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극단적으로 대기업에 편중되어있고 중소기업 취직시 저축은 커녕 먹고살기도 빠듯하다. 그리고 더 큰 문제는 전 근대적 기업문화 때문에 회사 친인척이 경영에 관여하거나 직원을 때리거나 불법으로 야근시키거나 각종 범법행위를 저질러도 처벌하기 너무 어렵다는데 있어. 사람들이 바보라서 신고를 안하는게 아니라 신고하는 순간 업계에 소문나서 취직이 아예 막히는걸 걱정하고, 구인배수가 너무 낮아서 ‘너 말고도 일할 사람 많‘다고 생각하는 분위기가 팽배하기 때문이지. 이걸 바로잡으려면 노동자 힘을 키우고 악덕기업 단속하는거 말곤 방법이 없다.
September 29, 2025 at 10:20 AM
한국은 극단적으로 대기업에 편중되어있고 중소기업 취직시 저축은 커녕 먹고살기도 빠듯하다. 그리고 더 큰 문제는 전 근대적 기업문화 때문에 회사 친인척이 경영에 관여하거나 직원을 때리거나 불법으로 야근시키거나 각종 범법행위를 저질러도 처벌하기 너무 어렵다는데 있어. 사람들이 바보라서 신고를 안하는게 아니라 신고하는 순간 업계에 소문나서 취직이 아예 막히는걸 걱정하고, 구인배수가 너무 낮아서 ‘너 말고도 일할 사람 많‘다고 생각하는 분위기가 팽배하기 때문이지. 이걸 바로잡으려면 노동자 힘을 키우고 악덕기업 단속하는거 말곤 방법이 없다.
“아이 키우기 좋은 기업, 근로자 1인 매출 2.7배 늘었다”
www.womennews.co.kr/news/article...
"출산을 직접 지원하는 ‘출산양육지원’과 ‘출산친화 기업문화’ 영역은 각각 52.0점과 53.4점에 그쳤다. 심화평가 평균 점수는 48.1점으로 기초평가 55.6점보다도 10점 이상 더 낮다. 이는 시행 중인 제도도 제대로 이용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www.womennews.co.kr/news/article...
"출산을 직접 지원하는 ‘출산양육지원’과 ‘출산친화 기업문화’ 영역은 각각 52.0점과 53.4점에 그쳤다. 심화평가 평균 점수는 48.1점으로 기초평가 55.6점보다도 10점 이상 더 낮다. 이는 시행 중인 제도도 제대로 이용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아이 키우기 좋은 기업, 근로자 1인 매출 2.7배 늘었다”
가족 친화적인 인구경영을 할 경우 근로자 1인당 평균 매출액이 2.7배 증가한다는 300개 기업 분석 결과가 나왔다.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이하 한미연)과 서울시는 29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18층 서울클럽에서 ‘아이와 함께 성장하라: 인구위기 해법의 새로운 패러다임, 인구경영’이라
www.womennews.co.kr
October 30, 2024 at 6:33 AM
“아이 키우기 좋은 기업, 근로자 1인 매출 2.7배 늘었다”
www.womennews.co.kr/news/article...
"출산을 직접 지원하는 ‘출산양육지원’과 ‘출산친화 기업문화’ 영역은 각각 52.0점과 53.4점에 그쳤다. 심화평가 평균 점수는 48.1점으로 기초평가 55.6점보다도 10점 이상 더 낮다. 이는 시행 중인 제도도 제대로 이용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www.womennews.co.kr/news/article...
"출산을 직접 지원하는 ‘출산양육지원’과 ‘출산친화 기업문화’ 영역은 각각 52.0점과 53.4점에 그쳤다. 심화평가 평균 점수는 48.1점으로 기초평가 55.6점보다도 10점 이상 더 낮다. 이는 시행 중인 제도도 제대로 이용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근데 기업문화 회식문화 많이 바뀌었다고 들었는데... 대가리 새끼들이 안바뀌어서 그런가... 아직도 업체 미팅하고 룸싸롱쳐가고 도우미 부르고 씨팔 그러고 있나...????
youtu.be/DKfV2DQWFXc?...
youtu.be/DKfV2DQWFXc?...
[수다녀] 유흥업소 어디까지~ & 극한상황
YouTube video by 이동형TV
youtu.be
December 21, 2024 at 5:58 PM
근데 기업문화 회식문화 많이 바뀌었다고 들었는데... 대가리 새끼들이 안바뀌어서 그런가... 아직도 업체 미팅하고 룸싸롱쳐가고 도우미 부르고 씨팔 그러고 있나...????
youtu.be/DKfV2DQWFXc?...
youtu.be/DKfV2DQWFXc?...
