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썰렁
shinmark0.bsky.social
안썰렁
@shinmark0.bsky.social
흠냐리.
덕질은 https://bsky.app/profile/iceemperor.bsky.social 여기서 합니다.
타임라인에 옛 이야기가 잠시 지나가는군요.

저도 하나 보태자면

youtu.be/CbRJZD7hD-E?...

이런 거 만들었었습니다.
320x200 4 color cga 모드.

재미있던 시절이네요.
[창작-게임] 1992년도 쯤XT 로 만들던 게임 - Legend
YouTube video by 썰렁황제
youtu.be
November 11, 2025 at 3:35 PM
Reposted by 안썰렁
어떤 댓글
韓国は熊いないから良いよなぁ
한국은 곰이 없어서 좋구나

...그게 말이죠... ;;;
November 11, 2025 at 12:03 PM
Reposted by 안썰렁
판독기 떴습니다

종묘앞 빌딩 찬성 하는 사람 이시간부로 윤서인
November 11, 2025 at 8:48 AM
Reposted by 안썰렁
이거 재밌는 주제죠
일단 ATP에선 데이터를 관리하는 주체와 배포하는 주체가 분리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repository sync를 수행하는 복수의 relay들이 PDS의 사본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PDS가 망하더라도 최소한 sync된 만큼의 데이터는 복구할 수 있어요.
이걸 달리 말하면 공개된 모든 데이터는 이미 재배포되고 있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블스에서는 서드파티 서비스가 무려 블락 알림 같은 것도 제공할 수 있는 거고요(...)
플랫폼이 망하는 문제.

이를 atproto의 pds 가 해결 할 수 있을까?

atproto 는 self hosting pds 를 쓰고 있다면, 그 sns 가 망해도 내 디지털 아이덴티티를 이어갈 수 있다 주장한다. (실증하려면 본인들이 망해야하는 아이러니)

저작권자의 pds에 e북이 있다면, 플랫폼은 망해도 그 pds를 찾을 수만 있으면 계속 접근할 수 있다.

하지만 그 pds가 사라지면, 나는 구매했는데 더이상 접근 할 수 없다.

그럼 구매때 마다 내 pds에 사본을 둔다? 이건 재배포를 막을 수 있나?
플랫폼이 안 망해도 판매중단되면 ‘무료제공되는 회차‘는 볼 수 없게 됩니다.

꼭 다시 보고 싶은 책이라면 무료회차도 구매해둬야 하죠.

그래봤자 플랫폼 망하면 다 날라갑니다……
November 11, 2025 at 12:52 PM
Reposted by 안썰렁
November 11, 2025 at 10:00 AM
Reposted by 안썰렁
위메프 결국 파산…"10만 피해자에 '구제율 O%' 사망선고"(종합) | 연합뉴스

www.yna.co.kr/view/AKR2025...

피해자는 대략 10만8천명이며, 피해 규모는 5천800억원
위메프 결국 파산…"10만 피해자에 '구제율 O%' 사망선고"(종합)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성혜미 한주홍 기자 = 대규모 미정산·미환불 사태로 기업회생 절차를 밟던 위메프에 결국 파산이 선고됐다.
www.yna.co.kr
November 11, 2025 at 9:39 AM
Reposted by 안썰렁
역시 독재자를 꿈꾸고 사랑하는 트틀러.

그건 그렇고 대만의 남은 운명은 대략 2년?

www.yna.co.kr/view/AKR2025...
트럼프, 日총리 겨냥 中관료 극언에 "中보다 동맹이 우릴 더 이용" | 연합뉴스
(워싱턴=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0일(현지시간)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를 겨냥한 중국 외교관의 '극언'에...
www.yna.co.kr
November 11, 2025 at 4:35 AM
Reposted by 안썰렁
11월 11일은 빼빼로데이, 농업인의 날 등으로 많이 알고 있습니다
하나만 더 기억해주세요
1995년 11월 11일, 민주노총이 세워졌습니다
2025년 올해는 민주노총 창립 30주년
November 10, 2025 at 11:17 PM
Reposted by 안썰렁
사고방식이 일반인과는 다르구만. 엄연히 김영란법이 있는데 법대로 한다는 생각 자체가 없는 거 보니 세상 참 쉽게 살아오신 듯 한데 이제 세상의 쓴맛이라는 걸 좀 보셔야겠습니다.
국힘 중진, '김기현 부인→김건희' 명품백에 "100만원 백이 무슨 뇌물"
성일종, 당내 비판에도 김기현 감싸며 "前야당 대표 망신주기" 지난 2023년 국민의힘 대표를 지낸 김기현 의원의 부인이 김 의원의 대표 당선 직후 당시 대통령 영부인이었던 김건희 전 코바나컨텐츠 대표에게 명품 가방
n.news.naver.com
November 11, 2025 at 5:34 AM
Reposted by 안썰렁
정의당, ‘대장동 항소 포기’ 비판…“검찰개혁을 내로남불로 만드는 꼴” share.google/5szRjDyEhaOm...

