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trolls
@ntrolls.bsky.social
150 followers 70 following 470 posts
Posts Media Videos Starter Packs
ntrolls.bsky.social
네... 그런 의심이 드는데, 이게 뭐라고 막 따져 물을 일도 아니고... 뭐 그렇습니다 -_-;;
ntrolls.bsky.social
중국에서 해외배송하는 것을 그냥 물류창고처럼 이용하는 소규모 온라인 소매상들이 분야를 막론하고 많아지는 것 같은데... 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그렇고 여러가지로 고려해볼 점이 많을 것 같다.
ntrolls.bsky.social
내가 롱테일에 속하는 물건을 주문한 건 맞는데...오프라인도 아니고 온라인 샵이면 롱테일까지 다 커버하거나, 아니면 정보를 정확히 주거나 둘 중에 하나라도 되야지... 온/오프라인을 막론하고 늘 유행하는 거, 남들이 다 사는 국민XX만 쌓여있고 조금만 벗어나면 아무것도 안되는 것 같다. 기술 발전이 이런 롱테일을 잘 처리하게 되리라고 기대하던 때가 있었던 것 같은데, 이제는 그냥 "이것밖에 안되는데/없는데... 하지만 빨랐죠?"가 되어 가는 듯.
ntrolls.bsky.social
이런저런 용도로 자잘한 소모품을 주문하는데 이틀 사이에 세 건이나 취소해야만 했다. 몇 시까지 주문시 당일배송이라고 적어 놓고 막상 주문하고 나면 재고가 없어서 해외배송해야 하니 개인통관부호를 알려달라는 연락을 받았기 때문이다. 딱히 진상이 되려는 건 아니지만, 온라인 상점을 운영하면서 재고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남의 시간만 낭비하게 되니까 잘 운영해줬으면 좋겠다는 바램이 있다. 처음부터 걸리는 시간을 알면 계획이라도 가능하지, 일단 뭐든 팔려라 하는 심정으로 몽땅 올려놓고 막상 주문 들어오면 말이 바뀌는 거 피곤하다...
ntrolls.bsky.social
과학과 공학은 늘 새로운 문제를 풀기 때문에 어딘가로 전진해 나가는 반면에 인문학은 인간이 항상 돌아와 마주하는 같은 문제를 늘 붙잡고 있기 때문에 고리타분하고 아무나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거 아닌가... 이런 의심을 가끔 해본다. 과학 기술 덕분에 물질적인 삶의 조건이 이렇게 많이 바껴도 인간은 결국 같은 실존적 문제에 마주친다는 점은 오히려 경이(?)롭게 생각해야 하는 거 아닐까.
ntrolls.bsky.social
국가와 달리 기업은 모른다고 결정을 미루지 않는다, 라니. 기업과 국가의 역할은 다르다. 적그리스도와 함께 러다이트 운동을 하자는 이야기는 아닌데, 나는 공학하는 사람이지만 기술이 국가 운영의 뼈대가 되어야 한다고 저렇게 절대적으로 선언할 수 있는지 잘 모르겠다. Move fast and break things는 특정한 경제적 조건 하에 가능했던 실험이라고 봐야지, 국가 경영의 신조가 될 수는 없는 일이다.
ntrolls.bsky.social
그냥 넘어갈래다 굳이 여기에 대한 포스팅을 덧붙이는 이유는, 페북에서 팔란티어 CEO의 "기술공화국 선언"이라는 책에 대한 감상문을 지나쳤기 때문이다... 틸의 주장에 따르면 적그리스도는 역설적으로 아마게돈에 대해 계속 이야기함으로써 우리를 한눈팔게 하면서 올 거라는데, 예를 들어 기술은 위험하다, AI는 위험하다, 기후위기는 위험하다, 이런 이야기를 할 거랜다. 이 주장과 기술공화국 선언을 합쳐보면 한숨이 절로 나온다.
ntrolls.bsky.social
금요일 가디언에 재미있는(?) 기사가 둘 떴는데. 피터 틸이 SF 모처에서 비싼 참가비를 받고 비공개로 진행한다는 강연 시리즈에 대한 폭로(??), 그리고 Adrian Daub이 쓴 강연 내용에 대한 비평이었다. 적그리스도는 어떤 모습으로 오는지를 4회에 걸쳐 논하고 있다니 한심하다 싶다가도 이 사람의 영향력을 생각하면 웃어넘기기 어려운 일이다.