그렇게 규제 풀어줘버릇 하니 몹쓸 근자감만 생겨서 해외에서도 그렇게 막 해도 되는줄 알고 마구잡이로 사업 확장, 규제위반, 반칙했다 철퇴맞고 참패하지요. 일본시장에서 라인에게 쳐발린 것, 쿠팡의 패퇴, 배민의 철수 모두 같은 맥락입니다
일본도 블랙기업 소리 들을만큼 기업문화 막장이고 문제가 많은데 그런 시장에서도 처발리는 놈들이 뭔ㅋㅋ 규제 때문이 아니라 정권에 빌붙어서 별 노력도 없이 독과점으로 1위 먹고 그 이후 방만경영 하면서 혁신이나 제품개발할 생각은 안하고 자사 서비스 쓸 수밖에 없는 유저들 고혈을 쭉쭉 빨아먹으니 그렇죠
일본도 블랙기업 소리 들을만큼 기업문화 막장이고 문제가 많은데 그런 시장에서도 처발리는 놈들이 뭔ㅋㅋ 규제 때문이 아니라 정권에 빌붙어서 별 노력도 없이 독과점으로 1위 먹고 그 이후 방만경영 하면서 혁신이나 제품개발할 생각은 안하고 자사 서비스 쓸 수밖에 없는 유저들 고혈을 쭉쭉 빨아먹으니 그렇죠
April 12, 2024 at 12:54 AM
그렇게 규제 풀어줘버릇 하니 몹쓸 근자감만 생겨서 해외에서도 그렇게 막 해도 되는줄 알고 마구잡이로 사업 확장, 규제위반, 반칙했다 철퇴맞고 참패하지요. 일본시장에서 라인에게 쳐발린 것, 쿠팡의 패퇴, 배민의 철수 모두 같은 맥락입니다
일본도 블랙기업 소리 들을만큼 기업문화 막장이고 문제가 많은데 그런 시장에서도 처발리는 놈들이 뭔ㅋㅋ 규제 때문이 아니라 정권에 빌붙어서 별 노력도 없이 독과점으로 1위 먹고 그 이후 방만경영 하면서 혁신이나 제품개발할 생각은 안하고 자사 서비스 쓸 수밖에 없는 유저들 고혈을 쭉쭉 빨아먹으니 그렇죠
일본도 블랙기업 소리 들을만큼 기업문화 막장이고 문제가 많은데 그런 시장에서도 처발리는 놈들이 뭔ㅋㅋ 규제 때문이 아니라 정권에 빌붙어서 별 노력도 없이 독과점으로 1위 먹고 그 이후 방만경영 하면서 혁신이나 제품개발할 생각은 안하고 자사 서비스 쓸 수밖에 없는 유저들 고혈을 쭉쭉 빨아먹으니 그렇죠
아해들이 24분부터 화장실 가고 난리를 피우더니 30분 땡 치고 나감.. 바람직한 기업문화
September 26, 2023 at 8:35 AM
아해들이 24분부터 화장실 가고 난리를 피우더니 30분 땡 치고 나감.. 바람직한 기업문화
나도 가급적 매일유업 제품으로만 구매함. 두유도 맛있고 상하목장 아이스크림도 맛있고 그릭요거트도 맛있고. 기업문화 유전자에 공기업의 흔적이 남아있어서인지 사회공익에 진지한 기업.
October 2, 2023 at 4:41 AM
나도 가급적 매일유업 제품으로만 구매함. 두유도 맛있고 상하목장 아이스크림도 맛있고 그릭요거트도 맛있고. 기업문화 유전자에 공기업의 흔적이 남아있어서인지 사회공익에 진지한 기업.
예전에 트위터 시절에도 쓴 적 있는데 재방하자면, 육아휴직은 돈이 문제가 아닙니다. 그냥 남는 사람이 개힘듭니다. 욕나와요.
머리로는 당연 동료가 육아휴직을 쓰면 "어휴 앞으로 고생하시겠네요"라고 하죠. 현실은 안그래요. 안그래도 사람 극도로 갈아넣는 한국식 기업문화, 인력관리에요. 이중에서 사람 한 명이 빠져봐요.
단순 경조사나 병으로 1-2주 빠지는건 인간적으로 버텨줍니다. 그런데 육아휴직은 기본이 몇 달이에요. 그렇다고 회사에서 대체인원을 채워줍니까? 남은 팀/부서원끼리 하라고 하지.
