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란범들 단죄를 기원하며 이제부터 ... 뭐든 하겠지요 네
덕후가 아니라도 고쿄 인근 사진이 각도 장난인건 아실겁니다.
중세사 덕후이고, 포스타입에서 "그럴듯한 판타지를 위한 레시피" 연재도 하시는 분.
소설, 웹툰, 게임, TRPG 등,
중세 판타지 세계관 창작이 필요한 분들께 추천합니다.
tumblbug.com/plausible_me...
중세사 덕후이고, 포스타입에서 "그럴듯한 판타지를 위한 레시피" 연재도 하시는 분.
소설, 웹툰, 게임, TRPG 등,
중세 판타지 세계관 창작이 필요한 분들께 추천합니다.
tumblbug.com/plausible_me...
이건..찐이다
이건..찐이다
실제로는 윤리따위 신경도 안 쓰는 연구자들이 훨씬 많은 것도 사실이죠.
너희들이 시작한 일들이 문제를 일으키니 너희들이 책임져라!라고 말하는 건 맞는 말이지만 과학기술이란 그 특성 상 그들이 질 수 있는 한계를 뛰어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휘발유에 납을 넣으면 앤진이 잘 돌아간다는 걸 발견한 순간 이미 전지구적 납중독 상태에 들어갔고 우리는 이미 태어나기 전부터 납에 중독된 상태거든요. 그런건 그 과학기술자는 물론 거대기업 듀퐁조차 책임지기 어려운 문제잖아요.
실제로는 윤리따위 신경도 안 쓰는 연구자들이 훨씬 많은 것도 사실이죠.
너희들이 시작한 일들이 문제를 일으키니 너희들이 책임져라!라고 말하는 건 맞는 말이지만 과학기술이란 그 특성 상 그들이 질 수 있는 한계를 뛰어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휘발유에 납을 넣으면 앤진이 잘 돌아간다는 걸 발견한 순간 이미 전지구적 납중독 상태에 들어갔고 우리는 이미 태어나기 전부터 납에 중독된 상태거든요. 그런건 그 과학기술자는 물론 거대기업 듀퐁조차 책임지기 어려운 문제잖아요.
1) 그게 세상에 존재하고 누가 그 짓을 하고있는지 파헤칠 인력/자본력이 없으면 웬만해서 모르고 살수밖에 없고
2) 그 표절 물건의 존재와 그 짓을 하고 있는 사람에게 지적재산권을 집행할 소송 등에 쓸 자본이나 인력이 없으면 손도 못쓸텐데
(오히려 이런 소송 얘기 들리면 십중팔구 닌텐도랑 디즈니)
과연 지적재산권 법들이 진정으로 개발자/창작자들을 위한 것인지, 거대 기업들이 로펌짓으로 파이싸움을 하기 위한것인지 다시 한번 고찰을 해보게 되더군요.
1) 그게 세상에 존재하고 누가 그 짓을 하고있는지 파헤칠 인력/자본력이 없으면 웬만해서 모르고 살수밖에 없고
2) 그 표절 물건의 존재와 그 짓을 하고 있는 사람에게 지적재산권을 집행할 소송 등에 쓸 자본이나 인력이 없으면 손도 못쓸텐데
(오히려 이런 소송 얘기 들리면 십중팔구 닌텐도랑 디즈니)
과연 지적재산권 법들이 진정으로 개발자/창작자들을 위한 것인지, 거대 기업들이 로펌짓으로 파이싸움을 하기 위한것인지 다시 한번 고찰을 해보게 되더군요.
저는 개인적으로 일단 산업 구조를 먼저 마주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산업 구조에서 실제로 개발과 창작에 힘쓰는 분들에게 돌아가는 돈은 과연 얼마고, 유통사/플랫폼에 가는 돈은 얼마일까요? 그 창작자/개발자들의 생활은 작품의 성공에 비해 어떨까요? 인디 개발자, 인디 창작자가 순전히 자가 유통까지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우리는 과연 “불법복제”를 막음으로서 누구의 배를 불려주는 걸까요?
저는 개인적으로 일단 산업 구조를 먼저 마주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산업 구조에서 실제로 개발과 창작에 힘쓰는 분들에게 돌아가는 돈은 과연 얼마고, 유통사/플랫폼에 가는 돈은 얼마일까요? 그 창작자/개발자들의 생활은 작품의 성공에 비해 어떨까요? 인디 개발자, 인디 창작자가 순전히 자가 유통까지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우리는 과연 “불법복제”를 막음으로서 누구의 배를 불려주는 걸까요?
Ultrakill이라는 인디 게임의 개발자 분이 본인 게임 ”불법복제“판을 직접 공유하면서 했던말이 상당히 큰 인상을 남긴게 요인 중 하나입니다: ”Culture shouldn’t exist only for those who can afford it (문화는 돈이 있는 사람들에게만 존재해선 안된다)“
Ultrakill이라는 인디 게임의 개발자 분이 본인 게임 ”불법복제“판을 직접 공유하면서 했던말이 상당히 큰 인상을 남긴게 요인 중 하나입니다: ”Culture shouldn’t exist only for those who can afford it (문화는 돈이 있는 사람들에게만 존재해선 안된다)“
인용으로 난리가 났는데 죽은 다음 욕먹기 싫으면 사실적시가 명예훼손이 되는 삶을 살지 않도록 노력합시다
인용으로 난리가 났는데 죽은 다음 욕먹기 싫으면 사실적시가 명예훼손이 되는 삶을 살지 않도록 노력합시다
인용으로 난리가 났는데 죽은 다음 욕먹기 싫으면 사실적시가 명예훼손이 되는 삶을 살지 않도록 노력합시다
'번역' 그 자체만으로도 접근성 허들이 매우 낮아지기 때문에 지금 하는 행동은 전혀 무의미하지 않습니다. 충분히 도움되고 있어요! 번역기라면 저희도 감상할 때 어느 정도 감안하기 때문에, 의미전달만 된다면 오히려 감사하고 있습니다 U///U
'번역' 그 자체만으로도 접근성 허들이 매우 낮아지기 때문에 지금 하는 행동은 전혀 무의미하지 않습니다. 충분히 도움되고 있어요! 번역기라면 저희도 감상할 때 어느 정도 감안하기 때문에, 의미전달만 된다면 오히려 감사하고 있습니다 U///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