정의당이 안되는 수십가지 이유 중 하나
정의당, ‘대장동 항소 포기’ 비판…“검찰개혁을 내로남불로 만드는 꼴”
정의당이 10일 검찰의 대장동 개발 비리 사건 항소 포기에 대해 “정부는 항소 포기에 관여해 검찰의 정치권력을 용인했고 검찰은 항소 포기로 시민들의 혈세를 이용해 막대한 사적 이익을 챙긴 대장동 일당에 면죄부를 부여
share.google
November 10, 2025 at 12:05 PM
Reposted by 안썰렁
단어 4개로 쓰레기를 표현하시오

"디씨인사이드 국민의힘 갤러리 이용자"
November 11, 2025 at 3:35 AM
Reposted by 안썰렁
…??
November 11, 2025 at 2:41 AM
생각해보면 지금 들고다니는 붕3 백랙보다는 그 전 가방 한복판에 소전 spas-12패치 붙이고 다녔던 게 더 화끈하지 않았나 싶은.. 붕3 가방은 생각보다 티가 덜 나서..
November 11, 2025 at 3:16 AM
Reposted by 안썰렁
지금 조선이 뭐 중요하냐 유적이 뭐 중요하냐 다 밀고 개발하자 하는 놈들, 아마 '맞다 그러니까 과포화에 안보상으로도 좋지 않은 조선시대 수도 같은거 버리고 수도기능 분산시켜서 지방 균형 발전 이루자!' 하면 절대 안 된다며 드러누워서 발광할 거라는데 500엔 건다.
November 11, 2025 at 1:40 AM
Reposted by 안썰렁
종묘를 밀어버리자는 분들이랑 비슷한 사상이 우리가 잘 아는 어느 나라에도 있었죠. 문화대혁명이라고.
November 11, 2025 at 2:13 AM
Reposted by 안썰렁
이걸 보고 뭐 조선이 어쩌고 하는데, 실제 세운상가 논란 문제는 유권해석 문제입니다.

당초 오시장은 종묘 인근 세운상가 고층 개발을 진행했는데, 종묘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다보니 문화유산 인근 지역 개발 시 국가유산청과 협의해야 한다는 조례가 있었어요.

그런데 이걸 국힘이 절대다수인 서울시의회에서 지워버리고 통과시킨 뒤에 사업을 진행한겁니다. 당연히 문체부가 조례 삭제 무효를 주장하며 소송을 걸었는데 대법원은 절차적으로는 정당하다며 삭제 무효 판결을 했거든요.

서울시는 대법판결을 "맘대로 고층개발 해도 됨"이라고 유권해석한거죠.
부동산 개발 같은 탐욕스러운 마음은 너무 노골적이라 생각했는지 되도 않는 고귀하신 탈민족주의 공화주의자 행세들을 하는데, 너무 어울리지 않는다

역사라는 맥락 속에서 과거를 이어 현재와 미래를 살아가려는 공화국 시민들이 절대다수일 텐데 무슨 조선인이니 사대주의니...
너무 얄팍하고 천박한 역사인식이다

살아있는 공화국의 '돈 많은' 국민이 중요한 것이겠지
그런 공화국은 죽이는 것이 훨씬 낫다
November 11, 2025 at 12:41 AM
Reposted by 안썰렁
구형보다 높게 판결했는데 이난리를 피는 이유는 '봐주기 실패' 설이 제일 유력해 보임
November 10, 2025 at 4:06 AM
Reposted by 안썰렁
.....