육아휴직 가는 동료가 좋게 보일까요?
머리로는 당연 동료가 육아휴직을 쓰면 "어휴 앞으로 고생하시겠네요"라고 하죠. 현실은 안그래요. 안그래도 사람 극도로 갈아넣는 한국식 기업문화, 인력관리에요. 이중에서 사람 한 명이 빠져봐요.
단순 경조사나 병으로 1-2주 빠지는건 인간적으로 버텨줍니다. 그런데 육아휴직은 기본이 몇 달이에요. 그렇다고 회사에서 대체인원을 채워줍니까? 남은 팀/부서원끼리 하라고 하지.
육아휴직 가는 동료가 좋게 보일까요?
[속보]윤, '인구 국가비상사태' 선언…"육휴 첫 3개월 급여 250만원으로"
n.news.naver.com
June 19, 2024 at 8:02 AM
예전에 트위터 시절에도 쓴 적 있는데 재방하자면, 육아휴직은 돈이 문제가 아닙니다. 그냥 남는 사람이 개힘듭니다. 욕나와요.
머리로는 당연 동료가 육아휴직을 쓰면 "어휴 앞으로 고생하시겠네요"라고 하죠. 현실은 안그래요. 안그래도 사람 극도로 갈아넣는 한국식 기업문화, 인력관리에요. 이중에서 사람 한 명이 빠져봐요.
단순 경조사나 병으로 1-2주 빠지는건 인간적으로 버텨줍니다. 그런데 육아휴직은 기본이 몇 달이에요. 그렇다고 회사에서 대체인원을 채워줍니까? 남은 팀/부서원끼리 하라고 하지.
육아휴직 가는 동료가 좋게 보일까요?
머리로는 당연 동료가 육아휴직을 쓰면 "어휴 앞으로 고생하시겠네요"라고 하죠. 현실은 안그래요. 안그래도 사람 극도로 갈아넣는 한국식 기업문화, 인력관리에요. 이중에서 사람 한 명이 빠져봐요.
단순 경조사나 병으로 1-2주 빠지는건 인간적으로 버텨줍니다. 그런데 육아휴직은 기본이 몇 달이에요. 그렇다고 회사에서 대체인원을 채워줍니까? 남은 팀/부서원끼리 하라고 하지.
육아휴직 가는 동료가 좋게 보일까요?
ㅋㅋㅋㅋㅋ아니 애초에 우리는 다 끝난 얘기였다고 왜 자꾸 끄집어 내시죠?? 진짜 저번부터 자꾸 지난 일 끄집어 올리면서 말하는 단어도 너네가 이상하고 잘못한거란 식으로 가는 기분 들게 하시는데 이게 맞나 싶구요...? 팬덤,소비자와 가깝고 소통하는 자세 기업문화 정말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November 30, 2024 at 3:23 PM
ㅋㅋㅋㅋㅋ아니 애초에 우리는 다 끝난 얘기였다고 왜 자꾸 끄집어 내시죠?? 진짜 저번부터 자꾸 지난 일 끄집어 올리면서 말하는 단어도 너네가 이상하고 잘못한거란 식으로 가는 기분 들게 하시는데 이게 맞나 싶구요...? 팬덤,소비자와 가깝고 소통하는 자세 기업문화 정말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넷플릭스가 '자유와 책임'을 강조하면서 (미국기업은 제공하지 않는) 무제한 육아휴직을 도입한지 10년 만에 이 제도를 폐지. 이에 앞서 올해 6월에는 기업문화 문서에서 '자유와 책임' 부분을 삭제.
이외에도 예전에는 누군가 해고되면 해고 사유를 설명하는 사내 이메일을 보냈다고. 이제는 폐지됨. 회사 문서를 최대한 많은 직원들에게 공유하는 문화 역시 사라짐. 정보는 필요한 사람들 사이에서만 공유. 커피잔, 티셔츠 등 넷플릭스 기념품도 무제한으로 주문할 수 있었는데 이젠 직원 1인당 300달러 까지만 주문 가능하다고.
이외에도 예전에는 누군가 해고되면 해고 사유를 설명하는 사내 이메일을 보냈다고. 이제는 폐지됨. 회사 문서를 최대한 많은 직원들에게 공유하는 문화 역시 사라짐. 정보는 필요한 사람들 사이에서만 공유. 커피잔, 티셔츠 등 넷플릭스 기념품도 무제한으로 주문할 수 있었는데 이젠 직원 1인당 300달러 까지만 주문 가능하다고.