www.theguardian.com/technology/n...
Peter Thiel’s off-the-record antichrist lectures reveal more about him than Armageddon
Silicon Valley titan desperately tries to detach self from power in amateurish talks attempting to ape his favorite philosopher
www.theguardian.com
ntrolls.bsky.social
엇 그.. 자석을 이용한 변화구 메카니즘은 80년대 버전에도 있었습니다 :)
ntrolls.bsky.social
이번에 성공회 역사상 최초로 여성 캔터베리 대주교로 임명된 Sarah Mullaly는 원래 간호사였고 1999년부터 2004년까지 잉글랜드의 Chief Nursing Officer을 맡은 공으로 이미 DBE를 수여받은 바 있다. 놀라운 건 98년부터 2001년 사이 신학 공부를 해 2001년 Kent에서 신학석사를 받고 2002년 성직을 수여받은 결과 지금 대주교가 되신 것... 축하합니다.

www.theguardian.com/world/2025/o...
Sarah Mullally is named as first female archbishop of Canterbury
Former chief nursing officer for England will legally assume role at Canterbury Cathedral ceremony in January
www.theguardian.com
ntrolls.bsky.social
설의 태도가 "아무튼 AI는 syntax에서 semantic을 얻어낼 수 없다, 하지만 생물(=사람)은 어떻게든 해낸다" 였다는 것도 알았는데, "그러면 AI에는 없고 biology에는 있는 그게 뭐냐"는 반문을 상대함에 있어 영 막무가내였고 주변에서 곱게 보지 않았나보다. 나름 중요한 이야기를 남겼는데 스스로 마음 편히 명복을 빌 수 없게 하는 흠을 남기고 떠났으니 씁쓸한 일이다.
ntrolls.bsky.social
중국어 방 사고실험으로 유명한 John Searle이 9월 17일 타계했다는 것을, 관련된 FB 포스팅을 보고야 알았다. 그 바람에 말년에 성추행 고발을 당해서 버클리 명예교수직을 박탈당했다는 사실도 뒤늦게 알게 되었다.

www.apaonline.org/news/711069/...
In Memoriam: John Searle - American Philosophical Association
www.apaonline.org
Reposted by ntrolls
philipcball.bsky.social
I'm often surprised at how much researchers are using LLMs for intellectual work. It's not that I disapprove, or at least not on principle. It's more that I'm surprised at the trust being placed in the process. And by that I don't just mean LLMs can give wrong information...
ntrolls.bsky.social
전유성씨, 명복을 빕니다.
ntrolls.bsky.social
그런 것 같습니다;;;
Reposted by ntrolls
inspireeastwind.bsky.social
말년병장때 일이다. 5월 1일 아침 조회시간에 행보관이 오늘 무슨 날이냐 묻길래 별 생각없이 "노동절입니다"라고 대답했다가 그에게 "빨갱이냐?" 소릴 들은 적이 있다.

그게 작은 트라우마가 되어 가능하면 기를 쓰고 '노동절'이란 말을 써왔다. 그러던 차에 국가의 공식명칭이 '노동절'로 바뀐다하니 이래 저래 만감이 교차하네.

멀쩡했던 '노동절'을 '근로자의 날'로 바꾼것은 1963년. 쿠데타로 집권한 박정희가 바꾼 것이다. 그가 만든 악습과 망령이 하나씩 사라져가 다행
ntrolls.bsky.social
하지만 진심으로 화가 난 부분은 로렌 힐의 커리어. 솔로 앨범은 말 할 것도 없고, 여기 피처링도 "I seen her reminisce over Wu-Tang, Could It Be that Simple" 할 때 정말 멋있었단 말이다. 사실 와이클레프도 이후에 Carnival만큼 반짝인 감이 없고, Pras도 Ghetto Superstar 한 곡 남긴 걸 Fugees는 정말 신기하면서 아까운(?) 팀이다.