조선의 잔재는 다 없애야 하지만 나는 귀족이 되고 싶다.
November 10, 2025 at 8:39 AM
게임으로서의 가챠는 파칭코 영향보다는 난 TCG 쪽이 좀 더 가깝다 보는 편. 멀리 갈 거 없이 오랜 기간 가챠 게임들이 카드 형태 띈 것도 이 영향이라 보고. tcg 판 깐 건 매직더개더링이고.. 그전의 트레이딩 카드판부터.. ea 도 머 딴데서 배운 건 아니라고 봄. 그리고 사실 저기서 끝인가? 하면 그것도 아니고.

그래서 가챠를 문제로 보면 너무 따질 게 복잡해진다 봄. 최악의 경우 게임의 불확실성이란 요소 자체가 문제가 되니까.
November 10, 2025 at 9:47 AM
Reposted by 안썰렁
종묘를 헐어서 공화국의 이념을 견지해야 한다는 사람들 특징) 12월 3일날 아무 일 없었던 것처럼 행동하고 말함
November 10, 2025 at 2:31 AM
Reposted by 안썰렁
m.pressian.com/m/pages/arti... 아니 이 기사를 읽고 어떻게하면 한국 게임산업의 문제의 근원이 가챠라는 결론에 도달하는거야...; 이너서클에 갇혀있는 사내의 폐쇄성, 다문화와 인종 성별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사회 분위기가 만들어낸 사내 분위기 같은게 문제라고 인터뷰이가 지적하고 있는데 대뜸 가챠;
한국 게임이 '가챠' 벗어나 해외 나가려면…다문화부터 받아들여야
* International Institue for Asian Studies에 필자가 영어로 기고한 글을 기반으로 한국어로 번역 및 각색하였습니다. 영어 버전은 여기에: https://www.iias.asia/the-newsletter/article/remained-b
m.pressian.com
November 9, 2025 at 1:10 PM
Reposted by 안썰렁
검찰 위에서 뭔 개짓거리를 해도 조용해서 걍 조폭같은 상명하복 조직인 줄 알았는데 빈발도 할 줄 아네? ㅋㅋㅋㅋ어처구니 없음.
November 10, 2025 at 1:32 AM
Reposted by 안썰렁
종자, 보관법, 제조법 총체적 난국...
미국콩은 범용종자 쏘서 저단백 고지방입니다.

두부의 경우 응고에 영향이가고, 결국 결집력이랑 유화치가 올라가서 맛없는 두부가 됩니다.

보관윤용도 장거리윤송 가준인 수분 8푸로에 맞추고, 미제두부는 개네 식품법이 후잡해서(1973후 개선 안됨) 황산칼슘만 응고제로 허가된 상태라 제조공정도 좀 하자 임ㅅ습니다.

1. 종자
2.보관법
3.제조법

총체적 난국...
맛난 두부 된장 두유 간장 보면 원료는 미국콩이던데
November 9, 2025 at 11:20 AM
Reposted by 안썰렁
모처의 단톡방에서 한 이야기지만 미국 두부가 맛대가리 없는 이유는 콩 품종탓보다 제조공정 탓이 큰데, 사실 한중일 모두 수입콩을 되는대로 두부를 만드는데(품종혼입임) 미국의 그 맛없는 두부가 품종때문에 맛이 결정된다는건 약간 설명하기 힘든 부분이 있음.

한중일에서 두부를 만들때 간수의 핵심으로 잡는 물질은 MgCl2임. 하지만 미국에서는 보존성, 단가, 영양때문에 CaSO4를 사용함. 여기에 두유를 만드는 전처리 과정에서도 많은 차이가 남. 양놈들이 콩비린내를 싫어하거든. -_-a
November 9, 2025 at 9:06 AM
Reposted by 안썰렁
문제는
이런 식으로 서남 방언 오염시키는 사람들도 영남 지역 일베충들이었음
동남방언의 오염 이야기를 들으니, 호남권 방언에 대한 오염도 기억이...

지금은 거의 사라졌다시피 하지만, 오오미 라는 말은 없습니다.

이 말은 과거 야구선수였던 이호성 사건과 연결되어서 사용되었는데, 나랑께, 오오미 지리것소. 라는 말들과 밈처럼 사용되었죠. 거기에다가 ~셨제, 라던가 성님, 슨상님 이런 말까지 붙으면...

지금은 거의 쓰는 사람이 없다고는 하지만 이런 것 때문에, 최근에 쓰이는 지린다 라던가 ~했제? 라는 표현을 보면 조금 움찔합니다. 트라우마라고 해야할까요?
November 10, 2025 at 12:34 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