Netflix’s Extraordinary Parental Leave Was Part of Its Culture. That’s Over.
Employees worry the pullback and other new restrictions mean the entertainment giant is losing the identity that fueled its success.
www.wsj.com
December 12, 2024 at 4:13 AM
넷플릭스가 '자유와 책임'을 강조하면서 (미국기업은 제공하지 않는) 무제한 육아휴직을 도입한지 10년 만에 이 제도를 폐지. 이에 앞서 올해 6월에는 기업문화 문서에서 '자유와 책임' 부분을 삭제.
이외에도 예전에는 누군가 해고되면 해고 사유를 설명하는 사내 이메일을 보냈다고. 이제는 폐지됨. 회사 문서를 최대한 많은 직원들에게 공유하는 문화 역시 사라짐. 정보는 필요한 사람들 사이에서만 공유. 커피잔, 티셔츠 등 넷플릭스 기념품도 무제한으로 주문할 수 있었는데 이젠 직원 1인당 300달러 까지만 주문 가능하다고.
이외에도 예전에는 누군가 해고되면 해고 사유를 설명하는 사내 이메일을 보냈다고. 이제는 폐지됨. 회사 문서를 최대한 많은 직원들에게 공유하는 문화 역시 사라짐. 정보는 필요한 사람들 사이에서만 공유. 커피잔, 티셔츠 등 넷플릭스 기념품도 무제한으로 주문할 수 있었는데 이젠 직원 1인당 300달러 까지만 주문 가능하다고.
따뜻한 가족같은 기업문화 커버 주식회사 青くんぺこらがすぐ帰らず話を聞いてくれたりマリンや大勢の先輩が心配してくれた話【火威青/ホロライブ】 / youtube.com/watch?v=ikGK...
青くんぺこらがすぐ帰らず話を聞いてくれたりマリンや大勢の先輩が心配してくれた話【火威青/ホロライブ】
0:00 青くん 250万人達成、みんなへの感謝と今だから言える話 2:44 応援てくれた先輩方 昔は頼りに行けなかった 5:33 登録者を増やすアドバイスをくれたマリン船長 6:58 ぺこら先輩と関わりはじめの頃の話 本配信、元動画 【ゲリラ】ReGLOSS250万人達成記念お茶会【火威青 】 https://www.youtube.com/live/aXRYIg_IUgE?si=ww2iUBrDPQSC0JbK 出演者 ◆火威青/HiodoshiAo‐ ReGLOSS YouTube https://www.youtube.com/@HiodoshiAo Twitter https://twitter.com/hiodoshiao #青くゆ #火威青 #ホロライブ #hololivedev_is #ReGLOSS #ぺこら #兎田ぺこら #マリン船長 #宝鐘マリン 【効果音BGM絵使用元】 いらすとや https://www.youtube.com/redirect?event=video_description&redir_token=QUFFLUhqbFV0N0QwNUt2blpELW00ZHp0bjBsWFc0Ni1JUXxBQ3Jtc0ttRDliVnFlcjE0YnNfbm1GenBkXy1KMEdmRGV6RUxobjE0WmJVWFBpRlpMSjZQekw5bkRPcXFpSGc5Q1FHUWZzWXhqS3BXOGlNWDkxUkxXVThESjd5bGxfc0xJYVd2WW1JSTE3dEZjLUt6cE9wYUMzcw&q=https%3A%2F%2Fwww.irasutoya.com%2F&v=jtH6XsqrsLs 効果音ラボ https://www.youtube.com/redirect?event=video_description&redir_token=QUFFLUhqbk5HdDl5TklRUUk0dzJXcmM4X01PVXBTTjJmUXxBQ3Jtc0tueS1WMFBKRVFUaXNLQ01DdzNIN2o3Vy1IWHBsc3JFQ2tvRXBiVzBXcmcwdHlLOWdNVGdocE9GSUtJbWVncnQ2RVdBWWNIeW05UHRZQl9vT3JFeDN3cmZJMjM5V3puTVFWUjN3eF9IR3N2c2Nyd1VIVQ&q=http%3A%2F%2Fsoundeffect
youtube.com
August 16, 2024 at 1:32 PM
따뜻한 가족같은 기업문화 커버 주식회사 青くんぺこらがすぐ帰らず話を聞いてくれたりマリンや大勢の先輩が心配してくれた話【火威青/ホロライブ】 / youtube.com/watch?v=ikGK...