Year of the Dragon - Wyclef Jean,
www.youtube.com/watch?v=WkEK...
Year of the Dragon
YouTube video by Wyclef Jean - Topic
www.youtube.com
ntrolls.bsky.social
#nowplaying We're trying to stay alive - Wyclef Jean, www.youtube.com/watch?v=KPV1...

오래된 CD들 꺼내서 리핑하다가, 새삼 내가 이 앨범 많이 좋아했구나하고 느꼈다;;; 왜냐면, (비디오는 말 할 것도 없고) 지금 듣기에 상당히 촌스런 90년대 말 비트와 랩인데도 들썩들썩 해서...
Wyclef Jean - We Trying To Stay Alive (Official Video) ft. John Forté, Pras
YouTube video by WyclefVEVO
www.youtube.com
ntrolls.bsky.social
1900년대 이야기 아닌가요…
Reposted by ntrolls
thismanyyearsago.bsky.social
28 years ago, on the 15th of September 1997, the domain google.com was registered. The search engine was the result of a research project by Larry Page and Sergey Brin nicknamed ‘BackRub’. The logo underneath was used from this date until September 1998, when the actual web page launched. #otd 🗃️
Google logo in use from September 1997 to September 1998.
ntrolls.bsky.social
CDP를 장만하고 다시 CD를 틀기 시작하니, 분명 내가 가지고 있던 것으로 기억하는 앨범들인데 컬렉션이 이가 빠진 게 군데군데 보인다. 아니, Blow by Blow 나한테 없다고? 없었다고? 하긴 20년 묵은 기억이니 정확하지 않은 게 당연하고... 그 동안 한 두 장 어디론가 사라졌다고 해도 이상하지도 않다. 없어진 판을 사서 채워 넣기를 한참 해야 할... OTL
Reposted by ntrolls
jejuorange.bsky.social
어느 과학영재고 여학생의 증언
behindsciences.kaist.ac.kr/2022/03/10/%...

남학생들은 페미니즘을 지지하는 것 같은 여자애들이 누구인지 늘 궁금해했다. 끊임없이 수군거렸고 낙인을 찍었다. 나의 경우 1학년 국어 시간에 성차별과 페미니즘을 주제로 글을 썼고 그 사실을 우연히 알아낸 남학생이 ‘걔도 그런 애다’ 식의 소문을 퍼뜨렸던 기억이 난다.
어느 과학영재고 여학생의 증언
이윤지, 카이스트 새내기과정학부
behindsciences.kaist.ac.kr
Reposted by ntrolls
purengom.com
보안 키보드, 보안을 해치고 있습니다

1. 한국 인터넷의 흔한 풍경, 보안 키보드 은행이나 공공기관 사이트에서 로그인하려고 하면 어김없이 등장하는 것이 바로 보안 키보드입니다. 키로깅을 막는다는 명목으로 화면에 뜨는 가상 키패드죠. 사용자는 마우스나 터치로 일일이 클릭해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합니다. 표면적으로는 안전을 위한 장치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시대에 뒤떨어진 낡은 보안 방식에 불과합니다. 2. 불편만 크고 보안 효과는 미미합니다 현대 브라우저와 운영체제는 이미 키로깅 방어 기능을 상당 부분 갖추고 있습니다.
보안 키보드, 보안을 해치고 있습니다
1. 한국 인터넷의 흔한 풍경, 보안 키보드 은행이나 공공기관 사이트에서 로그인하려고 하면 어김없이 등장하는 것이 바로 보안 키보드입니다. 키로깅을 막는다는 명목으로 화면에 뜨는 가상 키패드죠. 사용자는 마우스나 터치로 일일이 클릭해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합니다. 표면적으로는 안전을 위한 장치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시대에 뒤떨어진 낡은 보안 방식에 불과합니다. 2. 불편만 크고 보안 효과는 미미합니다 현대 브라우저와 운영체제는 이미 키로깅 방어 기능을 상당 부분 갖추고 있습니다.
purengo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