ
게임 산업, 어느 직군부터 “AI로 대체될까?”
www.donga.com/news/It/arti...

"전문가들이 가장 유력하게 생각하고 있는 직군은 바로 QA(품질 관리) 입니다. 이 QA 과정은 반복성과 규칙성이 뚜렷한 구조이기 때문에 자동화 효율이 매우 높은 분야 "가장 대표적인 것이 ‘컨셉 아트’ 작업입니다. "

앞서 소개한 직군은 “정답이 존재하고, 구조가 패턴화되어 있으며.." 컨셉아트에 정답이 존재......
게임 산업, 어느 직군부터 “AI로 대체될까?”[게임 인더스트리]
산업 전반에 인공지능(AI) 도입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불과 2년~3년 전만 해도 AI가 사람의 일을 대체할 것으로 전망하는 이들은 그리 많지 않았지만, AI 기술에 조 단위가 오가는 천문학적인 금액이 투자되면서 엄청난 발전 속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문제는 이…
www.donga.com
November 26, 2025 at 1:49 AM
Reposted by NOT DiGITAL
어떤 미친 인간들이 이딴걸 만든단 말인가.. 운전자 맘에 안들면 다 밟아 버리겠다는 거? 댓글들 꼬라지💢💢🤬
강자가 맘에 안드는 약자들 다 밟아버리는게 개그냐 이 XXX들아??
youtube.com/shorts/DESoE...
이 시대 진정한 운전교육 영상.
YouTube video by 쇼츠닷
youtube.com
November 26, 2025 at 1:43 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