넷플릭스 다큐 타이탄:오션게이트 잠수정 참사 다큐 시청.
끔찍하다.. 오만한 한 인간의 자존심 싸움에 희생된 사람들은 무슨 죄란 말인가..
모든 전문가들이 아니라고 하는데도 쇠 귀에 경 읽기...
아닌걸 아니라고 말 못하는 기업문화.. 어디서 많이 본 그런 모습들이네..
유족들에게 사고 참사에 대한 사죄의 말 한 마디도 없었다는 것도.
끔찍하다.. 오만한 한 인간의 자존심 싸움에 희생된 사람들은 무슨 죄란 말인가..
모든 전문가들이 아니라고 하는데도 쇠 귀에 경 읽기...
아닌걸 아니라고 말 못하는 기업문화.. 어디서 많이 본 그런 모습들이네..
유족들에게 사고 참사에 대한 사죄의 말 한 마디도 없었다는 것도.
June 28, 2025 at 12:42 PM
넷플릭스 다큐 타이탄:오션게이트 잠수정 참사 다큐 시청.
끔찍하다.. 오만한 한 인간의 자존심 싸움에 희생된 사람들은 무슨 죄란 말인가..
모든 전문가들이 아니라고 하는데도 쇠 귀에 경 읽기...
아닌걸 아니라고 말 못하는 기업문화.. 어디서 많이 본 그런 모습들이네..
유족들에게 사고 참사에 대한 사죄의 말 한 마디도 없었다는 것도.
끔찍하다.. 오만한 한 인간의 자존심 싸움에 희생된 사람들은 무슨 죄란 말인가..
모든 전문가들이 아니라고 하는데도 쇠 귀에 경 읽기...
아닌걸 아니라고 말 못하는 기업문화.. 어디서 많이 본 그런 모습들이네..
유족들에게 사고 참사에 대한 사죄의 말 한 마디도 없었다는 것도.
개인적으로는, 한국식 기업문화+가부장제 콤보의 악습중 하나가 업무상의 태도와 화법을 가정에도 끌고 들어와 반영하는 점이라고 생각한다.
한국 기업문화는 효율성을 위한다는 명분하에 일하면서 갖게되는 사람의 자연스러운 감정들을 최대한 배제함. 그중에는 생존에 필요한 감각들도 있는데 예를 큰 장애물을 마주했을 때 느끼는 인간적인 감정들임. 사람을 노동력 1 정도의 도구로 보기 때문에, 도구의 감정까지 뭐하러 신경써야하느냐는 식으로 여기고 심지어 노동자들 스스로도 그것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실천하며 서로서로를 재단함.
한국 기업문화는 효율성을 위한다는 명분하에 일하면서 갖게되는 사람의 자연스러운 감정들을 최대한 배제함. 그중에는 생존에 필요한 감각들도 있는데 예를 큰 장애물을 마주했을 때 느끼는 인간적인 감정들임. 사람을 노동력 1 정도의 도구로 보기 때문에, 도구의 감정까지 뭐하러 신경써야하느냐는 식으로 여기고 심지어 노동자들 스스로도 그것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실천하며 서로서로를 재단함.
October 29, 2024 at 9:46 AM
개인적으로는, 한국식 기업문화+가부장제 콤보의 악습중 하나가 업무상의 태도와 화법을 가정에도 끌고 들어와 반영하는 점이라고 생각한다.
한국 기업문화는 효율성을 위한다는 명분하에 일하면서 갖게되는 사람의 자연스러운 감정들을 최대한 배제함. 그중에는 생존에 필요한 감각들도 있는데 예를 큰 장애물을 마주했을 때 느끼는 인간적인 감정들임. 사람을 노동력 1 정도의 도구로 보기 때문에, 도구의 감정까지 뭐하러 신경써야하느냐는 식으로 여기고 심지어 노동자들 스스로도 그것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실천하며 서로서로를 재단함.
한국 기업문화는 효율성을 위한다는 명분하에 일하면서 갖게되는 사람의 자연스러운 감정들을 최대한 배제함. 그중에는 생존에 필요한 감각들도 있는데 예를 큰 장애물을 마주했을 때 느끼는 인간적인 감정들임. 사람을 노동력 1 정도의 도구로 보기 때문에, 도구의 감정까지 뭐하러 신경써야하느냐는 식으로 여기고 심지어 노동자들 스스로도 그것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실천하며 서로서로를 재단함.
아니 기업문화 별로라면서 서합 단톡방 들어간 이유는 뭐지 알수없도다..
October 22, 2023 at 8:55 AM
아니 기업문화 별로라면서 서합 단톡방 들어간 이유는 뭐지 알수없도다..
사실 정치적인 얘기를 하려고 하기 보단 기업문화 마인드 등이... 영국 프랑스 독일같은 나라들을 보면 마인드가 적어도 한국처럼 산업시대 마인드는 아니잖아요. 정보화 시대에 맞는 그니까 어떻게 해서 다양한 방식의 능력을 만들어내고 그 능력을 활용할 수 있어야.. 에휴 이러고보니 한국은 뭐 능력주의 능력주의 노래를 부르면서 정작 능력주의는 아닌 거 같네요...😓
말이 옆으로 샜는데
솔직히 10년 넘게 30위 초반 박스권에서 계속 머무르고 있는 거면... 이젠 걍 체질 자체가 바뀌어야 되지 않나 싶네요
말이 옆으로 샜는데
솔직히 10년 넘게 30위 초반 박스권에서 계속 머무르고 있는 거면... 이젠 걍 체질 자체가 바뀌어야 되지 않나 싶네요
1인당 GDP 25위(속령 등은 제외하고 IMF 기준)라고 표현한 이유는 사실 우리가 생각하는 서유럽권 선진국 심리적으로 생각하는 선진국의 말석이 딱 저 자리거든요. 이탈리아가 1인당 GDP 25~26위쯤 되서 얼추 비슷한 자리거든요. 독일 프랑스 영국도 저 안에 있고요.
그런데 한국은 10년 내내 25위 위로는 올라가본 적이 없어요.
높게 올라갔던 때가.. 저기에 근접했던 때가 2021년이거든요. 이 때가 문재인 정권 시기였는데..
그런데 한국은 10년 내내 25위 위로는 올라가본 적이 없어요.
높게 올라갔던 때가.. 저기에 근접했던 때가 2021년이거든요. 이 때가 문재인 정권 시기였는데..
중소기업이 발전 못하는 건 대기업의 횡포 아님? 이라는 것도 핑계가 아닌가 싶음
그냥 대체로 사장 마인드부터가 음.. 썩어빠져서 발전 못하는 것이 아닌가 싶음
결국 GDP라는 것도 사람들 마인드라던가 교육이나 문화 등이 다 어우러져서 나온 결과가 아닌가 싶은 생각도 듦
결론은 기업문화, 사람들의 마인드, 근시안적인 금전만 밝히는 등 종합적인 문화가 바뀌지 않으면 한국 1인당 GDP는 25위 위로는 올라가지 못함.
그냥 대체로 사장 마인드부터가 음.. 썩어빠져서 발전 못하는 것이 아닌가 싶음
결국 GDP라는 것도 사람들 마인드라던가 교육이나 문화 등이 다 어우러져서 나온 결과가 아닌가 싶은 생각도 듦
결론은 기업문화, 사람들의 마인드, 근시안적인 금전만 밝히는 등 종합적인 문화가 바뀌지 않으면 한국 1인당 GDP는 25위 위로는 올라가지 못함.
April 21, 2024 at 7:05 AM
사실 정치적인 얘기를 하려고 하기 보단 기업문화 마인드 등이... 영국 프랑스 독일같은 나라들을 보면 마인드가 적어도 한국처럼 산업시대 마인드는 아니잖아요. 정보화 시대에 맞는 그니까 어떻게 해서 다양한 방식의 능력을 만들어내고 그 능력을 활용할 수 있어야.. 에휴 이러고보니 한국은 뭐 능력주의 능력주의 노래를 부르면서 정작 능력주의는 아닌 거 같네요...😓
말이 옆으로 샜는데
솔직히 10년 넘게 30위 초반 박스권에서 계속 머무르고 있는 거면... 이젠 걍 체질 자체가 바뀌어야 되지 않나 싶네요
말이 옆으로 샜는데
솔직히 10년 넘게 30위 초반 박스권에서 계속 머무르고 있는 거면... 이젠 걍 체질 자체가 바뀌어야 되지 않나 싶네요
'근속 17년' 아마존 엔지니어가 말하는 기업문화…"6페이지 분량으로 써보세요"
www.aipostkorea.com/news/article...
www.aipostkorea.com/news/article...
'근속 17년' 아마존 엔지니어가 말하는 기업문화…"6페이지 분량으로 써보세요"
아마존의 전 수석 엔지니어인 스티브 후인(Steve Huynh)은 17년간 일하며 직접 체험했던 기업문화 가운데 '6페이지 분량 메모 작성'이 업무에 가장 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스티브 후인은 최근 팟캐스트 '더 프래그매틱 엔지니어(The Pragmatic Engineer)'에 출
www.aipostkorea.com
July 15, 2025 at 5:30 PM
'근속 17년' 아마존 엔지니어가 말하는 기업문화…"6페이지 분량으로 써보세요"
www.aipostkorea.com/news/article...
www.aipostkorea.com/news/article...
울리히 모델의 의의
- 양질의 기업문화
- 서비스 대응력 up -> 고객만족도 향상
- 동기부여
- 프로세스 간소화
한계
- 시간과 투자가 졸~~~~~~~~라많이 필요함 = 시간이 답임
- 사장님이 직원을 소중하게 인식 및 지원 하지 않으면 구현 못함
- 양질의 기업문화
- 서비스 대응력 up -> 고객만족도 향상
- 동기부여
- 프로세스 간소화
한계
- 시간과 투자가 졸~~~~~~~~라많이 필요함 = 시간이 답임
- 사장님이 직원을 소중하게 인식 및 지원 하지 않으면 구현 못함
March 5, 2025 at 8:24 AM
울리히 모델의 의의
- 양질의 기업문화
- 서비스 대응력 up -> 고객만족도 향상
- 동기부여
- 프로세스 간소화
한계
- 시간과 투자가 졸~~~~~~~~라많이 필요함 = 시간이 답임
- 사장님이 직원을 소중하게 인식 및 지원 하지 않으면 구현 못함
- 양질의 기업문화
- 서비스 대응력 up -> 고객만족도 향상
- 동기부여
- 프로세스 간소화
한계
- 시간과 투자가 졸~~~~~~~~라많이 필요함 = 시간이 답임
- 사장님이 직원을 소중하게 인식 및 지원 하지 않으면 구현 못함
중소기업이 발전 못하는 건 대기업의 횡포 아님? 이라는 것도 핑계가 아닌가 싶음
그냥 대체로 사장 마인드부터가 음.. 썩어빠져서 발전 못하는 것이 아닌가 싶음
결국 GDP라는 것도 사람들 마인드라던가 교육이나 문화 등이 다 어우러져서 나온 결과가 아닌가 싶은 생각도 듦
결론은 기업문화, 사람들의 마인드, 근시안적인 금전만 밝히는 등 종합적인 문화가 바뀌지 않으면 한국 1인당 GDP는 25위 위로는 올라가지 못함.
그냥 대체로 사장 마인드부터가 음.. 썩어빠져서 발전 못하는 것이 아닌가 싶음
결국 GDP라는 것도 사람들 마인드라던가 교육이나 문화 등이 다 어우러져서 나온 결과가 아닌가 싶은 생각도 듦
결론은 기업문화, 사람들의 마인드, 근시안적인 금전만 밝히는 등 종합적인 문화가 바뀌지 않으면 한국 1인당 GDP는 25위 위로는 올라가지 못함.
사실 갑질하는 기업들 보면 마케팅을 중요하게 생각하면서도 정작 내부마케팅은 개판인 경우가 많음
내부마케팅은 직원들 사이에서 이미지를 좋게 하는건데 아니 직원들 사정은 개차반으로 하고 기업 이미지 나쁘게 하고 외부 마케팅만 잘한다? 그럼 직원들 중에서도 누가 그 회사에 충성심을 가지고 일할거며 누가 그 제품을 구매할까...?
내부마케팅은 직원들 사이에서 이미지를 좋게 하는건데 아니 직원들 사정은 개차반으로 하고 기업 이미지 나쁘게 하고 외부 마케팅만 잘한다? 그럼 직원들 중에서도 누가 그 회사에 충성심을 가지고 일할거며 누가 그 제품을 구매할까...?
April 21, 2024 at 6:59 AM
중소기업이 발전 못하는 건 대기업의 횡포 아님? 이라는 것도 핑계가 아닌가 싶음
그냥 대체로 사장 마인드부터가 음.. 썩어빠져서 발전 못하는 것이 아닌가 싶음
결국 GDP라는 것도 사람들 마인드라던가 교육이나 문화 등이 다 어우러져서 나온 결과가 아닌가 싶은 생각도 듦
결론은 기업문화, 사람들의 마인드, 근시안적인 금전만 밝히는 등 종합적인 문화가 바뀌지 않으면 한국 1인당 GDP는 25위 위로는 올라가지 못함.
그냥 대체로 사장 마인드부터가 음.. 썩어빠져서 발전 못하는 것이 아닌가 싶음
결국 GDP라는 것도 사람들 마인드라던가 교육이나 문화 등이 다 어우러져서 나온 결과가 아닌가 싶은 생각도 듦
결론은 기업문화, 사람들의 마인드, 근시안적인 금전만 밝히는 등 종합적인 문화가 바뀌지 않으면 한국 1인당 GDP는 25위 위로는 올라가지 못함.
정말 너무나 한국의 후진적인 기업문화, 노동자 멸시 그 자체다.
September 8, 2025 at 6:13 AM
정말 너무나 한국의 후진적인 기업문화, 노동자 멸시 그 자체다.
솔직히 삼성이 블랙꼰대기업마냥 기업문화 요상해지고 사내 직원들 고생하는거 걔들원래 노조없고 기이하고 파시즘같고 그런거 생각해보면 니들끼리 고생해봣자 알빠임? 싶은데
이것들이 처 빠져가지고 소비자 손에 들어올 물건들마저 QC 개판내서 쓰레기쳐만들어 돈받아파는 주제에
수년간 언론에 엔비디아가 우리 램 살거라고했다고 명백한 거짓말 선동 날조 하다가 엔비댜측에서 그런적없다고 정정발언까지 하게 만들고 ㅈㄴ쪽팔린일 양아치같은일 되게 많이햇거든??
근데이제와서 상황바꼇다고 그것도 지들이 잘해서가 아니라 시장수요때문에 좋다고시발저러고있는
이것들이 처 빠져가지고 소비자 손에 들어올 물건들마저 QC 개판내서 쓰레기쳐만들어 돈받아파는 주제에
수년간 언론에 엔비디아가 우리 램 살거라고했다고 명백한 거짓말 선동 날조 하다가 엔비댜측에서 그런적없다고 정정발언까지 하게 만들고 ㅈㄴ쪽팔린일 양아치같은일 되게 많이햇거든??
근데이제와서 상황바꼇다고 그것도 지들이 잘해서가 아니라 시장수요때문에 좋다고시발저러고있는
October 30, 2025 at 1:51 PM
솔직히 삼성이 블랙꼰대기업마냥 기업문화 요상해지고 사내 직원들 고생하는거 걔들원래 노조없고 기이하고 파시즘같고 그런거 생각해보면 니들끼리 고생해봣자 알빠임? 싶은데
이것들이 처 빠져가지고 소비자 손에 들어올 물건들마저 QC 개판내서 쓰레기쳐만들어 돈받아파는 주제에
수년간 언론에 엔비디아가 우리 램 살거라고했다고 명백한 거짓말 선동 날조 하다가 엔비댜측에서 그런적없다고 정정발언까지 하게 만들고 ㅈㄴ쪽팔린일 양아치같은일 되게 많이햇거든??
근데이제와서 상황바꼇다고 그것도 지들이 잘해서가 아니라 시장수요때문에 좋다고시발저러고있는
이것들이 처 빠져가지고 소비자 손에 들어올 물건들마저 QC 개판내서 쓰레기쳐만들어 돈받아파는 주제에
수년간 언론에 엔비디아가 우리 램 살거라고했다고 명백한 거짓말 선동 날조 하다가 엔비댜측에서 그런적없다고 정정발언까지 하게 만들고 ㅈㄴ쪽팔린일 양아치같은일 되게 많이햇거든??
근데이제와서 상황바꼇다고 그것도 지들이 잘해서가 아니라 시장수요때문에 좋다고시발저러고있는
요즘 귀찮아서 게임쪽 동향에 한 보름 정도 귀를 닫고 있었는데. 고스트 오브 요테이가 어세신 크리드 셰도우즈를 넘는데 3주 밖에 안 걸렸대네 ㅋㅋㅋㅋㅋ 유비야 이 귀 큰 프랑스 놈아 이브 기예모를 위시한 가문놈들이 게임개발에 왈가왈부하는 기업문화 못버리면 너네는 미래가 없단다.
November 6, 2025 at 4:30 AM
요즘 귀찮아서 게임쪽 동향에 한 보름 정도 귀를 닫고 있었는데. 고스트 오브 요테이가 어세신 크리드 셰도우즈를 넘는데 3주 밖에 안 걸렸대네 ㅋㅋㅋㅋㅋ 유비야 이 귀 큰 프랑스 놈아 이브 기예모를 위시한 가문놈들이 게임개발에 왈가왈부하는 기업문화 못버리면 너네는 미래가 없단다.